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지역문화재 및 상징 엽 114

경인 문화재 여행 ...79. 경기도 평택시, 정도전사당 문헌사

경인 문화재 여행 ....................... 79. 경기도 평택시, 정도전사당 문헌사(文憲祠) 정도전은 조선 건국 과정에서 가장 큰 역할을 했다. 조선 건국 프로그램을 짜고, 이성계를 움직여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건국 후에는 조선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새 수도 한양의 궁궐과 사대문의 이름을 짓고…, 말 그대로 조선의 설계자 역할을 했다. 정도전은 조선의 실세였다. 당시 모든 권력이 그의 손에 있었다. 이 사실은 본인도, 임금인 이성계도 알고 있었다. 그리고 또 한 사람, 조선 건국의 마지막 걸림돌이었던 정몽주를 제거함으로써 정도전 못지않은 공을 세운 이방원도 그 사실을 알고 있었다. 정도전의 권력이 막강해질수록 권력에서 밀려난 이방원의 불만은 커져만 갔다. 평택시 정도전사당 문헌..

경인 문화재 여행 ...78. 경기도 이천시, 이천시 거북놀이

경인 문화재 여행 ...................... 78. 경기도 이천시, 이천시 거북놀이 이천시 거북놀이 추석날 밤에 하는 놀이로 수숫대를 벗겨 거북이 모양을 만들어 3~4명(앞에 한 사람, 양쪽에 두 사람)이 그 속에 들어가서 마치 거북이가 돌아다니듯이 집집마다 찾아 다니며 한바탕 논다. 그러다가 힘이 빠진 척 모두 쓰러져서 꼼짝도 하지 않을 때 거북을 몰고 다니는 아이가 "이 거북이가 동해를 건너 여기까지 오느라고 힘이 지쳐 누웠으니 먹을 것을 좀 주십시오"라고 하면, 집주인은 송편·떡·과실 등을 내어놓는다. 그러면 거북을 모는 아이가 "거북아! 먹이가 나왔으니 인사나 하고 가자"고 하면, 거북은 넙죽 절을 하고 한바탕 뛰며 놀다가 또 다른 집으로 간다. 이 놀이를 통하여 집집마다 장수·무병..

경인 문화재 여행 ...77. 경기도 이천시,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경인 문화재 여행 .................... 77. 경기도 이천시,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利川映月庵磨崖如來立像)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利川映月庵磨崖如來立像) 보물 제822호. 높이 9.6m. 자연 암석을 다듬고 바위면 전체를 꽉 채워 조각하였는데, 머리와 양손만이 얕게 부조(浮彫)되어 있고 옷 주름 등은 모두 선각(線刻)으로 처리되었다. 원만하고 둥근 얼굴에 이목구비는 크고 뚜렷하게 조각되었는데, 지그시 감은 듯한 눈과 넓적한 코, 두툼한 입술 등의 모습은 다소 투박하지만 온화한 인상을 느끼게 한다. 머리는 육계(肉髻)가 없는 민머리이며 목에는 삼도(三道)의 표시가 있다. 두 손은 가슴에 모아 모두 엄지와 약지를 맞대고 있는데, 오른손은 손바닥을 보이게 하였고, 왼손은 아래를 향하여 손..

경인 문화재 여행 ...76. 경기도 이천시, 설봉 서원(雪峯書院)

경인 문화재 여행 ..................... 76. 경기도 이천시, 설봉 서원(雪峯書院) 이천 : 설봉 서원(雪峯書院) 유학(儒學)의 진흥과 장학을 목적으로 창건된 설봉서원(雪峯書院)은 고려시대 문신 장위공 서희(徐熙)선생과 조선시대의 율정(栗亭)이관의(李寬義)선생, 모재(慕齋)김안국(金安國)선생, 소요재(逍遙齋) 최숙정(崔淑精)선생 등 4현을 배향하고 매년 춘추로 제향을 올리고 학문을 강론하면서 젊은 선비들을 가르치던 사학교육기관이었으며, 현재에는 한학과 유학을 비롯한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일반인과정(雪峯大學), 방학을 이용한 학생체험교육, 학교나 기관 또는 단체를 위한 위탁교육 등이 연중무휴로 이루어짐으로서 존현(尊賢)과 강학(講學)의 기능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다. 또한 전..

경인 문화재 여행 ...75. 경기도 성남시, 태평무(太平舞)

경인 문화재 여행 ................... 75. 경기도 성남시, 태평무(太平舞). 한성준에 의해 재구성된 춤.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이다.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지만, 당굿에서 무당이 춘 춤을 보고 소재를 얻어 창작한 작품으로 추측된다. 춤의 내용은 풍년과 나라의 태평성대를 축복하는 뜻을 가지고 있다. 섬세한 발놀림과 빠른 장단에 맞추어 움직이는 민첩성이 특색있으며, 휘몰아치는 장단이 모든 춤사위에 배어들어 있다. (다음백과) 성남시, 태평무(太平舞). 1900년대의 무용가이며 명고수였던 한성준에 의해 재구성된 춤. 이 춤에 대해서는 정확한 자료가 없기 때문에 명백한 유래를 알 수 없지만, 당굿에서 무당이 '왕거리'라는 왕의 춤을 추는 것을 보고 소재를 얻어 창작한 작품으로 보고 있다. 태..

