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관광인, 실체교류

관광인 여행.......1.141,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 화성행궁 신풍루.

공룡우표매니아 2025. 2. 15. 03:00

관 광 인  여 행.........................1.141,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 화성행궁 신풍루.

화성행궁 신풍루( 華城行宮 新豐樓)

    신풍루는 1790년 정조 14년에 세워졌으며, 처음에는 진남루라 했는데 이후 정조의 명으로 신풍루가 되었다. '신풍'이란 이름은 일찍이 한나라 고조가 '풍 땅은 새로운 또 하나의 고향'이라고 한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정조에게 있어 화성은 고향과 같은 고장이라는 의미로 편액을 걸게 한 것이다. 국왕의 새로운 고향이란 뜻으로 정조대왕이 수원을 얼마나 각별하게 생각했는지를 알 수 있다.

수원 : 화성행궁 신풍루( 華城行宮 新豐樓)

    신풍루는 화성행궁의 정문이다. 1789년(정조 13년)에 누문 6칸을 세우고 진남루(鎭南樓)라 하였다. 건물은 2층의 누각 구조로 아래층은 출입문으로 쓰고, 위층에는 큰 북을 두어 군사들이 주변을 감시하고 신호를 보내는 용도로 사용했다. '신풍'이란 이름은 정조에게 있어 화성은 고향과 같은 고장이라는 의미로 편액을 걸었다. 가운데 문은 어도(御道)로, 임금만 지나갈 수 있었다. 수원 화성행궁은 정조가 능원에 참배할 때 머물던 임시 처소였다. 평소에는 부사(府使) 또는 유수(留守)가 집무하면서 관리하였다. 1789년(정조 13년) 수원 화성 건설 후, 1796년(정조 20)에 창건했다. 1789년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을 옮긴 후 1800년(정조 24년)까지 11년 간 12차례에 걸쳐 화성에 행차했고, 이때마다 화성행궁에 머물렀다.

    화성행궁 정문인 신풍루로 들어가 좌익문 오른쪽에 있는 중약문으로 들어가면 이번에 복원한 우화관 공간이 나온다. 넓은 운동장과 우화관 내삼문이 보이고 내삼문으로 들어가면 우화관이 있다. 우화관은 정청과 동헌, 서헌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화관(于華觀)은 화성유수부의 객사이다. 객사란 지방 수령이 매달 1일과 15일에 임금을 상징하는 전패 앞에서 의례를 행하는 곳이면서 관아를 방문하는 사신이나 관리들이 머물던 곳이다. 별주는 왕이 행차할 때 음식을 준비하고 관련 문서를 보관하던 곳이다. 

수원 : 화성행궁 신풍루( 華城行宮 新豐樓)

     화성행궁은 576칸으로 정궁(正宮) 형태를 이루며 국내 행궁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낙남헌을 제외한 시설이 일제의 민족문화와 역사 말살 정책으로 사라졌다. 1980년대 말, 뜻있는 지역 시민들이 복원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꾸준하고 적극적인 복원운동을 펼친 결과 1996년 복원공사가 시작되어 마침내 482칸으로 1단계 복원이 완료되어 2003년 10월, 일반에게 공개되었다. 2023년 우화관과 별주권역 복원공사가 완료되어 119년간 이어 온 화성 행궁 파괴와 복원 여정이 마무리되었다.

 

가실때  공감 살짝 눌러주고 가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