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 광 인 여 행.........................1.139,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왕대리, 세종대왕과 영릉.
세종대왕 과 영릉(世宗大王 英陵)
세종은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셋째 아들로 1397년(태조 6) 준수방 본궁에서 태어났다. 1408년(태종 8) 충녕군에 봉해졌고, 1412년(태종 12)에 충녕대군(忠寧大君)이 되었다. 1418년(태종 18) 큰형 양녕대군이 왕세자 자리에서 폐위되자 왕세자로 책봉되었고, 두 달 뒤에 태종의 양위를 받아 경복궁 근정전에서 왕위에 올랐다. 천하의 명당으로 알려진 영릉의 지세는 법도에 어긋나지 않고 층층이 해와 달의 모습을 띠면서 봉황이 날개를 펴고 내려오는 형국이라 한다. 거기에다 정남향 이어서 ‘가히 만세에 나라를 이어갈 만한 기가 탄생할 자리’인데, 이를 모란반개형(牧丹半開形)이라한다.
능서 : 세종대왕 과 영릉(世宗大王 英陵)
여주 영릉과 영릉은 경기도 여주시에 위치한 조선 4대 임금 세종대왕과 그의 비 소헌왕후의 무덤이다. 이곳은 역사적 가치와 함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자랑하는 관광명소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영릉 근처에 조선 17대 임금 효종과 그의 비 인선왕후의 무덤인 영릉도 함께 있어, 두 왕릉을 동시에 관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영릉 주변에는 다양한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 방문객들이 계절마다 변화하는 자연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여주 영릉(英陵)과 영릉(寧陵) 사적 제195호(1970.05.26 지정) ,세계문화유산 등재. (여행참고) 봄에는 진달래숲길이, 가을에는 단풍이 아름다운 왕의 숲길이 인기가 높다. 영릉 내에는 세종대왕과 효종의 업적을 소개하는 전시관이 있어 역사 학습의 장으로도 활용된다. 주차장과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들이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다. 두 영릉을 함께 둘러볼 수 있어 하루 코스 여행지로 적합하며, 역사적 의미와 자연의 아름다움, 그리고 편의성을 모두 갖춘 복합 문화관광지이다.
영릉의 정문으로 들어서면 재실과 세종대왕 동상이 오른쪽에 서 있고, 왼쪽에는 세종대왕기념관인 세종전이 있으며 1975년부터 1977년까지 성역화사업으로 주변정비를 실시하였다. 훈민문을 지나 너른 능역을 조금 걸으면 연못과 홍살문, 정자각이 차례로 다가선다. 언덕에 올라서면 석상, 석마, 문인석, 무인석을 앞에 둔 합장릉이 있는데, 여기가 바로 조선 왕조 500년사의 가장 뛰어난 임금인 세종대왕을 모신 영릉이다.
능서 : 세종대왕 과 영릉(世宗大王 英陵)
세종은 재위기간 동안 혼천의(渾天儀) 등 과학기구를 발명하였고, 쓰시마 섬을 정벌하였으며 4군 6진을 개척하여 조선의 국경을 확장하였다. 또 여러 활자를 제조하여 많은 서적을 간행하였고, 국가의례를 정비하였다. 그리고 1446년(세종 28)에는 우리나라 고유 문자체계인 훈민정음(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을 창제하는 등 정치·경제·문화·과학·군사 분야에서 훌륭한 업적을 남겼다. 이후 1450년 영응대군 사저인 동별궁에서 54세로 세상을 떠났다.
가실때 ♡ 공감 살짝 눌러주고 가세요~~ 감사합니다.
'관광인, 실체교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광인 여행.......1.141,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 화성행궁 신풍루. (26) | 2025.02.15 |
---|---|
관광인 여행.......1.140,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호수공원. (71) | 2025.02.14 |
관광인 여행.......1.138,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 고수목마. (71) | 2025.02.11 |
관광인 여행.......1.137,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정천면 갈용리, 천황사 전나무 (82) | 2025.02.09 |
관광인 여행.......1.136, 경기도 동두천시 상봉암동 산 - 15, 소요산. (71)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