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토사우루스(Apatosaurus) 아파토사우루스(Apatosaurus) 화석발견지 : 북아메리카(미국의 서부) 생 존 시 기 : 쥐라기 후기 최 대 크 기 : 25m 용반목 용각류 "속이는 도마뱀" 또는 "현혹시키는 도마뱀" 이라는 의미의 이름을 지닌, 이 공룡은1870년에 발견해 브론토사우루스(Brontosaurus)라고 이름 지었는데 나중에 아파토사.. 우표로 엮는공룡 백과 2007.11.08
디크라에오사우루스(Dicraeosaurus) 디크라에오사우루스(Dicraeosaurus) 화석발견지 : 아프리카(탄자니아) 생 존 시 기 : 쥐라기 후기 최 대 크 기 : 14m 용반목 용각류 '등이 솟은 도마뱀" 이라는 뜻으로, 튼튼한 등뼈가 불룩하게 솟아 있고 그 줄기를 따라 양쪽으로 갈라진 돌기가 나 있다. 용각류(Sauropoda) 이지만 목이 �고, 같은 .. 우표로 엮는공룡 백과 2007.11.04
마멘키사우루스(Mamenchisaurus) 마멘키사우루스(Mamenchisaurus) 화석발견지 : 아시아(중국) 생 존 시 기 : 쥐라기 후기 최 대 크 기 : 25m 용반목 용각류 1994년 사우로포세이돈(Sauroposeidon)이 발견되기 전까지 목이 가장 긴 공룡 이었다. 길이만 자그마치 14m였다. 기중기처럼 생긴 이 목은 수직과 수평 모두 움직일수 있었기 때문.. 우표로 엮는공룡 백과 2007.10.30
아마르가사우루스(Amargasaurus) 아마르가사우루스(Amargasaurus) 화석발견지 : 남아메리카(아르헨티나) 생 존 시 기 : 백악기 전기 최 대 크 기 : 12m 용반목 용각류 1984년 아르헨티나의 파타고니아에서 거의 완전한 형태의 이 공룡 화석이 발견 되었는데, 발견된 화석 뼈들을 보면, 굉장히 특이한 등뼈들이 있었다는 것을 알수.. 우표로 엮는공룡 백과 2007.10.28
공룡은 살아 있다 7. (아프리카 콩고의 괴물) 공룡은 살아 있다 7. (아프리카 콩고의 괴물) 아프리카 콩고의 텔레(Tele)호에서 살고 있는 괴물이 모케레-음베음베(Mokele-Mbembe)다. 이 괴물에 관한 최초의 보고는 1913년, 프로이센 군대의 사령관인 스테인(Freiherr Von Stein)에 의해서 이다. 스테인 사령관이 어떤 흔적을 발견했을 때, 그의 원주.. 우표로 엮는공룡 백과 2007.10.08
한국의자랑, 공룡발자국 한국의 자랑 공룡 발자국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의 공룡 발자국 화석은 1980년대에 들어서며 알려지기 시작했고, 공룡 발자국 화석 연구가 처음으로 시작된 곳이기도 하다. 2000년도에 조사된 결과에 의하면 두께 100m의 지층속에 발자국이 남아있는 지층면이 무려 300여 개이고, 48군데의.. 한국의 공룡 2007.09.23
우리나라의 공룡 (마지막회) 우리나라의 공룡 1973년 경북 의성 탑리에서 처음으로 공룡의 골격 화석 일부가 부산대 김항묵교수에 의해 발견 되었다. 발견된 뼈는 그후 경북대 장기홍교수가 재발견하고 발굴하여 경북대에 보관하고 있다. 이뼈는 김교수에 의해 용각류(Sauropoda)의 오른쪽 아래 팔뼈인 척골의 일부로 동.. 한국의 공룡 2007.09.21
한국공룡, 천년부경룡(Pukyongosaurus) 한국의 공룡. 천년부경룡(Pukyongosaurus) 2000년 2월 경남 하동군 금성면 갈사리 앞바다 돌섬에서 에서, 중생대 백악기에 살았던 공룡의 늑골, 척추골, 쇄골, 목뼈5점 등이 발견 되었다. 부경대 백인성(환경지질학) 교수팀이 발견한 이 뼈화석의 주인공은, 1억 4000만 년 전 살았던 목이 긴 초식공.. 한국의 공룡 2007.09.13
한국의 공룡, 코리아나사우루스(Koreanosaurus) 한국 공룡. 코리아나사우루스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공룡 발자국이 제일 많은 지역으로 꼽힌다는 사실은 이미 여러차례 언급한바와 같다. 지금까지 발견된 공룡 발자국은 8000여개, 1972년 경남 하동에서 공룡 알 화석이 발견 되면서 우리나라에 공룡이 존재 했다는 사실이 확인 되었지만, .. 한국의 공룡 2007.09.11
세이스모사우루스(Seismosaurus) 세이스모사우루스(Seismosaurus) 화석발견지 : 북아메리카(미국의 뉴멕시코) 생 존 시 기 : 쥐라기 후기 최 대 크 기 : 50m 용반목 용각류 지진 도마뱀(땅을 뒤 흔드는 도마뱀) 이라는 뜻으로, 이공룡은 1979년 발견되어 알려진 어마어마하게 큰 공룡 이다. 걸을때 마다 땅이 흔들렸을 거라는 생각.. 우표로 엮는공룡 백과 2007.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