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2025/07 32

관광인 여행...1244.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광안대교.

관 광 인 여 행.....................1244.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광안대교. 광안대교(廣安大橋). 광안대교(廣安大橋)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해운대구 센텀시티 부근을 잇는 다리. 광안대로라고도 한다. 1994년 12월 착공하여 2002년 12월 개통되었다. 현수교 900m, 트러스교 720m, 접속교 5,800m로 총연장 7,420m, 폭 18~25m, 왕복 8차로로 서해대교보다 110m가 더 길다. 국내 최초의 2층 해상교량이며 현수교는 중앙에 있고 양측에 각각 360m씩 3경간 연속 2층 트러스교가 건설되어 있다.남부산 : 광안대교(廣安大橋) 광안대교에는 후판 13만 7,000t, 교량 난간에 열연강판 3,500t, 현수교 케이블에 선재 4,300t 등 모..

관광인 여행...1243.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불일폭포 (佛日瀑布).

관 광 인 여 행....................1243.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 불일폭포(佛日瀑布) 불일폭포(佛日瀑布) 불일폭포는 지리산 10경의 하나이다. 쌍계사에서 3km 지점에 있어 쌍계사를 답사한 후 불일폭포를 등산하면 좋은 여행이 된다. 쌍계사에서 등산로를 따라 4백m쯤 오르면 국사암이라는 조그마한 암자가 있는데, 삼법화상이 신라 성덕왕 21년(722)에 건립하여 수도하던 곳으로 삼법화상이 입적한 후 110년 만에 진감선사가 중건했고, 이로 인해 국사암이라고 이름 지었다. 화개 : 불일폭포(佛日瀑布) 이 국사암 입구에는 진감선사가 심었다는 사방으로 뻗은 네가지로 된 거목인 사천왕수가 특이하다. 숲속을 지나면 널따란 불일평전에 불일휴게소로 불리는 아담한 집과 정원..

중국 공룡 엽서.................. 3.

중 국 공 룡 엽 서.................. 3.엽서의 주인공들 2.3. 입장권. 4. 오메이사우루스(Omeisaurus).5. 유명한 공룡 화석지. 6. 타르보사우루스(Tarbosaurus). 입장권 중국은 공룡이 많이 발견 되었고 지금도 계속 발견 발굴되고 있어 공룡 마니아들에게는 공룡의 나라로 불리우고 있을 정도입니다. 공룡에 관한 관심과 연구에 관련 한 가지 예로, 다투사우루스는 쥐라기 중기(약 1억 6,800만 년 전)에 현재의 중국 쓰촨성 지역에서 서식하던 초식성 공룡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비교적 큰 두개골이 특징이며, 용각류 중에서도 목과 꼬리가 길고 체형이 균형 잡힌 중형 공룡으로 평가되며, 화석은 두개골과 척추, 앞다리 및 골반 뼈 일부가 비교적..

공룡 우취자료 2025.07.29

관광인 여행...1.242,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봉산리, 보성다원.

관 광 인 여 행....................1.242,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봉산리, 보성다원. 보성다원(寶城茶園) 보성읍에 있는 녹차 재배를 위한 농장. 일제강점기인 1939년 일본인 차전문기술자들에 의하여 우리 나라에서 최적의 홍차재배지로 선정되었고, 1940년 ‘베니오마레’라는 인도산 차종자를 수입, 29. 7ha의 밭에 씨를 뿌린 것이 시초가 되었다. 차나무는 본래 연중 날씨가 따뜻하고, 연중 1,500㎜ 이상의 비가 내려야 하는 해양성기후에 알맞은 온대식물인데 이 곳은 강우량이 이에 약간 못 미치지만 대륙성기후와 해양성기후가 교차하는 곳에 입지하여 안개가 많이 끼므로 수분의 함량이 많아 차재배의 조건이 비교적 알맞은 곳이다.보성 : 보성다원(寶城茶園) 1957..

관광인 여행...1.241,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김해국제공항.

관 광 인 여 행........................1.241,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김해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金海國際空港) 김해 국제 공항은 김해 공항이라고도 불린다.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창원시·진해시·울산시·사천시 등 경상남도 지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관문 공항[Gateway Airport]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김해 국제 공항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일본 군용 비행장은 일제 강점기가 끝나 갈 시점인 1940년에 일본 육군이 수영강과 온천천이 합류하는 수영만의 넓은 평야 지대, 지금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과 재송동 일대 약 1.22㎢에 군사적인 목적으로 건설하였다. 광복 이후 일본 군용 비행장의 명칭을 수영 비행장으로 변경하였다. 1948년 10월에 국내 최..

국경 없는 우취 우정........ 50.