경인 문화재 여행 ...74. 경기도 성남시, 약사사 지장시왕도

경인 문화재 여행 ...................74. 경기도 성남시, 약사사 지장시왕도(城南 藥師寺 地藏十王圖) 성남 약사사 지장시왕도(城南 藥師寺 地藏十王圖)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약사사(남한산성 만덕산 자락)가 소장한 ‘지장시왕도’가 경기도유형문화재 제333호로 지정됐다. 경기도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지장시왕도’는 지장보살과 여러 명의 권속을 묘사한 군도 형식의 불화이며 지난 1880년 수도권의 대표적인 수화승인 한봉 창엽의 작품이다. 불화 하단에 붉은색 종이로 그려진 화기(그림기록)에는 이 그림이 지난 1880년도에 그려졌다는 기록이 있다. 성남 약사사의 지장시왕도는 제작연도, 제작자가 명확하게 기록된 화기, 작품 양식 등이 문화재로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성남시 관계자는 “현재 시에 소재..

경인 문화재 여행 ...73. 경기도 성남시, 권근의 입학도설

경인 문화재 여행 ..................... 73. 경기도 성남시, 권근의 입학도설(權近 入學圖說) 권근의 입학도설(權近 入學圖說 보물 제1136-2호) 고려말 조선초의 학자 권근(權近:1352~1409)이 성리학의 기본원리를 도식화해 설명한 책. 울산시 유형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어 있다. 1책. 목판본. 전집 단간본과 전·후집 합간본의 2종류가 있다. 전집은 1390년 의주 유배당시 그에게 대학·중용을 배우려는 초학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저술한 것이며, 후집은 그뒤부터 죽을 때까지 계속 연구해 완성한 것이다.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을 근본으로 주희(朱熹)의 대학·중용장구 中庸章句를 참고하면서 여러 유학자들의 격언을 취했고, 학생 사이의 문답을 부가했다. 전집 단간본은 1397년 도호..

경인 문화재 여행 ...72. 경기도 구리시, 구리 아차산 삼층 석탑

경인 문화재 여행 ......................72. 경기도 구리시, 구리 아차산 삼층 석탑(九里 峨且山 三層石塔) 구리 아차산 삼층석탑(九里 峨且山 三層石塔) 경기도 구리시 아차산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다. 2007년 9월 3일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제205호로 지정되었다. 석탑은 1952년 붕괴되었던 것을 1996년 주변에 산재한 부재들을 모아 복원하였다. 해발 약 180미터 지점의 넓은 암반위에 위치하며, 가람의 한 요소이기보다는 석탑 자체가 독립적인 요소로 가람과는 별도의 장소에 위치하고 있으며, 간략화된 기단부와 탑신부의 치석과 결구수법, 옥개석의 치석수법 등으로 보아 고려 전기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석탑은 기단부와 탑신부의 형식과 양식, 결구수법 등이 고려 전기에 충청과 전라..

경인 문화재 여행 ...71. 경기도 구리시, 구리 건원릉 신도비

경인 문화재 여행 .....................71. 경기도 구리시, 구리 건원릉 신도비(九里 健元陵 神道碑) 구리 건원릉 신도비(九里 健元陵 神道碑) 201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기도 구리시의 동구릉(東九陵) 내에 위치한 건원릉 신도비는 1409년(태종 9) 4월에 건립되었다. 총 높이 448㎝의 규모에 귀부이수(龜趺螭首) 양식을 갖추었다. 1691년(숙종 17)에 건립한 비각에 안치되어 있다. 1408년 9월 건원릉을 조성하고 다음 해인 1409년 4월 능상(陵上) 아래 동남쪽 방향에 신도비를 세웠다. 1452년(문종 2) 풍수학자 문맹검(文孟儉)이 비각 층계의 섬돌인 계체(階砌)와 주변 배수로의 정비를 주청하였다. 비각이 훼손되자 숙종이 1690년 10월 비각의 건립을 지시하였고 169..

경인 문화재 여행 ...70. 경기도 구리시, 구리갈매동도당굿

경인 문화재 여행 ...................70. 경기도 구리시, 구리갈매동도당굿(九里葛梅洞都堂ㅡ) 구리갈매동도당굿(九里葛梅洞都堂ㅡ)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 15호 원래는 '갈매동 산치성 도당굿'이라고 한다. 마을의 안녕함과 풍요를 비는 마을굿으로 제당은 마을 뒷 편 도당산 초입에 자리하고 있다. 당집 상량문 기록으로 보아 1935년 당집을 세운 듯하다. 격년마다 봄에 치러지는 이 굿은 전형적인 경기도 북부의 도당굿 양식을 취하고 있다. 현재 마을에는 1928년도와 1960년도 기록된 도당굿 제의관련문서 2개가 남아 있어 굿청진설도의 내용을 알 수가 있다. 상차림은 대동차지와 무당차지가 있는데 대동차지는 마을주민의 상차림을 말하는 것으로 우측에 제삿상, 가운데에 제석상을 각각 4상씩 모두 12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