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역, 대방역 노량진역, 대방역 서울노량진 : 노량진역 노량진역(鷺梁津驛)은 동작구 노량진동(개통당시에는 경기도 과천군 하북면 노량진리) 에 있는 역으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과 서울메트로9호선의 지하철역이 있다. 경부선의 역은 1899년 9월 18일 경인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 역(驛) 방문인 교류 2014.10.16
부평구청역, 신창역 부평구청역, 신창역 부평 : 부평구청역 부평구청역(富平區廳驛)은 1999년 10월 6일 인천도시철도 1호선 개통에따라 영업을 시작항 이 역은 인천 부평구 청천동과 갈산동에 있는인천도시철도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이다. 현재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종점이며, 인천 도시철도 1호.. 역(驛) 방문인 교류 2014.10.07
심천역, 추풍령역 심천역, 추풍령역 심천 : 심천역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될 정도로 옛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단아하고 소박한 멋을 지니고 있는 심천역(深川驛)은 충북 영동군 심천면에 있는 경부선의 철도역이다. 1934년 9월 31일에 경부선 복선화 공사에 의해 현재의 역사가 신축되었으며, .. 역(驛) 방문인 교류 2014.09.27
외대앞역, 광운대역 외대앞역, 광운대역 광운대 : 광운대역 광운대역(光云大驛) 또는 성북역(城北驛)은 노원구 월계 3동에 있는 철도역으로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의 관리역이다. 광운대역은 경원본선에서의 공식역명이자 대외적으로 사용되는 역명이며, 성북역은 망우선에서의 공식역명이다. 하지만.. 역(驛) 방문인 교류 2014.09.16
도라산역 도라산역 문산 : 도라산역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도라산리에 있는 경의선(京義線)의 최북단역인 도라산역은, 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경의선 철도역으로, 민통선 남방한계선에 자리잡고 있다. 2000년 6월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 이후 끊어진 경의선을 잇기로 합의하고, 그해 9월 문산-개성 구.. 역(驛) 방문인 교류 2014.05.04
백마고지역. 신탄리역. 백마고지역. 신탄리역. 동송 : 백마고지역 백마고지역(白馬高地驛)은 강원도 철원군에 위치한 경원선의 철도역이다. 현재 경원선 일부 통근열차의 시종착역이며, 동해북부선 제진역을 제외하면 대한민국의 최북단역이다. 경원선 복원 시 기존 철원역이 민통선 내부에 있어 민통선 밖의 .. 역(驛) 방문인 교류 2014.03.28
영주역, 용궁역 영주역, 용궁역 영주 : 영주역 영주역(榮州驛)은 경상북도 영주시 선비로 64번지에 있는 철도역이다. 1941년 7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여 1973년 12월 23일 현역사로 이전하였다. 청량리 기점 213.2 km지점에 위치하며 중앙선에서 영동선과 경북선이 분기하는 시종착역이고, 경북본부의 .. 역(驛) 방문인 교류 2013.10.28
대천역, 낙동강역 대천역, 낙동강역 대천해수욕장 : 대천역 대천역(大川驛)은 충남 보령시 내항동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이다. 2007년 12월 21일에 장항선 직선화 사업 개통과 함께 보령시 내항동으로 이전되어도, 역명은 대천역으로 쓰고 있다. 서해안을 따라 충남에 위치하고 있는 대천은 인접한 바다로 .. 역(驛) 방문인 교류 2013.09.15
삼랑진역, 함열역 삼랑진역, 함열역 밀양삼랑진 : 삼랑진역 삼랑진역(三浪津驛)은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경부선과 경전선의 분기역이다. 삼랑진은 예부터 세가닥 산자락이 울퉁불퉁 뻗어서 삼랑의 물에 떨어지고, 일곱 고을 긴 강의 흐름이 작원을 안고 돌아 산이 웅장.. 역(驛) 방문인 교류 2013.09.08
동두천역. 양주역 동두천역. 양주역 동두천 : 동두천역 경원선 통근열차가 시·종착하는 철도역이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 기능을 수행한다. 급행을 포함한 일부 전동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 운행하고 또 일부는 다음역인 소요산역까지 운행한다. 1984년 2월 10일에서 2006년 12월 15일까지는 동안역(東.. 역(驛) 방문인 교류 2013.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