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스모사우루스(Seismosaurus)
화석발견지 : 북아메리카(미국의 뉴멕시코)
생 존 시 기 : 쥐라기 후기
최 대 크 기 : 50m 용반목 용각류
지진 도마뱀(땅을 뒤 흔드는 도마뱀) 이라는 뜻으로, 이공룡은 1979년 발견되어 알려진 어마어마하게 큰 공룡 이다. 걸을때 마다 땅이 흔들렸을 거라는 생각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어떤 학자들은 총 길이를 50m이상으로 추정 하기도 하는데, 40m정도로 보는 것이 적당할것 같다. 허지만, 30톤, 다른 계산 방식에 따르면 60톤까지 나가는 이 공룡은 그 이름에 걸맞는 생활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발견된 단 하나의 화석 표본으로 보면, 다른 디플로도쿠수류(Diplodocidae)처럼, 등뼈 바로 밑에 다른뼈가 있어 목과 꼬리를 지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꼬리 끝은 디플로도쿠스류의 전형적 형태인 채칙 모양이었지만, 특이하게 꼬여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허지만 그 이유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몸통에 비해 머리 크기는 아주 작았다. 작은 머리는 모든 용각류(Sauropoda)의 특징이다. 빗살처럼 생긴 이빨로 나무잎을 먹었고 아무리 높은곳의 잎이라도 긴 목을 이용해 쉽게 먹을수 있엇지만, 거대한 몸을 유지하기위해 쉴새없이 먹어야 했고, 소화를 돕기 위해서는 위석(gastroliths)을 필요햇을 것이다. 위속의 돌 즉 위석이 230개가 뼈화석과 발견된 것으로 보아 소화되기 전 잘게 으깨주워야 하는 뻣뻣한 식물들을 먹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유일 하게 발견된 이 공룡의 화석은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화석이 사암 깊은곳에 묻혀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화석뼈의 위치를 정확하게 �아내는 지층 탐사 레이더를 비롯한 최신 기술이 이용되고 있지만, 이들의 화석은 아직도 지표면에 묻혀있다.
이 공룡의 유일한 흔적이 발견된 사연은, 등산객 두명이 이 공룡 꼬리뼈에 걸려 넘어질뻔 해서였다. 이후 고생물 학자들이 나머지 화석들을 캐내기 시작하자, 그때까지 알려진 공룡중 가장 큰 공룡임이 밝혀졌다. 화석을 보면 이 공룡은 전형적인 디플로도쿠스류이지만 그중 몸집이 가장큰 공룡임을 알수 있다. 이렇게 거대한 공룡임에도 몸이 가벼웠으며(뼈속이 비어있어서)몸을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었다. 거대한 몸집을 지탱하기 위한 다리는 굵고 튼튼했으며나 다리는 비교적 짧아서 거대한 몸집을 지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성질은 온순해 무리를 지어 생활 했다. 목이 엄청나게 길어서, 머리까지 피를 운반하기 위해 아주 높은 혈압이 필요했을 것이다. 최근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거대한 용각류들의 길고 긴 목은 높이 세울수 없었다는 사실을 알아 냈다고 한다. 즉 높이 곧추세울수는 없었고(뼈의 구조상) 몸통과 수평을 유지하고 좌우로 30도각만 움직일수 있었다고 한다.
세이스모사우루스(Seismosaurus)
이제까지 수많은 문헌과 그림에서 긴목을 높이 쳐들고 유유자적 움직이는 형태의 그림들은 이제 모두 바뀌어야 할 판이다, 공룡연구는 새로운 사실이 밝혀질때마다 바뀐다. 오늘의 공룡이 내일의 공룡이 아닐수도 있는 것이다. 축구장 길이의 절반. 일본의 고속열차의 선두부분보다 8m나 더큰 이 공룡의 화석은 골반과 등뼈, 꼬리뼈, 목뼈, 일부와 위석(숫자는 자료마다 차이가 있음)이 발견 되었는데, 과연 이 공룡의 기록(크기)을 깰 만한 공룡은 없는 것인지는 더 두고 보아야 할것이다. 왜냐하면 아직도 새로운 공룡들이 계속 발견되고 있으며 이 공룡이 발견되기 전에는 슈퍼사우루스(Supersaurus)가 최고이며 이 이상의 공룡은 아마도 없을것이라고 했었던 과거가 있기 때문이다.
자료출처 : 킹피셔의 공룡대백과. 이융남의 공룡 대탐험, 학습도감 공룡, 공룡과 선사시대의 동물,
황소 걸음사의 공룡사전, 다림의 공룡의 종류. 월간 과학, 외
'우표로 엮는공룡 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사우루스(Supersaurus) (0) | 2007.09.09 |
---|---|
울트라사우로스9Ultrasauros) (0) | 2007.09.07 |
티타노사우루스류(Titanosauridae) (0) | 2007.09.04 |
티타노사우루스(Titanosaurus) (0) | 2007.09.02 |
살타사우루스(Saltasaurus) (0) | 2007.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