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전체 글 10987

관광인 여행......1.113,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반딧불이.

관 광 인  여 행..........................1.113,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반딧불이 반딧불이(Luciola cruciata)    딱정벌레목 반딧불이과에 속하는 곤충. '반디', 또는 '개똥벌레'라고도 한다. 깨끗한 하천과 습지에 살며, 꽁무니에 발광기가 있어 화학반응을 통해 열이 없는 빛을 낸다. 최근에는 환경오염으로 대부분의 서식처가 파괴되어 멸종위기에 놓여 있다.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의 반딧불이와 다슬기 서식지가 천연기념물 제322호로 지정되어 있다.무주설천 : 반딧불이(Luciola cruciata)     딱정벌레목 반딧불이과에 속하는 곤충. 깨끗한 하천과 습지에 살며, 발광기가 있어 빛을 낸다. 한국과 일본에 두루 분포했으나 최근에는 환경오염으로 대부..

관광인 여행..1.112,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 대곡리, 논개영정과 생가.

관  광 인  여 행.......................1.112,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 대곡리, 논개영정과 생가. 논개영정과 사당.     장수는 임진왜란 때 경남 진주 촉석루에서 왜장을 껴안고 남강에 몸을 던진 논개의 고향이기도 하다. 장수읍에는 논개의 영정을 모신 사당(의암사)이 자리하고 있다. 논개 사당인 의암사 바로 아래가 의암호인데,  의암호 건너편에 논개 영정을 모신 '논개 사당'이 있다. 일명 '의암사'라고도 불린다. 논개사당의 공식 명칭은 그가 왜장을 끌어안고 몸을 던진 바위에서 이름을 딴 의암사(義巖祠)다. 장수 : 논개의 영정과 생가.    논개생향비( 介生鄕碑), 1846년 당시 장수현감 정주석이 논개가 장수 태생임을 기리기 위해 비문을 짓고, 그의 아들이 글을 쓴 비석..

국경 없는 우취 우정........ 22. 유럽(EUROPE). 북미(North America).

국경 없는 우취 우정..................... 22.     1980년대 중반 세계 스포츠우표 수집가들은 한국의 88서울올림픽 우표 수집을 목적으로 한국의 공룡우표매니아에게 보내온 커버들을 소개합니다. 당시 미수교국(대부분 공산권)을 포함 110여개국이 넘었으나 여기에선 77개국 커버만 보여드립니다. 당시 인기리에 발행된 서울 올림픽우표는 우표값 + 부과금 =  이여서 부담이 컸던 기역만 남아 있네요 지금은.....유럽(EUROPE). 북미(North America). 37. 스페인(Spain). 38. 스웨덴(Sweden).39. 스위스(Switzerland). 40. 캐나다(Canada). 스페인(Spain)     공식명칭 스페인 왕국 (Kingdom of Spain). 유럽의 국가...

일체형 교류 2025.01.01

관광인 여행......1.111,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귀래정.

관 광 인  여 행......................1.111,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귀래정. 귀래정(歸來亭)     기울어가는 나라를 근심하여 조정에 글을 올려 진언하였으나, 실효가 없어 한계를 통감한 그가 용인 · 곤양 등지로 다니면서 많은 치적을 남기고 백성들의 유임운동도 뿌리치고 귀거래사를 부르면서 낙향한 심정을 담은 곳이다.순창 : 귀래정(歸來亭)     귀래정은 조선 전기의 문신인 신숙주가 1470년경에 지은 정자 이다. 귀래정이라는 이름은 " 벼슬을 버리고 집으로 돌아온다 "라는 뜻을 담고 있다. 이 이름은 당시 가볍게 교유하였던 서거정이 지어 준 것인데 신말주는 귀래정을 자신의 호로 삼았다. 신말주는 세종과 세조 때의 대표적인 명산인 신숙주의 막냇 동생이다. 그는 단종..

관광인 여행...1.110,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산 26, 강천산.

관 광 인  여 행.....................1.110,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산 26, 강천산. 강천산(剛泉山)     인지도는 적지만 산림청에서 지정한 대한민국 100대 명산이다. 높이 585.8m. '호남의 소금강'이라고도 한다. 산은 낮으나 기암절벽과 계곡 및 울창한 숲 등이 어우러져 자연경관이 뛰어나다. 강천산 정상까지 1㎞ 남짓의 산행을 하면 계곡을 가로지르는 구름다리인 현수교를 건너게 된다. 강천산·강천호·광덕산·산성산을 포함한 일대가 1981년 한국 최초의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사적 제353호)순창팔덕 : 강천산(剛泉山)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996번지 일대에 위용을 자랑하고 있는 강천산은 왕자봉(해발583.7m)과 광덕산 선녀봉(해발578m)을 비롯..

우표로 보는 공룡의 종류....247. 살토푸스. 살타사우루스. 사우롤로푸스. 사우로펠타.

