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 광 인 여 행.......................1.137,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정천면 갈용리, 천황사 전나무
천황사(天皇寺) 전나무
섬진강의 발원지인 구봉산 천황사의 부속암자 남암(南庵) 앞에 있는 나무. 천황사의 번성을 기원하며 심은 나무로 전해진다. 수령이 오래되고, 국내에 알려진 전나무 중 가장 크다고 힌다. 또한 나무의 모양과 자라는 상태가 매우 좋은 편이어서 학술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 제495호로 지정되었다. 수령은 약 400년으로 추정된다. 나무의 뒤편에는 허름한 암자 한채가 놓여 있다. 그럴듯한 법당도 차려지지 않은 볼품없는 암자이지만 이곳은 1,000년 전에 스님들의 수행처로 세운 유서 깊은 암자라고 한다.
진안정천 : 천황사(天皇寺) 전나무.
이 나무는 줄기의 위쪽 끝 부분이 다소 비정상으로 구부러지기는 했으나 줄기 밑동은 곧게 생장했으며 나무 모양이 비교적 단정하다. 줄기의 외관도 큰 상흔이 없이 깨끗한 편이나 지면 가까운 부분(뿌리 근처)의 남쪽과 동쪽에 각각 20×10㎝ 정도의 구멍이 나 있고 그 안쪽이 비어있는 것으로 보아 수간 내부에 큰 공동(空洞)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면에 뿌리들이 자연스럽게 드러나 있으며 이 가운데 동쪽의 큰 뿌리 한 개에도 30×60㎝ 정도 크기의 공동이 있다. 이 나무의 높이는 30m, 줄기의 가슴높이 둘레는 5.51m이다. 수관 폭은 동서 방향이 16.6m, 남북 방향이 16.0m이다. 섬진강의 발원지인 구봉산 천황사의 부속암자 남암(南庵) 앞에 있는 나무. 천황사의 번성을 기원하며 심은 나무로 전해진다
나무는 북사면에 위치한 남암(南庵) 앞마당의 축대 끝에서 약 3.5m 정도 거리에 위치해 있다. 나무의 입지가 본래는 급한 사면이었기 때문에 나무의 아래쪽에 2단으로 돌을 쌓아서 전나무 뿌리 근처의 토양 유실을 방비해 놓았다. 이 나무로부터 서쪽으로 약 500여m 떨어진 천황사 앞에도 전라북도 보호수인 전나무 한 그루가 있다. 나무의 가슴높이 둘레도 남암 앞의 것보다 다소 큰 것으로 측정되었으나 수간의 상부가 태풍 루사의 피해로 부러져서 전나무의 전형을 잃은 상태이다.
진안정천 : 천황사(天皇寺) 전나무.
현재까지 알려진 우리나라의 전나무 중 규격이 가장 크고 나무의 모양과 수세가 매우 좋아 학술적 가치가 높다. 그러나 이 나무와 관련된 전설 등은 알려진 것이 없다. 구봉산 천황사의 부속암자인 남암이 지어진 후 이 암자의 주지승이 절의 번성을 기원하며 심은 것이라고 전해질 뿐이다. 구봉산에 있는 사찰인 천황사는 금산사의 말사이다. 신라 헌강왕 때인 875년에 무염 국사가 창건하였고, 1065년 대각국사 의천이 중창하였다. 본래 이 천황사는 주천면 운봉리에 있었으나 숙종 때 중건을 하면서 현재의 자리로 옮겨졌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명부전, 설선당, 요사채 등이 있다. 수령이 오래되고, 국내에 알려진 전나무 중 가장 크다고 힌다. 또한 나무의 모양과 자라는 상태가 매우 좋은 편이어서 학술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가실때 ♡ 공감 살짝 눌러주고 가세요~~ 감사합니다.
'관광인, 실체교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광인 여행.......1.139,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왕대리, 세종대왕과 영릉. (80) | 2025.02.12 |
---|---|
관광인 여행.......1.138,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 고수목마. (71) | 2025.02.11 |
관광인 여행.......1.136, 경기도 동두천시 상봉암동 산 - 15, 소요산. (71) | 2025.02.08 |
관광인 여행.......1.135,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 연천 전곡리 유적. (77) | 2025.02.06 |
관광인 여행...1.134,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근화동, 소양강처녀상. (72)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