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인 여행,... 36. 경기 고양의 최영장군 묘 (崔瑩將軍墓) 관광인 여행.... 36. 경기 고양의 최영장군 묘 (崔瑩將軍墓) 사용개시일 : 2018. 5. 23 ~ 디자이너 : 박은경 사용우체국 : 벽제우체국 벽제 : 최영장군 묘 (崔瑩將軍墓) 고려 후기의 명장이며 충신으로 고려를 끝까지 받들려다 뜻을 이루지 못하고 끝내 처형된 최영(1316∼1388) 장군의 묘소이다. 부.. 관광인, 실체교류 2018.12.11
한국의 과학(시리즈3). 한국을 빛낸 명에로운 과학기술인 초일 커버 한국의 과학(시리즈3). 한국을 빛낸 명에로운 과학기술인 초일 커버 발행일 : 2017. 4. 27. 우표번호 : 3194~3196. 인쇄 및 색수 : 평판 4도. 은분. 청분. 디자이너 : 신재용 디자인 : 과학기술정책가 세종대왕. 화약무기과학자 최무선. 유전육종학자 우장춘. 발행량 : 각 210.000장(총630.000장)용지 : 평.. 초일,전자우편외 기타 2017.05.07
꼭 가봐야 할 여행지, 경북 포항의 보경사 꼭 가봐아야 할 여행지, 경북 포항의 보경사 포항송라 : 보경사 보경사는 602년(신라 진평왕 24년)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대덕 지명법사가 603년(진평왕 25년)에 창건한 천년고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이다. 지명은 진평왕에게 '동해안 명산에서 명당을 .. 관광인, 실체교류 2016.12.29
꼭 가봐야 할 부산 관광지16곳. 6. (동래읍성 해자, 안용복 장군) 꼭 가봐야 할 부산 관광지16곳. 6. (동래읍성 해자, 안용복 장군) 부산수안 : 동래읍성 해자 임진왜란 당시 왜구의 1차 목표물이 되어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동래읍성은 부산의 역사를 온 몸으로 보여주는 유적이다. 총 둘레 1.9㎞에 이르는 성곽은 충렬사 뒷산에서부터 동래구의 중심을 아.. 관광인, 실체교류 2015.09.06
아름다운 전남여행 4. 순천 아름다운 전남여행 4. 순천 순천 낙안읍성 민속마을 순천시 낙안면 동내리 서내리 남내리에 걸쳐 있는 조선시대의 민속마을로, 둘레 1,384m, 높이4m, 위쪽 너비 3~4m, 아래쪽 너비 7~8m인 동서 방향의 긴 읍성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낙안읍성은 사적 제302호로 지정되었다. 왜구의 잦은 침입으로 .. 각 지역 주문엽서 2014.02.28
해미읍성, 촉석루풍경 해미읍성, 촉석루풍경 해미 : 해미읍성 해미읍의 중심지이자, 군사적 방어 요충지였다. 이 지역은 고려 말부터 왜구의 출몰이 잦아 피해가 막심했던 곳으로, 대책 마련을 위해 조선 태종 17년(1417)에 축조 사업이 시작되었고, 세종 3년(1421)에 이르러 완성되었다. 일제강점기를 지내며 폐허.. 관광인, 실체교류 2013.12.13
용두산공원. 김수로왕릉 용두산공원. 김수로왕릉 부산 : 용두공원 두산은 부산시내에 있는 구릉으로서 부산 3명산의 하나인데, 옛날에는 울창한 소나무 사이로 바다가 보였다 하여 송현산(松峴山)이라 하였다가 그 후 산세가 바다에서 육지로 올라오는 용의 머리에 해당하는 모양이 일본에서 건너오는 왜구들을 .. 관광인, 실체교류 2013.07.24
흥인지문(동대문), 숭례문(남대문) 흥인지문(동대문), 숭례문(남대문) 동대문 : 흥인지문(보물 제 1 호) 조선시대의 성문으로 ‘동대문’으로 부르기도 한다. 태조 5년(1396) 9월 건설한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고쳐지었다. 앞면 5칸·옆면 2칸의 2층 다포 양식 건물이며, 곳곳에서 조선 후기의 건축 양식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 관광인, 실체교류 2013.05.29
고운사 가운루, 경주 문무대왕릉 고운사 가운루, 경주 문무대왕릉 외성단촌 : 고운가 가운루 등운산에 위치한 고운사는 신라 문무왕 원년(681)에 의상대사가 지은 절로서,신라의 최치원이 승려 여지, 여사대사 등과 함께 가운루·우화루를 세우고 이를 기념하여 그의 호를 따서 ‘고운사(孤雲寺)’라 이름을 바꾸었.. 관광인, 실체교류 2012.01.16
문무대왕 해중릉 (양북) 문무대왕 해중릉 (양북) 양북 : 문무대왕 해중릉 문무왕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이 치열하게 영토 분쟁을 벌이던 때에 태종무열왕 김춘추와 김유신의 누이인 문명왕후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문무왕은 654년 아버지 김춘추가 진덕여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자 655년에 태자가 되었다. 이후 문무왕은..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