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초일,전자우편외 기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줄타기 기념우표 초일커버

공룡우표매니아 2021. 10. 8. 03:00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줄타기 기념우표 초일커버(FDC)

 

발행일 : 2021. 9.  30.  우표번호 : 3539 ~ 3540.  디자인 : 허공뛰기. 외무름훑기  디자이너 : 정은영

인쇄 / 색수 / 특수처리 : 평판 / 4도 / 적박. UV 코팅.    용지 : 평판원지

인쇄처 : 한국우편사업진흥원 / Royal  Joh.  Enschede / POSA(조엔쉐터社)

 

  줄타기는 높이 3m, 길이 12m 간격으로 세운 작수목에 지름 3cm짜리 줄을 설치하고, 줄 위를 걸으며 노래·춤·기예를 하며 재담을 늘어놓는 우리나라 전통 공연예술입니다. 곡예 기술에 중점을 두는 세계 여러 나라의 줄타기와 다르게 우리나라의 줄타기는 음악 연주를 배경으로, 줄을 타는 줄광대와 땅에 있는 어릿광대가 대화를 주고받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한국 줄타기 고유의 가치와 창의성을 인정받아 2011년 11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최된 제6차 무형유산보호 정부간위원회에서 ‘한국의 줄타기’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우정사업본부에서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기념우표를 발행합니다.

  과거에는 궁궐행사, 설날(음력 1월 1일), 정월대보름(음력 1월 15일), 오월단오(음력 5월 5일), 한가위(음력 8월 15일) 등 우리나라 대표 명절과 대갓집 축하연에 줄타기 공연이 열렸습니다. 오늘날에는 주로 봄가을 전국 각 지역 축제에서 줄타기를 볼 수 있는데 대중이 쉽게 볼 수 있고, 관객들과 소통하며 모두 함께 즐길 수 있는 점에서 친숙하게 느껴지는 전통 공연입니다.

   줄타기는 행사의 성공과 안전을 비는 ‘줄고사’로 시작하여 줄 위에서 오르락내리락 뛰고 구르고, 재주를 넘고, 다리를 꼬고 앉는 등 점차 더 어려운 묘기를 보여주면서 40여 가지의 갖가지 줄타기 기예를 선보입니다. 곡예를 하는 사이사이 재담을 하고 노래도 부르는데 관객들은 이렇게 아찔한 묘기를 마음 졸이며 관람하게 됩니다. 신명 나는 춤과 음악은 물론이고 타락한 양반을 풍자한 이야기로 익살을 떠는 등 다양한 기예와 여흥을 담고 있는 줄타기는 예로부터 전해 내려온 종합예술로 평가됩니다.

  공연자들은 줄광대(곡예사), 어릿광대, 삼현육각재비(악사: 장구, 겹피리, 대금, 해금, 북)로 구성됩니다. 주로 줄 위에서 놀이를 하는 줄광대가 중심 역할을 하고, 어릿광대는 지상에서 줄광대의 대화 상대가 되어 재담을 주고받습니다. 아울러 줄 밑 한편에 한 줄로 앉아서 광대들의 곡예와 재담에 맞춰 장구·피리·대금·해금 등을 반주하는 삼현육각재비가 함께 어우러져 공연을 하게 됩니다.

  한국의 줄타기는 줄광대가 줄 아래에 어릿광대와 삼현육각 악사를 대동하고, 공중에 맨 줄 위에서 음악반주에 맞추어 여러가지 기예와 재담, 가요를 연행하는 한국의 전통연희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외국의 줄타기가 아슬아슬한 재주에만 치중한다면 한국의 전통적인 줄타기는 악(樂)∙가(歌)∙무(舞)를 곁들인 교예여서 특히 연극성이 우세하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줄타기를 할 때에는 단순히 줄만 타지 않고, 노래를 부르거나 파계승과 타락한 양반을 풍자한 이야기로 익살을 떨고, 여러 계층 사람의 걸음걸이를 흉내내 구경꾼들을 흥겹게 한다. 이렇게 한국의 줄타기는 다양하고 유연한 기예를 갖추고 있으며, 각 장면에 어울리는 삽입가요와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재담이 어우러진 종합예술로서, 다양한 요소를 이용하여 관객들이 함께 호흡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준다.

  한국의 줄타기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제58호 줄타기로 지정되어 전승되어 오고 있는 대령광대(待令廣大)계열의 '광대 줄타기'이고 , 다른 하나는 남사당패의 여섯마당 중 한 종목으로 지정되어 연희되고 있는 유랑예인 계열의 '뜬광대 줄타기(어름 줄타기)'이다. 광대 줄타기와 뜬광대 줄타기는 공연 수용층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다. 광대줄타기는 나례도감이나 재인청에 소속된 광대들이 정재(呈才)의 하나로써 외국 사신 영접 등 국가 행사 때 연행하거나, 삼일유가·문희연·회혼례 등의 상류층의 잔치에 불려가서 보수를 받고 연행했던, 주로 지배층을 위한 성격의 줄타기이다. 

  광대 줄타기의 줄판은 궁궐 또는 관아나 양반들의 큰 집에서 벌어졌기 때문에 울타리 안 마당에 차려졌다, 광대 줄타기는 순수한 잔재비(잔놀음)만을 기예로 삼고 있으며 그 기교가 매우 정교화고 뛰어나다. 현재는 예능 보유자인 김대균이 전수자로 인정되어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뜬광대 줄타기는 일명 어름 줄타기라고도 하며, 일정한 거처 없이 떠돌아다니면서 민간 예능을 담당했던 남사당패의 줄타기이다. 남사당패의 여섯 가지 놀이인 풍물(농악)∙버나(사발돌리기)∙살판(땅재주)∙어름∙덧뵈기(탈놀음)∙덜미(꼭두각시놀음) 중 네번째 놀이로서, 한시간 반 정도에 걸쳐 진행 되때문에 밤에 시작해서 밤새 놀았기 때문에 놀이판에는 장작불이나 횃불을 밝히는 일이 다반사였다. (위키백과)

   이번 기념우표에는 궁궐 앞마당에서 줄광대가 곡예를 선보이고 지상에서 이를 바라보며 공연을 펼치는 어릿광대, 한편에 줄지어 앉아 악기를 연주하는 악사들의 모습이 모두 담겨 있습니다. 인물들의 표정과 몸동작이 섬세하게 그려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줄타기)’ 기념우표를 보며 공연자와 관람객이 양방향으로 소통하고 즐기는 한국 줄타기 공연의 가치를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가실  아래 ♡ 공감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