국경 없는 우취 우정...................... 50. 1980년대 중반 세계 스포츠우표 수집가들은 한국의 88서울올림픽 우표 수집을 목적으로 한국의 공룡우표매니아에게 보내온 커버들을 소개합니다. 당시 미수교국(대부분 공산권)을 포함 110여개국이 넘었으나 여기에선 77개국 커버만 보여드립니다. 당시 인기리에 발행된 서울 올림픽우표는 우표값 + 부과금 = 이여서 부담이 컸던 기역만 남아 있네요 지금은......유럽(Europe). 150. 체코(Czech) 151. 덴마크(Denmark)152. 에이레(Eire) 153. 영국(United Kingdom) 체코(Czech) 유럽 중부에 있는 내륙국. 수도는 프라하이며 화폐는 체코 코루나이다. 국민의 대다수가 체코인이며 국어는 체코어이..

일체형 교류 2025.07.26

궁중채화(Royal Silk Flowers). 우표발행

궁중채화(Royal Silk Flowers). 우표발행우표발행일 우표발행일 : 2025년 7월 25일. 우표번호 : 3827 ~ 3828(2종)명 칭 : 궁중채화. 디자이너 : 박은경.디 자 인 : 순조기촉진찬 지당판, 고종 정해진찬 지당판발 행 량 : 총 592.000장. 용 지 : 평판 원지.우표크기 : 30mm x 40mm. 인 면 : 30mm x 40mm.액면가격 : 430원. 인쇄 / 색수 / 특수처리 : 평판 / 4도 / 금박전지구성 : (4x4)(168mm x218mm).인 쇄 처 : 한국우편사업진흥원 / Brebner Print다음 발행 우표 : 광복 80년. 2025. 8월 14일 궁중채화(宮中綵花)는 궁중의 연회나 의례를 장식하기 위해 화려하게 만든 가화(假花)입니다. 조선 시..

신발행우표 2025.07.25

관광인 여행...1240.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영천리, 판소리.

관 광 인 여 행...................1240.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영천리, 판소리. 판소리. 판소리는 전통적으로 광대라고 불려진 하층계급의 예능인들에 의하여 가창·전승되어 왔다. 그들은 때로는 농촌이나 장터에서 노래했고, 때로는 양반·부호들의 내정(內庭)에서 연희하기도 하였다. 판소리사의 진행과정을 통해 청중의 구성은 점차 상향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를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판소리는 평민예술의 바탕을 지니면서도 탈춤, 남사당놀이 등과 달리 다양한 계층의 청중들을 포용할 수 있는 폭과 유연성을 지녔다고 하겠다.회천 : 판소리 판소리란 ‘판놀음으로 벌이는 소리’라는 뜻이다. 소리라는 말에는 음향(音響)이라는 뜻도 있지만 선소리·김매기소리·짓소리에서 볼 수 있듯이 노래라는 뜻..

중국 공룡 엽서.................. 2.

중 국 공 룡 엽 서.................. 2.엽서의 주인공들 2. 미크로랍토르(Microraptor) 히파로사우루스(Hyphalosaurus) 미크로랍토르(Microraptor) 아래그림 중생대 백악기 전기(약 1억 2,000만년 전~1억 1,000만년 전) 중국에서 서식했던 2족 보행의 수각류 공룡이다. 용반목-수각아목-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에 속하는 종이다. 학명은 '작은 도둑'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전체 몸길이는 약 40cm~80cm, 체중은 600g~1.5kg 정도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나무 위를 오르내리며 도마뱀이나 작은 곤충을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깃털이 달린 네 개의 다리를 펼치고 나무와 나무 사이를 건너다녔다. 온몸에 원시 깃털이 있으며 두 종이 있..

공룡 우취자료 2025.07.23

관광인 여행....1,239.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금샘.

관 광 인 여 행.....................1,239.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금샘. 금샘. 금정산 금샘(金井山 金井)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금정산 계명암에 있는 바위샘이다. 2013년 9월 25일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62호로 지정되었다. 백악기 말인 약 8천만 년 전부터 형성된 화강암체가 오랜 세월 동안 풍화와 기후변화를 겪으며 만들어진 금샘은, 그 자체로도 학술적 가치가 매우 뛰어난 장소다. 주변에 널리 분포하는 토르와 암괴류, 그리고 이 일대에 자생하는 등나무 군락지 등과 어우러져 절경을 이루는 곳이다. 부산금정 : 금샘 금정산성 북문에서 고당봉 쪽으로 300 여m쯤 오르다보면 고당샘이 나오고, 이곳에서 다시 오른쪽으로 100여m쯤 내려가면 바위군 맨 끝에 우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