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2021/07 31

공룡의 종류.....166. 오르니토미무스(Ornithomimus)

공룡의 종류.....166. 오르니토미무스(Ornithomimus) 북미의 첫 깃털공룡, 오르니토미무스는 중생대 백악기 후기(약 7,500만년-6,600만년 전), 북미대륙에 서식했던 공룡으로 수각류 잡식 공룡이다. 오르니토미무스속에 속하는 수각류 공룡의 총칭이다. 학명은 '새의 모방자', '새를 닮은 자'(중국에서도 '似鳥龍'라고 불리고 있다.)라고 하는 의미를 갖고 있다. 타조공룡으로 불리는 오르니토미무스과를 대표하는 공룡으로, 주된 특징은 세개의 발가락, 긴 목, 조류와 유사한 머리 등이 있다. 오늘날의 타조와 같은 모습으로 달리는 속도도 시속 50~60km/h로 빨랐을 것으로 추정된다. 발차기 외에 별다른 무기가 없었으므로 티라노사우루스같은 포식자가 나타나면 빠르게 도망쳤다. 2014년에 이 공룡..

관광인 여행 ..... 457. 경북 상주군 화북면의 문장대

관광인 여행 ..... 457. 경북 상주군 화북면의 문장대(文藏臺) 상주화북 : 문장대(文藏臺) 문장대는 법주사에서 동쪽으로 약 6km 지점,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 위치한 해발 1,054m의 석대이다. 정상의 암석은 50여명이 한꺼번에 앉을 수 있는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아주 가물 때가 아니면 늘 물이 고여 있는 석천으로 유명하다. 경상북도와 충청북도의 경계에 위치한 속리산은 주봉인 천황봉이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 있으며 절경을 이룬 문장대 속리산은 동식물의 보고이기도 하여 동물 580종이 서식하고 식물 672종이 생장하고 있다. 동물 중에는 조류 160종, 수류 240종, 곤충류 180종이 있고 특색 있는 것으로는 큰갓새, 붉은가슴갓새, 사향노루, 날다람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

아름다운 호수(Beautiful Lakes), 초일커버( FDC)

아름다운 호수(Beautiful Lakes), 초일커버( FDC) 발행일 : 2021. 7. 1. 우표번호 : 3520~3523. 디자인 : 대청호. 횡성호. 용담호. 소양호. 디자이너 : 김미화 인쇄 / 색수 : 평판 / 5도 용지 : 평판 전지. 인쇄처 : 한국우편사업진흥원(Royal Joh. Enschede) #. 3520. 대청호 #. 3521. 횡성호 #. 3522. 용담호 #. 3523 소양호 우리나라는 4대강 전 권역에 인공호를 조성하여 생활용수 및 농공업용수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우정사업본부는 에서 투표를 진행하여 한국의 인공호 4곳을 선정하였고, 이곳의 사계절 풍경을 담아 ‘아름다운 호수’ 기념우표를 발행합니다. #. 3520. 대청호 1980년에 완공된 대청호는 대전광역시와 충북 청주시..

신발행우표 2021.07.09

관광인 여행 ..... 456. 인천광역시 남동구의 은율탈춤

관광인 여행 ..... 456. 인천광역시 남동구의 은율탈춤 남인천 : 은율탈춤 조선 후기부터 은율에서 탈춤을 놀았고 각 지방의 관아에서 베풀어진 나례와 산대놀이 또는 민간놀이 등을 전제로 하면 은율탈춤의 성립은 조선 후기보다 훨씬 이전에 성립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은율은 농산물이 풍부했고 일찍이 인구 증가와 상업이 발달되어 탈춤이 발달하기에 좋은 환경이었다. 지역 사람들의 말에 따르면 탈춤의 최고 전성기는 3·1운동 이전의 1910년대 중반이었다고 한다. 당시 사리원에서 황해도 탈춤경연대회가 벌어졌는데 이때 은율탈춤이 우승했다고 한다. 이후 차츰 쇠퇴하여 1930년에는 몇몇 놀이꾼에게서 전승되었고 일제강점기 말기에는 겨우 명맥만 유지할 정도였다. 1951년 1·4후퇴 이후 놀이꾼이 인천으로 월남하여 ..

어린이 작품......2. 아낌없이 주는 소(牛 cattle)

어린이 작품......2. 아낌없이 주는 소(牛 cattle) 1. 전설 2. 생태와 종류 1 - 3 12지 12지 중의 소는 방향으로는 동북, 시간적으로는 새벽 1시에서 3시, 달로는 음력 12월을 지키는 방향신(方向神)이자 시간신(時間神)이다. 여기에 소를 배정한 것은 소의 발톱이 두 개로 갈라져서 음(陰)을 상징한다는 것과 그 성질이 유순하고 참을성이 많아서, 씨앗이 땅 속에서 싹터 봄을 기다리는 모양과 닮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2 - 1 생태 소는 반추 동물인데 이 말은 소는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먹이를 반복하여 게워내고 이를 새김질감으로 다시 씹을 수 있는 소화 계통을 가졌다는 뜻이다. 새김질감은 다시 삼켜지고 반추위에 서식하는 특별한 미생물에 의하여 좀 더 소화가 된다. 이 미생물들은 섬유소와..

