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항포 국민관광지, 거연정 당항포 국민관광지, 거연정 고성회화 : 당항포 국민관광지 당항포 국민관광지는 임진왜란이 터진 선조 25년(1592년) 6월과 선조 27년 3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두차례에 걸쳐 모두 57척의 왜선을 격침시켜 승전고를 울린 당항포해전을 기념하고, 충무공의 애국애민 정신을 기리고자 .. 관광인, 실체교류 2011.12.03
포충사 (광주대천동) 포충사 (광주대천동) 광주대촌동 : 포충사 시도기념물 7호인 포충사는, 임진왜란 때 활약한 고경명(1533∼1592)과 그의 장남 고종후(1554∼1593)·둘째 고인후(1561∼1592) 등 3부자와 유팽로(1554∼1592)·안영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고경명은 임진왜란 때 60세의 고령으로 의병 7천..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1.11.14
충렬사 (부산안락) 충렬사 (부산안락) 부산안락 : 충렬사 시도유형문화재 7호인 충렬사는 임진왜란(1592) 때 왜적과 싸우다 전사한 부산 지방의 선열을 모신 곳이다. 전쟁이 끝나고 조선 선조 38년(1605)에 동래읍성의 남문 안에 충렬공 송상현을 모신 송공사를 처음 세웠는데, 인조 2년(1624)에 충렬사라는..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1.11.12
문경새재 (문경새재) 문경새재 (문경새재) 문경새재 : 문경새재 문경새재는 조선 태종 14년(1414)에 만든 고갯길로, 예전에는 영남에서 한양으로 갈 때 가장 빠른 길이었다. 문경새재의 새재는 ‘새도 날아서 넘기 힘든 고개’라는 뜻이다. 문경새재 주변은 주흘산과 조령산이 이루는 험준한 지형으로 국방상 중요한 요새였으..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1.10.13
고운사 가운루 (단촌) 고운사 가운루 (단촌) 단촌 : 고운사 가운루 시도유형문화재 151호인 고운사 가운루는 등운산에 위치하고 있다. 신라 문무왕 원년(681)에 의상대사가 지은 절로서,신라의 최치원이 승려 여지, 여사대사 등과 함께 가운루·우화루를 세우고 이를 기념하여 그의 호를 따서 ‘고운사(孤雲寺)’라 이름을 바..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1.10.02
석탈해왕 유허비각 (양남) 석탈해왕 유허비각 (양남) 양남 : 석탈해왕 유허비각 하늘의 기와 동방의 빛을 타고 경주석씨 시조로 동해안 아진포에서 탄생하신 신라 제4대 탈해왕(57-60)이 탄강한 곳이다. 신라 3대 왕성 가운데 최초의 석씨 왕인 탈해왕 탄강지는, "삼국유사" 에 '계림동 하서지촌 아진포' 라 하였고, 조선 헌종 11년(184..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1.09.22
포충사 (옛 사당, 고경명 상) 포충사 (옛 사당, 고경명 상) 광주대촌 : 포충사(옛 사당) 시도기념물 7 호인 포충사는, 임진왜란 때 활약한 고경명(1533∼1592)과 그의 장남 고종후(1554∼1593)·둘째 고인후(1561∼1592) 등 3부자와 유팽로(1554∼1592)·안영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고경명은 임진왜란 때 60세의 고령으로 의병 7천명을 ..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1.08.13
행주산성, 서오릉 행주산성, 서오릉 고양덕양 : 행주산성 선조 26년(1593)에 권율 장군이 이곳에서 3천명의 병력으로 3만 왜구를 물리쳐 큰 승리를 일궈냈는데, 이 때 성 안에 있던 부녀자들이 치마폭에 돌을 담아서 날라 병사들에게 전달하는 큰 공로를 세워 ‘행주치마’라는 명칭이 유래했다는 유명한 일화가 전해진다. ..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1.07.23
거북선, 옥순봉 거북선, 옥순봉 거북선 거북선은 왜구의 격퇴를 위하여 돌격선으로 특수하게 제작된 장갑선(裝甲船)이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거북선의 기원을 왜구의 침해가 가장 심했던 고려 말기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와 같이 거북선은 고려말, 또는 조선 초기에 이미 제조·사용되었으며, 1592년(선조 25) 임진.. 맥시멈. 영원엽서(그림) 2011.07.20
동래읍성 해자, 충렬사. 동래읍성 해자, 충렬사. 부산수안 : 동래읍성 해자 해자는 성곽 주변에 만들어진 인공수로로 방어용 군사시설인데, 산성을 방어의 중심으로 삼았던 우리나라에서는 드문 편이다. 동래읍성 해자 유적은 학계를 흥분시키기에 충분했다. 임진왜란 당시의 상황을 그린 것으로 알려진 ‘동래.. 관광인, 실체교류 2011.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