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관광인, 실체교류 2065

관광인 여행...1.169,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국립서울현충원.

관 광 인  여 행......................1.169,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국립서울현충원. 국립서울현충원(國立서울顯忠院)     1950년 6.25 전쟁 발발로 인해 늘어나는 국군 전사자를 안치하기 위한 육군 국립묘지로 1952년 5월부터 계획되어 1953년 서울 동작동 부지 선정, 1954년 착공, 1956년에 개장, 안장이 시작되었다. 개장 당시의 명칭은 '국군묘지'였다. 1965년 국립시설로 승격되어 '국립묘지'로 불리었다. 1996년 '현충원'(顯忠院)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이후 2006년에 국립서울현충원으로 변경되었다.서울흑석 : 국립서울현충원(國立서울顯忠院)     국립묘지의 정면에 들어서면 충성 분수탑이 우뚝 서 있고, 금잔디가 깔린 광장을 지나면 현충문(顯忠門)과 ..

관광인 여행...1.168,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호리, 운주사 와불.

관 광 인  여 행........................1.168,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호리, 운주사 와불. 운주사 와불.    조계종 제21교구 송광사의 말사인 운주사는. 신라말 도선국사가 풍수지리에 근거해 비보사찰로 세웠다는 설이 있다. 출토된 유물로 볼 때 늦어도 11세기 초에는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530년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운주사는 천불산에 있는 절로 석조감실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고 1984년 발굴조사에서 '홍치 8년'이라 새겨진 기와편이 발견되어 조선 초기까지는 존속했던 것으로 보인다. 정유재란으로 폐사된 것을 1800년 경 설담자우가 불상과 무너진 불탑을 세우고 약사전 등을 중건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변에 91구의 석불(완형 50구)과 21기의 석탑 등이 흩어져 ..

관광인 여행 ....... 1.167,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황희 선생과 반구정.

관 광 인  여 행 ........................... 1.167,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황희 선생과 반구정.황희 선생과 반구정( 黃喜先生伴鷗亭)     황희는 고려 공민왕 12년(1363)에 개성에서 출생하여 27세때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학록이 되었다.1392년에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하였는데 조정의 요청과 동료들의 추천으로 성균관학관으로 왕이 직접 벼슬을 내렸다. 여러 요직을 역임하면서 조선 태종대에 국가기반을 확립하는 데 큰 업적을 남겼다.문산 : 황희 선생과 반구정( 黃喜先生伴鷗亭)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의 여러 요직을 거치면서 세종 연간에는 19년간 의정부 최고의 관직인 영의정에 재직하면서 세종대에 가장 큰 업적을 남긴 인물로 평가되고 있는 청백리 황희정승..

관광인 여행...1.166,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 시화호 조력발전소.

관 광 인  여 행......................1.166,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 시화호 조력발전소. 시화호 조력발전소 (始華湖潮力發電所)    시화호조력발전소(Sihwa Lake Tidal Power Station)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에 위치한 조력발전소이다. 시화호를 품으며 대부도와 오이도를 잇고 있는 시화방조제의 중앙에 있다. 지방도 제301호선이 지나고 있다.  대부 : 시화호조력발전소(始華湖潮力發電所)     반월국가산업단지와 농지의 확장을 목표로 하는 ‘시화지구 간척사업계획’에 따라 군자만이라고 불리던 이 지역에 1987년부터 1994년까지 시화방조제가 건설되었다. 방조제로 물이 가둬진 담수호가 되자 각종 오·폐수가 쌓이기 시작했다.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이 ..

관광인 여행.....1.165, 북극다산과학기지.

관 광 인  여 행.......................1.165,   북극다산과학기지(北極茶山科學基地)     노르웨이령 스발바르 제도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북극 과학기지. 극지방에서는 남극 킹 조지 섬에 위치한 세종 과학기지에 이어 두 번째로 지어진 과학기지이다. 여러 분야에서 다재다능했던 다산 정약용의 호를 따서 지었으며, 연구목적은 남극의 세종 과학기지와 같다.KOREA : 북극다산과학기지     자체적인 기지를 보유한 남극의 두 기지와 달리 다산기지의 건물은 프랑스와 공동으로 사용되고 있다. 입구를 들어서면서 볼 때 좌측은 한국, 우측은 프랑스의 공간이다. 지구 북반구에 위치한 한국은 남극과 아울러 북극의 환경 및 자원 연구를 위하여 2002년 4월 29일 노르웨이령 스발바르 제도(Svalba..

관광인 여행.......1.164,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오현읍. 정몽주 선생 묘.