관광인 여행 ..... 455. 경기도 수원시의 화성행궁 신풍루

관광인 여행 ..... 455. 경기도 수원시의 화성행궁 신풍루(華城行宮 新豊樓) 수원 : 화성행궁 신풍루(華城行宮 新豊樓) 화성행궁은 정조가 능원에 참배할 때 머물던 임시 처소로서, 평소에는 부사(府使) 또는 유수(留守)가 집무하던 곳으로 활용되던 행궁이다. 이 행궁은 팔달산 정상의 서장대 아래의 산기슭을 중심으로 경사지가 펼쳐지고, 시가지가 시작되는 곳의 평지에 위치해 있다. 구조는 앞쪽으로 긴 장방형 구조이다. 정문인 신풍루 양쪽으로 남군영과 북군영이 있으며 신풍루로 들어서면 왼쪽으로는 서리청과 비장청, 오른쪽으로는 집사청이 위치해있다. 서리청과 비장청, 집사청을 좌우로 지나 마당을 가로지르면 좌익문이 있고, 이를 통과하면 중앙문이 나온다. 이 중앙문을 지나면 화성행궁의 정전인 봉수당이 나타난다. ..

우표로 엮는 성경(신약) 이야기.... 19.

우표로 엮는 성경(신약) 이야기.... 19. 1. 복음서 1 - 4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 - 3. 예수의 수난과 죽음, 이 사건은 그를 따르는 자들의 믿음에 결정적인 중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복음서들의 많은 일치점에도 불구하고 수난 전승에는 상당한 모순이 있다. 따라서 수난 전승이 역사적으로 정확한 내용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대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교회의 관점과 교회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설화에서 가장 중요한 신학적인 주제는 예수의 수난과 죽음을, 천한 죽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메시아와 하느님의 아들로 선언하려는 것이며, 구약성서 예언자들과 시편의 말씀에 의거하여 하느님의 뜻을 성취하는 자로 표현한다. (다음백과) 돌아가시는 예수님 십자가상에서 운명하면서 "다 이루었..

관광인 여행 ..... 454. 서울특별시 은평구의 파발(擺撥)

관광인 여행 ..... 454. 서울특별시 은평구의 파발(擺撥) 서울은평 : 파발(擺撥) 조선은 본래 군사 통신제도로서 봉수제를 갖추고 있었으나, 임진왜란을 치르면서 파발제의 필요성을 느끼고 1597년(선조 30)에 이를 설치하게 되었다. 파발에는 말을 타고 연락하는 기발과 사람이 속보로 걸어서 연락하는 보발이 있었다. 이중 기발은 25리마다 참을 설치하고 매참에 발장 1명, 색리 1명, 파발군 5명, 말 5필을 두었다. 보발은 30리마다 참을 두고 발장 1명과 파발군 2명을 배치했다. 파발은 서울에서 의주에 이르는 서발, 서울에서 경흥까지의 북발, 서울에서 동래에 이르는 남발 등 3대로를 중심으로 정비되었다. 참의 설치 수는 〈만기요람〉에 따르면 서발에는 직로에 38참(경기 7참, 황해도 13참, 평안..

궁궐의 신비로운 동물. 초일커버(FDC)

궁궐의 신비로운 동물(Mythical Creatures of Korean Palace) 초일커버(FDC) 발행일 : 2021. 6. 22. 우표번호 : 3516 ~ 3519 디자인 : 용. 해치. 기린. 주작. 디자이너 : 유지형 인쇄 / 색수 / 특수처리 : 평판 / 4도 / 요판 용지 : 평판 원지 인쇄처 : 한국우편사업진흥원(Southern Colour Print For POSA) 우리나라 궁궐을 둘러보면 동물 석상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 동물상들은 각기 형태가 다양하며, 주로 왕실의 권위와 위엄, 법과 정의, 방위신 등을 상징합니다. 우정사업본부는 조선 5대 궁궐 중 하나인 경복궁과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는 동물 석상을 주제로 ‘궁궐의 신비로운 동물’ 기념우표를 발행합니다. # 3516. 용..

관광인 여행 ..... 453.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의 제주한란

관광인 여행 ..... 453.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의 제주한란(濟州寒蘭) 서귀포 : 제주한란(濟州寒蘭) 난초과에 속하는 상록 다년생초. 학명은 Cymbidium kanran Makino 이다. 제주도의 숲속에서 자라며, 천연기념물로 제 191 호로 지정되었다. 겨울에 꽃이 피는 특성 때문에 한란(寒蘭)이라고 한다. 제주도 돈내코 계곡에 한란군락지가 2002년 2월2일 천연기념물 제432호 ‘제주 상효동 한란자생지’로 지정됐다. 선형의 잎은 약간 휘어지며 모여난다. 잎의 가장자리에 미세한 톱니가 있으나 그리 거칠지 않아 매끈한 것처럼 느껴진다. 잎의 표면은 각피질로 되어 있어 윤기가 나고 뒷면에는 윤기가 없고 기공이 분포되어 있다. 꽃대는 길이가 20~50㎝이며 곧추선다. 11~12월에 5~10개의 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