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원릉, 촉석류 풍경 건원릉, 촉석류 풍경 구리 : 건원릉 조선시대의 왕릉군. 조선을 건국한 태조의 능인 건원릉을 위시하여 9개의 왕릉이 서울의 동쪽에 모여 있어 ‘동구릉’이라 한다. 총 9명의 왕 혹은 왕비 및 세자의 능과 17개의 신위가 모셔져 있다. 건원릉은 다른 능과 달리 무덤 위에 잔디가 아닌 억새.. 관광인, 실체교류 2012.05.18
거북등대. 거북선 거북등대. 거북선 통영한산 : 거북등대 귀덕리 제승당 입구 바다 암초의에 세워진 거북등대는 1963년 12월에 세운 것으로서 한산대첩지가 여기임을 가리켜 주고 있으며 항해하는 선박들을 인도하고 있다. 그리고 무인등대로 저녁 시간에 포구에서 바라보는 낙조는 한 폭의 그림을 연상케 .. 맥시멈. 영원엽서(그림) 2012.05.01
한국의 명목 시리즈 4 번째 우표 한국의 명목 시리즈 4 번째 (우표) 발행일 : 2012년 4월 5일. 우표번호 : 7854 ~ 7857 디자이너 : 김칭환 디자인 : 의령세간리 현고수.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 광양읍수와 이팝나무. 구레 화엄사 올벗나무 우리나라의 유서 깊은 나무들을 소개해 왔던 한국의 명목 시리즈 그 마지막 묶음으로 올해.. 신발행우표 2012.04.05
칠백의총 (금산) 칠백의총 (금산) 금산 : 칠백의총 이 곳은 임진왜란(壬辰倭亂)때 누란의 위기에 처한 조국과 민족을 구하기 위해 7백여명의 의병으로 1만 5천여명의 왜군과 혈전을 벌여 전원 순절하신 칠백의사의 충절의 혼이 서려있는 성역이다. 임진왜란때 조헌선생은 의병을 일으켜 선조 25년(1592년) 8월..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2.04.03
포도와 유기, 고씨동굴 포도와 유기, 고씨동굴 안성 : 포도와 유기 안성포도는 안성의 포도는 1901년(조선 고종 18년) 천주교 신부콩베르가 프랑스에서 포도묘목을 가져와 교회앞뜰에 심은 것으로부터 유래한다. 예로부터 안성은 적절한 기온차와 밤낮의 큰 일교차로 과일의 향과 맛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토양과.. 관광인, 실체교류 2012.03.24
거북선 (여수) 거북선 (여수) 여수 : 거북선(선소유적지) 여수의 선소유적은 조선시대의 조선소 유적지로,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나대용과 함께 거북선을 만들었던 조선소 유적이다. <난중일기>에 의하면 선소유적이 속해 있었던 순천부 선소는 왜란 이전부터 있었으며, 임진왜란 중에 전라..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2.03.02
화엄사 각황전 (구례) 화엄사 각황전 (구례) 구례 : 화엄사 각황전 국보 제 67 호인 화엄사는, 지리산 남쪽 기슭에 있는 절로 통일신라시대에 지었다고 전한다. 조선시대에는 선종대본산(禪宗大本山) 큰절이었는데, 임진왜란 때 완전히 불타버린 것을 인조 때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원래 각황전..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2.02.19
거북등대 (통영한산) 거북등대 (통영한산) 통영한산 : 거북등대 한산도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시작이자 세계적인 해전으로 손꼽히는 한산대첩의 배경이다. 한산대첩은 이순신 장군이 학익진을 처음 사용한 전투로, 진주·행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 3대 대첩 중 하나다. 한산대첩은 일본의 대륙정벌 야..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2.02.07
고운사 가운루, 경주 문무대왕릉 고운사 가운루, 경주 문무대왕릉 외성단촌 : 고운가 가운루 등운산에 위치한 고운사는 신라 문무왕 원년(681)에 의상대사가 지은 절로서,신라의 최치원이 승려 여지, 여사대사 등과 함께 가운루·우화루를 세우고 이를 기념하여 그의 호를 따서 ‘고운사(孤雲寺)’라 이름을 바꾸었.. 관광인, 실체교류 2012.01.16
통영충렬사, 보은 속리 정이품송 통영 충렬사, 보은 속리 정이품송 통영중앙 : 충렬사 임진왜란 중에 수군통제사로서 가장 큰 업적을 남긴 충무공 이순신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당으로 충무공의 활동무대가 한산도를 중심으로 한 통영 근처였기 때문에 남해 충렬사와 함께 이곳에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게 .. 관광인, 실체교류 201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