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사 각황전 (구례) 화엄사 각황전 (구례) 구례 : 화엄사 각황전 국보 제 67 호인 화엄사는, 지리산 남쪽 기슭에 있는 절로 통일신라시대에 지었다고 전한다. 조선시대에는 선종대본산(禪宗大本山) 큰절이었는데, 임진왜란 때 완전히 불타버린 것을 인조 때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원래 각황전..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2.02.19
고운사 가운루, 경주 문무대왕릉 고운사 가운루, 경주 문무대왕릉 외성단촌 : 고운가 가운루 등운산에 위치한 고운사는 신라 문무왕 원년(681)에 의상대사가 지은 절로서,신라의 최치원이 승려 여지, 여사대사 등과 함께 가운루·우화루를 세우고 이를 기념하여 그의 호를 따서 ‘고운사(孤雲寺)’라 이름을 바꾸었.. 관광인, 실체교류 2012.01.16
주사암, 북방식 고인돌 주사암, 북방식 고인돌 경주서면 : 주사암 주사암(朱砂庵)은 경주시 서면 천촌리 1195번지 오봉산(五峰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이다. 주사암은 신라 문무왕 때 의상 대사가 주암사(朱巖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이 .. 관광인, 실체교류 2011.12.18
괘릉, 주사암. 괘릉, 주사암. 임실 : 괘릉 사적 제26호인 괘릉은 신라 제38대 원성왕의 능으로 추정된다. 특히 괘릉의 12지신상은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는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된다. 또 통일신라시대의 왕릉으로 가장 잘 갖추어진 형식으로 평가되는 괘릉은 능 입구에 세워진 석상(石像)으로도 .. 관광인, 실체교류 2011.12.09
부석사 무량수전 (부석) 부석사 무량수전 (부석) 부석 : 부석사 무량수전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이다.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이곳까지 따..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1.10.15
고운사 가운루 (단촌) 고운사 가운루 (단촌) 단촌 : 고운사 가운루 시도유형문화재 151호인 고운사 가운루는 등운산에 위치하고 있다. 신라 문무왕 원년(681)에 의상대사가 지은 절로서,신라의 최치원이 승려 여지, 여사대사 등과 함께 가운루·우화루를 세우고 이를 기념하여 그의 호를 따서 ‘고운사(孤雲寺)’라 이름을 바..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1.10.02
아화의 주사암 아화의 주사암 아화의 주사암 관광통신일부인은 1997년 7월 1일부터 사용되던 것(디자이너 전희환)을 디자인을 변경(디자이너 모지원)하여 2011년 4월 1일부터 사용하고 있다. 디자인 변경전(사용말일자) 주사암은 신라 문무왕 때 의상 대사가 주암사(朱巖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는데, 『신증동국여지.. 관광인, 실체교류 2011.05.04
경기지역 3. (경기용문, 여주) 경기지역 3. (경기용문, 여주) 경기용문 : 용문사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제30호인 용문사 은행나무는 현재 우리나라에 생존하고 있는 은행나무들 중에서 가장 크고 우람하며 오래 된 것으로 용문사 대웅전 앞에 위치하고 있다. 수령이 약 1,100여년으로 추정되며 높이 60여미터에 줄기의 가슴높이 둘레가 12..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09.11.29
관광 기념인 실체 교류(경기용문) 관광 기념인 실체 교류(경기용문)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접리에 있는 절. 봉헌사의 말사로, 신라 선덕왕 2년(913)에 대경 국사가 창건하였으며 조선 세종 29년(1447)에는 수양대군이 모후인 소헌 왕후를 위하여 보전을 개창 하였다. 권근이 지은 정지 국사비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은행나무가 있다. (글 .. 관광인, 실체교류 2009.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