관 광 인  여 행..........................1.164, 경기도 용인시 오현읍. 정몽주 선생 묘. 정몽주 선생 묘.    고려 말 문신 정몽주의 시신을 안장한 묘소. 1972년 5월 4일에 경기도 기념물 제1호로 지정됐다. 1392년 이성계의 5남이자 훗날 조선 태종이기도 한 이방원과 술자리를 가지고 난 이후 귀가를 하던 정몽주가 이방원이 보낸 수하가 휘두른 철퇴에 맞아 개성 선죽교에서 피살되면서 원래 개성 근교 풍덕군(현재의 북한 개풍구역)에 안장된 묘소를 용인으로 이장하여서 오늘에 이른 묘소이다모현 : 정몽주 선생 묘.     경기도 기념물 제1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곡로(능원리)에 있다. 1392년(공양왕 4) 순절한 뒤 풍덕군에 묘를 썼으나, 뒤에 고향인 경북 영천..

관광인 여행...1.163, 남극 세종과학기지.

관 광 인  여 행.......................1.163, 남극 세종과학기지. 남극 세종기지, 펭귄낙원 만든다.     남극을 처음 찾은 이방인의 눈을 끄는 낯선 동물 ‘펭귄’. 남극 세종과학기지가 있는 킹조지섬에는 펭귄들의 집단 서식지 ‘펭귄마을’이 있다. 세종기지에서 남동쪽으로 약 2km 떨어진 해안가 언덕에는 젠투펭귄, 턱끈펭귄 등 조류 14종이 살고 있다. 턱끈펭귄 2900쌍, 젠투펭귄 약 1,700쌍, 갈색도둑갈매기 10쌍 등이 사는 조류의 천국이다. 맨땅에 둥지를 트는 턱끈펭귄과 젠투 펭귄에게 펭귄 마을은 알을 낳기에 이상적인 서식지로 손꼽힌다. KOREA : 남극세종과학기지    남극에서 눈이 녹는 몇 안 되는 곳인 이 마을은 해마다 여름이 찾아오는 11월부터 2월 산란하는 펭귄..

관광인 여행.......1.162, 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 충주 탄금대.

관 광 인  여 행...........................1.162,  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 충주 탄금대 충주 탄금대(忠州 彈琴臺)    1976년 충청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명승으로 승격 지정되었다. 대문산(大門山)을 중심으로 남한강 상류와 달천(達川)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으며, 수려한 경관과 유서깊은 고적지이다. 가야국의 악성 우륵(于勒)이 신라에 귀화하여 진흥왕에게 명성이 알려져 하림궁(河臨宮)에서 새 곡을 지어 연주하니, 왕이 감동하여 충주에 살도록 하였다. 우륵은 그를 보호하던 계고(階古)에게는 가야금을, 법지(法知)에게는 노래를, 만덕(萬德)에게는 춤을 가르치며 여가있을 때 바위에 앉아 가야금을 타며 살았다. 탄금대라는 명칭도 우륵이 가야금을 타던 곳이라는 데에서 유..

관광인 여행...1.161,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장외리, 서해랑 제부도해상케이블카.

관 광 인  여 행......................... 1.161,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장외리, 서해랑 제부도해상케이블카. 서해랑 제부도해상케이블카.     서해랑 제부도 해상케이블카의 총연장은 2.12km에 달한다. 국내 해상 케이블카 중에 운행 거리가 가장 길지만, 반대편 승강장에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10여 분 남짓으로 짧은 편이다. 케이블카가 출발하는 순간부터 1분 1초가 아까워지는 이유다. 사방으로 펼쳐지는 서해안과 제부도의 풍경을 두 눈에 바삐 담아야 한다.서신 : 서해랑 제부도 해상케이블카     서해안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어울릴 수 있는 전곡항, 제부도 바다 위 2.12km 국내 최장 해상 케이블카 위치를 선정,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진 새로운 랜드마크가 있다. 제부도 지..

관광인 여행...1.160, 충청북도 충주시 금릉동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 택견.

관 광 인  여 행......................1.160, 충청북도 충주시 금릉동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 택견.  택견.      택견은 유연하고 율동적인 동작인 ‘품밟기’라는 우리 고유의 독창적 보법(步法)을 중심으로 상대를 발로 차거나 넘기는 기술을 사용하는 전통무예이다. 택견은 품밝기, 즉 유연하게 굼실거리는 보법(步法)을 기본으로 손과 발을 통해 상대를 차거나 던지기는 기술을 구사한다. 특징적인 것은 태권도의 직선적 발차기와 달리 부드럽고 곡선을 그리는 동작으로 힘을 내는 발차기와 씨름과 유사한 독특한 넘기기 기술을 동시에 구사한다.충주 : 택견.    특징적인 것은 태권도의 직선적 발차기와 달리 부드럽고 곡선을 그리는 동작으로 힘을 내는 발차기와 씨름과 유사한 독특한 넘기기 기술을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