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충사 (광주대촌) 포충사 (광주대촌) 광주대촌 : 포충사 광주기념물 제8호인 포충사는 임진왜란 당시 호남에서 최초로 의병 7,000명을 모집하여 금산전투에서 장렬히 순절한 고경명(1533 ~ 1592) 선생의 충절을 기리기 위한 사액사당이다. 중종 28년∼선조 25년(1533∼1592). 향년 60세. 조선 중기의 문인.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 관광인, 실체교류 2011.07.18
이순신장군과 군함 이순신장군과 군함 진해우체국의 관광통신일부인은 1993년 1월 4일부터 사용도었던 이순신장군과 군함(디자이너 전희한) 디자인을 변경(디자이너 김소정)하여 2011년 4월 1일부터 사용하고 있다. 진해 : 이순신장군과 군함. 변경전 (사용 말일) 이순신은 1545년 3월 8일(음력) 서울 건천동에서 태어났으나, .. 관광인, 실체교류 2011.05.24
거북선과 나우 거북선과 나우 한국 - 포르투갈 수교 50주년기념 거북선 (16세기) 거북선은 왜구의 격퇴를 위하여 돌격선으로 특수하게 제작된 장갑선(裝甲船)이었다. 따라서 거북선의 기원을 왜구의 침해가 가장 심했던 고려 말기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와 같이 거북선은 고려말, 또는 조선 초기에 이미 제조·사용되.. 맥시멈. 영원엽서(그림) 2011.05.15
꽃지해수욕장, 충렬사 꽃지해수욕장, 충렬사 안면 : 꽃지해수욕장 안면읍 승언리 소재지에서 서남쪽으로 약 4km 떨어진 승언리 4구 꽃지 해변이 위치한 이 해수욕장은 해안선의 길이가 삼봉해수욕장 다음 가는 약 5km에 달한다. 안면도 해변의 모래는 전부 유리 원료인 규사인데 이곳 꽃지해수욕장 역시 규사로 되어있어 바다.. 일체형 교류 2011.05.10
한반도지형, 포충사. 한반도지형, 포충사. 신천 : 한반도지형 맑고 청명한 서강의 물줄기는 영월군 한반도면 용정리 선암마을변에 우리땅을 그대로 복원하듯 한반도 지형을 만들어 놓았다. 마을 사람들이 옛날부터 한반도를 닮았다 하여 찾아간 선암마을의 한반도지형은 삼면이 바다인 우리땅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풍.. 관광인, 실체교류 2011.04.26
광주대촌동 포충사 광주대촌동 포충사 광주대천동 : 포충사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7호인 포충사는 임진왜란 때 활약한 고경명(1533∼1592)과 그의 장남 고종후(1554∼1593)·둘째 고인후(1561∼1592) 등 3부자와 유팽로(1554∼1592)·안영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고경명은 임진왜란 때 60세의 고령으로 의병 7천명을 이끌고 ..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1.04.16
범어사 (부산금정) 범어사 (부산금정) 부산금정 : 범어사 678 신라 문무왕시절에 의상에 의해서 지어졌다. 후에 조계종으로 합쳐진 화엄종의 10대 사찰 안에 속했다. 고려 시대에 최전성기를 누렸으며, 그 때는 지금보다 훨씬 더 큰 규모였다. 임진왜란으로 인해서 절이 탔으며, 1602년 복원되었으나 또 화재가 발생하였다. ..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1.01.16
충렬사 (부산수안) 충렬사 (부산수안) 부산수안 : 충렬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호인 충렬사는 임진왜란(1592) 때 왜적과 싸우다 전사한 부산 지방의 선열을 모신 곳이다. 전쟁이 끝나고 조선 선조 38년(1605)에 동래읍성의 남문 안에 충렬공 송상현을 모신 송공사를 처음 세웠는데, 인조 2년(1624)에 충렬사라는 이름을 임..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1.01.15
행주산성, 남한산성 (일체형 16) 행주산성(고양덕양), 수어장대(남한산성) (일체형 16) 고양덕양 : 행주산성 사적 제56호인 행주산성(幸州山城)은 임진왜란(1592) 때 권율 장군의 행주대첩으로 널리 알려진 곳으로, 흙을 이용하여 쌓은 토축산성이다. 행주대첩은 임진왜란 3대 대첩 중 하나로, 선조 26년(1593)에 왜병과의 전투에서 성 안의 .. 일체형 교류 2011.01.12
관광인 실체 교류 (부여외산 무량사) 관광인 실체 교류 (부여외산 무량사) 부여외산 : 무량사 무량사[無量寺]는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만수산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옛 문헌에는 홍산(鴻山) 무량사라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 무량사가 위치한 지역이 행정구역으로 부여군 외산면(外山面)에 .. 관광인, 실체교류 2010.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