가소사우루스(Gasosaurus). 아크로칸토사우루스(Acrocanthosaurus) 가소사우루스(Gasosaurus). 아크로칸토사우루스(Acrocanthosaurus) 가소사우루스(Gasosaurus). 화석발견지 : 아시아(중국) 생 존 시 기 : 쥐라기 중기 식 성 : 육식성 최 대 크 기 ; 약 3.5m ~ 4m 무 게 : 약 150Kg 높 이 : 약 1.3m 분 류 : 용반목(Saurischia) 수각류(Theropoda) Avetheropoda 가소사우루스(Gasosaurus) 이 공룡.. 우표로 엮는공룡 백과 2011.03.06
공룡의 큰 코와 눈 공룡의 큰 코와 눈 공룡그림이나 공룡도감과 같은 책을 보다 보면 공룡의 코와 눈의 위치가 예측을 불허한다. 종에 따라서, 얼룰의 생김새에 따라서 그 위치가 조금씩 다름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 지구상에 살고 있는 동물들의 눈과 코는 대부분 우리가 익숙한 위치에 있고 설사 처음 보는 동물이.. 카테고리 없음 2011.02.18
사상 최대의 공룡은? 사상 최대의 공룡은 ?? 흔히 공룡하면 거대함의 상징처럼 되어왔다. 일반인들이 공룡을 생각하고 떠올리는 것이 어머어마하게 큰 육상동물이고 초식성이라는 것이다. 공룡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계속되어 왔고 발굴또한 계속되고 있으므로써, 그동안 베일에 쌓였던 여러가지 의문점들이 .. 우표로 엮는공룡 백과 2011.02.13
부경고사우루스(Pukyongosaurus) 부경고사우루스(Pukyongosaurus) 천년부경용(千年釜慶龍, Pukyongosaurus millenniumi), 또는 부경고사우루스는 백악기에 살았던 목이 긴 용반류 초식공룡이다. 공룡 중에서 유일하게 한국어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졌다. 부경대학교 백인성 교수팀이 1999년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갈사리 앞바다 돌섬.. 한국의 공룡 2011.02.10
테리지노사우루스(Therizinosaurus) 테리지노사우루스(Therizinosaurus) 1940년대 몽골과 구소련이 함께 고비 사막을 탐사하던 중, 거대한 뼈 화석을 발견했고, 이 화석을 본 학자들은 이 화석을 거북의 갈비뼈라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이 화석이 공룡의 앞 발톱이였다는 사실이 밝혀 지면서 수수께끼의 공룡으로 더 많은 흥미를 .. 우표로 엮는공룡 백과 2011.02.05
조각류 (우취반 실습작) 9. 조각류 (우취반 실습작) 9. - 이천 신둔초등학교 우취반 창희 작 - 내가 만든다면 어떻게 할건가요 생각해 보세요 잘못된 곳은 없나요? 가실때 아래 ♡ 공감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우취반 , 습작, 질문, 2011.02.03
공룡은 무엇을 먹었을까? 공룡은 무엇을 먹었을까? 몸집이 크고 목이길며 긴 꼬리를 가지고 있었던 공룡들(용각류 :Sauropoda)은 식물을 먹었다. 초식 공룡들보다 숫적으로 적은 육식공룡 수각류(Theropoda)들은 다른 공룡들을 잡아먹고 살았다. 티라노사우루스(Tyrannosaurus)처럼 몸집이 큰 육식 공룡들은 혼자서 사냥을 .. 우표로 엮는공룡 백과 2011.01.22
공룡우표매니아가 추천하는 공룡 책. 공룡우표매니아가 추천하는 공룡 책. 공룡은 중생대(쥐라기, 백악기)로 알려진 2억 4천 5백만 년 전부터 6천 5백만 년 전까지 살았던 파충류 들이다. 공룡들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트라이아스기에는 몸집이 대부분 작았지만, 쥐라기에 들어서며 용각류(Sauropoda), 검룡류(Stegosauria),가.. 우표로 엮는공룡 백과 2011.01.10
용각류(Sauropoda)의 최후 용각류(Sauropoda)의 최후 용각류(사우로포드류)는 쥐라기 후기에 가장 번성 하고 널리 퍼져 살았다. 그러나 시대가 쥐라기로부터 백악기로 넘어가자, 초목이 바뀌고 대륙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다른 공룡들이 두두러지게 나타나기 시작 했으며. 용각류들은 완전히 다른 초식 공룡 무리가 진.. 우표로 엮는공룡 백과 2010.12.30
공룡파켓 200 종 보기 22. 용반목(2. 수각류) 공룡파켓 200 종 보기 용반목(2. 수각류) 이제까지 공룡우표 파켓에 들어있는 공룡들을 모두 분류해 보았다. 이제 1차 마무리를 해야 할 때가 왔다. 이제것 생긴 모양에 따라 쉽게 분류를 했는데, 이것은 어린이들이 쉽게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이고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분류이기 때문이였다.. 공룡 파켓우표 보기 2010.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