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관광인, 실체교류 2061

관광인 여행.....1.165, 북극다산과학기지.

관 광 인  여 행.......................1.165,   북극다산과학기지(北極茶山科學基地)     노르웨이령 스발바르 제도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북극 과학기지. 극지방에서는 남극 킹 조지 섬에 위치한 세종 과학기지에 이어 두 번째로 지어진 과학기지이다. 여러 분야에서 다재다능했던 다산 정약용의 호를 따서 지었으며, 연구목적은 남극의 세종 과학기지와 같다.KOREA : 북극다산과학기지     자체적인 기지를 보유한 남극의 두 기지와 달리 다산기지의 건물은 프랑스와 공동으로 사용되고 있다. 입구를 들어서면서 볼 때 좌측은 한국, 우측은 프랑스의 공간이다. 지구 북반구에 위치한 한국은 남극과 아울러 북극의 환경 및 자원 연구를 위하여 2002년 4월 29일 노르웨이령 스발바르 제도(Svalba..

관광인 여행.......1.164,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오현읍. 정몽주 선생 묘.

관 광 인  여 행..........................1.164, 경기도 용인시 오현읍. 정몽주 선생 묘. 정몽주 선생 묘.    고려 말 문신 정몽주의 시신을 안장한 묘소. 1972년 5월 4일에 경기도 기념물 제1호로 지정됐다. 1392년 이성계의 5남이자 훗날 조선 태종이기도 한 이방원과 술자리를 가지고 난 이후 귀가를 하던 정몽주가 이방원이 보낸 수하가 휘두른 철퇴에 맞아 개성 선죽교에서 피살되면서 원래 개성 근교 풍덕군(현재의 북한 개풍구역)에 안장된 묘소를 용인으로 이장하여서 오늘에 이른 묘소이다모현 : 정몽주 선생 묘.     경기도 기념물 제1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곡로(능원리)에 있다. 1392년(공양왕 4) 순절한 뒤 풍덕군에 묘를 썼으나, 뒤에 고향인 경북 영천..

관광인 여행...1.163, 남극 세종과학기지.

관 광 인  여 행.......................1.163, 남극 세종과학기지. 남극 세종기지, 펭귄낙원 만든다.     남극을 처음 찾은 이방인의 눈을 끄는 낯선 동물 ‘펭귄’. 남극 세종과학기지가 있는 킹조지섬에는 펭귄들의 집단 서식지 ‘펭귄마을’이 있다. 세종기지에서 남동쪽으로 약 2km 떨어진 해안가 언덕에는 젠투펭귄, 턱끈펭귄 등 조류 14종이 살고 있다. 턱끈펭귄 2900쌍, 젠투펭귄 약 1,700쌍, 갈색도둑갈매기 10쌍 등이 사는 조류의 천국이다. 맨땅에 둥지를 트는 턱끈펭귄과 젠투 펭귄에게 펭귄 마을은 알을 낳기에 이상적인 서식지로 손꼽힌다. KOREA : 남극세종과학기지    남극에서 눈이 녹는 몇 안 되는 곳인 이 마을은 해마다 여름이 찾아오는 11월부터 2월 산란하는 펭귄..

관광인 여행.......1.162, 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 충주 탄금대.

관 광 인  여 행...........................1.162,  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 충주 탄금대 충주 탄금대(忠州 彈琴臺)    1976년 충청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명승으로 승격 지정되었다. 대문산(大門山)을 중심으로 남한강 상류와 달천(達川)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으며, 수려한 경관과 유서깊은 고적지이다. 가야국의 악성 우륵(于勒)이 신라에 귀화하여 진흥왕에게 명성이 알려져 하림궁(河臨宮)에서 새 곡을 지어 연주하니, 왕이 감동하여 충주에 살도록 하였다. 우륵은 그를 보호하던 계고(階古)에게는 가야금을, 법지(法知)에게는 노래를, 만덕(萬德)에게는 춤을 가르치며 여가있을 때 바위에 앉아 가야금을 타며 살았다. 탄금대라는 명칭도 우륵이 가야금을 타던 곳이라는 데에서 유..

관광인 여행...1.161,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장외리, 서해랑 제부도해상케이블카.

관 광 인  여 행......................... 1.161,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장외리, 서해랑 제부도해상케이블카. 서해랑 제부도해상케이블카.     서해랑 제부도 해상케이블카의 총연장은 2.12km에 달한다. 국내 해상 케이블카 중에 운행 거리가 가장 길지만, 반대편 승강장에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10여 분 남짓으로 짧은 편이다. 케이블카가 출발하는 순간부터 1분 1초가 아까워지는 이유다. 사방으로 펼쳐지는 서해안과 제부도의 풍경을 두 눈에 바삐 담아야 한다.서신 : 서해랑 제부도 해상케이블카     서해안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어울릴 수 있는 전곡항, 제부도 바다 위 2.12km 국내 최장 해상 케이블카 위치를 선정,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진 새로운 랜드마크가 있다. 제부도 지..