우표로 보는 공룡의 종류............ 247. 57. 살토푸스(Saltopus). 58. 살타사우루스(Saltasaurus).59. 사우롤로푸스(Saurolophus). 60. 사우로펠타(Sauropelta). 살토푸스(Saltopus)     살토푸스는 곤충이나 작은 동물을 잡아먹거나 죽은 사체를 찾아 먹었던 작고 가벼운 육식 공룡이다. 이름의 의미는 ‘껑충껑충 뛰는 발’이라는 뜻. 살토푸스가 뛰어넘고 다녔을 것이라고고생물학자들이 믿었기 때문. 살토푸스는 진화한 공룡이 거의 없었을 때 살았던 작고 가벼운 공룡이다. 목이 길고 눈이 컸다. 눈이 크다는 것은 시력이 예리하다는 뜻이다. 두 다리로 서서 걸었고 위험을 피해 빠르게 달려서 살아남았다. 강한 뒷다리는 작은 도마뱀을 잡을 만큼 빠른 속력..

관광인 여행......1.109, 전라남도 강진군 마량면 마량리, 까막섬.

관 광 인  여 행........................1.109, 전라남도 강진군 마량면 마량리, 까막섬. 까막섬.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오취리(梧翠里)에 속한 ‘오도(烏島)’의 본디 이름 가운데 하나. 일제강점기 이후에 烏島(오도)라 쓴 뒤 ‘오도(烏島)’라 하고 있으나, 민간에서는 ‘가막섬’ 또는 ‘까막섬’으로 볼러왔음. (우리나라 섬 이름[島嶼名] 사전).마량 : 까막섬     까막섬 상록수림은 숲이 푸르다 못해 검게 보인다 하여 가막섬 또는 까막섬이라 불렀는데 옛적 이곳에 수 천마리의 까마귀 떼가 날아와 섬을 뒤덮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큰 까막섬과 작은 까막섬 2개의 섬으로 누뉘어져 겉으로 보기에는 호박나무 숲으로 보일 정도이나 돈나무 등 100여 종이 넘는 열대성의..

관광인 여행...1.108,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해남 대흥사 천불전.

관 광 인  여 행......................1.108,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해남 대흥사 천불전. 해남 대흥사 천불전 (海南 大興寺 千佛殿)     대흥사는 조선후기 승려 완호대사와 제성대사가 중건한 사찰건물. 불전으로, 해남 두륜산(대둔산)의 빼어난 절경을 배경으로 넓은 산간분지에 계류를 끼고 자리하고 있다. 정연한 가람배치와 달리 여러 불전들을 지형 조건에 맞추어 배치하여 자유로움과 조화를 느낄 수 있다. 2013년 보물 제1807호로 지정되었다.해남 : 해남 대흥사 천불전(海南 大興寺 千佛殿)     대둔사지(大芚寺誌)』에 의하면 천불전은 조선시대인 1811년(순조 11)에 화재로 불탔으나 2년 뒤인 1813년에 초의선사의 스승인 완호(玩虎)대사와 제성(濟醒)대사에 의하여..

공 룡 카 드........62. 공룡시대의 공룡들 22.

공 룡 카 드....................... 62.공룡시대의 공룡들  22. 공룡시대(恐龍時代),      파충강 공룡아강에 속하는 동물군.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서 백악기 말까지 살다가 전멸하였다. 이들은 골반의 구조에 의하여 조반류(鳥盤類)와 용반류(龍盤類)로 나눈다. 육식성과 초식성이 있었으나 대부분이 초식성이며, 육식성은 매우 드물다. 이족보행의 것과 사족보행의 것이 있었으며, 주로 육상에서 생활하였다.  72. 힙실로포돈(Hypsilophodon). 73. 타니스트로페우스(Tanystropheus).74. 오트니엘리아(Othnielia). 75. 사우로르니토이데스(Saurornithoides).   힙실로포돈(Hypsilophodon)    백악기 초기 번성했던 중소형 크기의 조반목 조..

공룡 전화카드 2024.12.26

관광인 여행......1.107,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강구리 , 대게.

관 광 인  여 행......................1.107,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강구리,  대게. 영덕대게.    전국적으로 잘 알려져 있고 껍질이 얇고 살이 많으며 맛이 담백하여 구미를 돋우는 명물이다. 대게라는 이름은 그 발이 붙어나간 모양이 대나무의 마디와 같이 이어져 있는 데에서 연유하며, 한자로는 죽해(竹蟹)라고 한다.영덕 : 대게.    서식처는 영덕군의 영해 대진(大津) 앞바다에서 감포(甘浦) 앞바다에 걸쳐 있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영덕군 일원의 앞바다가 주산지이다. 서식처의 수심은 150∼250m, 수온은 2.3∼10.3℃, 비중은 31.37∼33.53%가 가장 적합하다. 암케와 수케의 교미기간은 매년 3, 4월이며, 산란기는 그 다음해의 봄철인데 한마리의 암케가 대체로 7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