관광인 여행...1.160, 충청북도 충주시 금릉동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 택견.

관 광 인  여 행......................1.160, 충청북도 충주시 금릉동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 택견.  택견.      택견은 유연하고 율동적인 동작인 ‘품밟기’라는 우리 고유의 독창적 보법(步法)을 중심으로 상대를 발로 차거나 넘기는 기술을 사용하는 전통무예이다. 택견은 품밝기, 즉 유연하게 굼실거리는 보법(步法)을 기본으로 손과 발을 통해 상대를 차거나 던지기는 기술을 구사한다. 특징적인 것은 태권도의 직선적 발차기와 달리 부드럽고 곡선을 그리는 동작으로 힘을 내는 발차기와 씨름과 유사한 독특한 넘기기 기술을 동시에 구사한다.충주 : 택견.    특징적인 것은 태권도의 직선적 발차기와 달리 부드럽고 곡선을 그리는 동작으로 힘을 내는 발차기와 씨름과 유사한 독특한 넘기기 기술을 동..

관광인 여행...1,159.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백운면, 박달도령과 금봉낭자.

관 광 인  여 행......................1,159.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백운면, 박달도령과 금봉낭자. 박달도령과 금봉낭자의 박달재    박달도령과 금봉낭자의 애틋한 사연이 전해오는 이곳은 1997년 박달재터널 개통 이후 사랑의 테마 관광지로 탈바꿈해 가족, 연인과의 드라이브 코스로 제격이다. 제천 봉양읍과 백운면 사이에 있는 박달재는 1948년 박재홍이 부른 국민 애창곡 '울고 넘는 박달재'(반야월 작사, 김교성 작곡)로 더욱 유명해진 곳이다. 백운 : 박달도령과 금봉낭자     영남의 선비인 박달이 한양으로 과거 보러 가는 길에 이등령이라 일컬어지던 이 고개를 넘게 되었다. 그때 마을의 처녀를 보고 연모하게 되었으니, 두 사람은 영원한 사랑을 기약하게 되었다. 금봉은 고갯마루 서낭..

관광인 여행....1.158,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구학리, 최양업 토마스신부.

관  광  인   여  행......................1.158,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구학리, 최양업 토마스신부. 최양업 토마스 신부.    최양업 토마스 신부(1821-1861)는 1821년 3월 충남 청양 다락골의 새터 교우촌에서 최경환 프란치스코 성인과 이성례 마리아 복자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5세 때인 1836년 김대건 안드레아와 최방제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와 함께 조선 교회의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그해 12월 마카오로 유학을 떠났고, 1844년 12월 동료 김대건 안드레아와 함께 페레올 주교로부터 부제품을 받았다.봉양 : 최양업 토마스 신부    이후 김대건 안드레아 부제가 먼저 사제품을 받고 1845년 가을 페레올 주교, 다블뤼 신부와 함께 조선에 입국하였다. 그로부터 1년 뒤 1..

관광인 여행....1,15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문주란로, 제주 토끼섬과 문주란 자생지.

관 광 인  여 행........................1,157.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문주란로, 제주 토끼섬과 문주란 자생지.  제주 토끼섬과 문주란 자생지(自生地)     현재 이 섬은 전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 토끼섬이다. 문주란은 수선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높이가 50㎝ 가량 되고 위경의 굵기는 5∼10㎝이며 원주형이다. 원종은 아프리카에 있으며 이것이 해류를 타고 우리나라 제주도 토끼섬과 일본 등지에 전파되었고, 일부는 태평양 연안의 미국 대륙까지 분포하여 그곳에 알맞는 형질로 변화하여 성장하고 있다고 한다. 토끼섬은 하도리에 위치한 무인도인 섬으로 제주도를 대표하는 관광지 중 한 곳으로 유명한 곳이다. 섬 안에는 문주란이란 수선화과의 식물이 자라는데, 문주..

관광인 여행....1,156.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 행주산성.

관 광 인  여 행......................1,156.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 행주산성. 행주산성(幸州山城)     덕양산 정상에 축조된 행주산성(사적)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과 승명을 포함한 2천3백명으로 왜군 3만 여명을 크게 물리친 임진왜란 3대첩 중 하나인 행주대첩이 일어났던 곳이다. 임진왜란(1592) 때 권율 장군의 행주대첩으로 널리 알려진 곳으로 흙을 이용하여 쌓은 토축산성이다. 성을 쌓은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삼국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험한 절벽을 이용하면서 펼쳐지는 넓은 평야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삼국시대 전기의 산성 형식과 같다. 성은 동서로 약간 긴 형태로 1㎞ 가량의 테뫼식 산성이다. 고양덕양 : 행주산성(幸州山城)     덕양산 정상에는 높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