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인 여행............................. 764.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 각황전(華嚴寺覺皇殿)
화엄사 각황전(華嚴寺覺皇殿)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에 있는 조선후기에 중건된 사찰건물. 1962년 국보 제67호로 지정되었다. 화엄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의 본사로서 국보와 보물 등 많은 문화재들을 보유하고 있다. 각황전은 대웅전과 함께 화엄사의 주불전이며 정면 7칸, 측면 5칸의 다포계 중층 건물이다. 내부에는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아미타불과 다보불 등 3여래(三如來)와 보현보살, 문수보살, 관음보살, 지적보살(知積菩薩) 등 4보살(四菩薩)을 봉안하고 있다.
구례 : 화엄사 각황전(華嚴寺覺皇殿)
화엄사는 1636년(인조 14)에 작성된 「호남도구례현지리산대화엄사사적(湖南道求禮縣華嚴寺事蹟)」 등 여러 문헌에서 544년 연기조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그리고 각황전은 본래 장륙전(丈六殿)으로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아 3층 7칸으로 건립하였으며 내부에는 화엄경 원전을 엷은 청색 돌에 새긴 화엄석경(보물, 1990년 지정)으로 장식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新羅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에 “연기는 황룡사의 승려로서 754년(경덕왕 13) 8월부터 화엄경 사경(寫經: 후세에 전하거나 공덕을 쌓기 위해 베낀 경전)을 만들기 시작하여 이듬해 2월에 완성시켰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경내의 석조물들과 화엄석경의 글씨체도 8세기의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화엄사와 장륙전은 8세기에 중후반에 창건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장륙전은 임진왜란 때 5,000여 칸에 이르는 화엄사의 전각들이 대부분 불에 타면서 함께 소실되었다.
화엄사는 1630년(인조 8) 벽암대사가 중건을 시작하여 1636년(인조 14)에 대웅전과 요사 일부를 완성하였다. 그리고 1699년(숙종 25)에는 벽암대사의 제자인 계파(桂波) 성능선사(性能禪師)가 왕실의 후원을 받아 4년 동안 중창불사를 벌였다. 이 과정에서 장륙전은 1702년(숙종 28) 중건되었으며 2층 7칸으로 전보다 층수가 줄어들었다. 완공 후 숙종은 자신이 직접 쓴 ‘각황보전(覺皇寶殿)’이라는 편액을 내려 이때부터 각황보전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이듬해에는 3여래와 4보살상을 봉안하였는데 중건 이전에는 금산사 미륵전처럼 입상(立像)이 모셔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각황전은 1768년(영조 44), 1847년(헌종 13), 1851년(철종 2)에 각각 중수하고, 1860년(철종 11)에는 후불탱화 3폭을 조성하여 후불벽에 걸었다. 1885년(고종 22)에 또다시 중수하였고 1936년부터 1941년까지 해체·보수되었다. 1961년에 보수한 뒤 이듬해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부분적인 수리를 거쳐 지금에 이른다.
화엄사는 일주문과 금강문, 천왕문을 거쳐 중심 영역으로 진입하도록 되어 있다. 보제루 옆을 지나면 동·서 5층석탑이 있는 넓은 마당이 나오고 높은 석단 위에 각황전, 대웅전, 원통전 등 주요 불전들이 자리하고 있다. 대웅전은 보제루와 축을 이루며 남향하고, 각황전은 대웅전과 직각 방향으로 서향하고 있다. 배치 구성에서 특이한 점은 동·서 5층석탑이 대웅전과 각황전의 중심축 어디에도 속하지 않고 비켜서 있다는 것이다. 화엄사에는 2개의 주불전이 존재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주불전으로 인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계획한 것으로 보인다. 각황전에 오르는 계단보다 대웅전에 오르는 계단을 넓게 구성한 것도 높은 각황전이 먼저 인식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대웅전을 향해 시각과 동선을 유도하기 위함으로 판단된다. 각황전 앞에는 넓은 마당이 조성되어 있으며 마당 중앙에는 6.4m 높이의 석등(국보, 1962년 지정)이 자리한다. 이 석등은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우리나라 석등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구례 : 화엄사 각황전(華嚴寺覺皇殿)
화엄사 각황전은 현존하는 중층불전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가구 구조는 아래층에서 반 칸씩 줄여 위층을 구성한 반칸물림방식으로, 조선 후기 중층건물의 구조수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내부 공간은 층의 구분 없이 통층(通層)으로 구성하여 웅장한 느낌을 준다. 대형 공간에는 최대한 빛을 끌어들이기 위해 아래층에는 사방에 많은 창호를 설치하였으며 위층은 벽체 대신에 채광창을 두었다. 바닥에는 본래 전돌을 깔았으나 1998년에 예불의 편의를 위해 마루를 설치하였다. 화엄사 각황전은 건물이 웅장하면서도 안정된 균형감과 엄격한 조화미를 보여주며 건축기법도 뛰어난 건축물이다. 내부에 봉안된 7구의 불·보살상과 후불탱화도 조선 후기의 불교 미술을 대표하는 수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가실때 ♡ 공감 살짝 눌러주고 가세요~~ 감사합니다.
'관광인, 실체교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광인 여행...766.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태종대 (77) | 2023.05.24 |
---|---|
관광인 여행...765. 부산광역시 중구 용두산길, 용두산공원 (94) | 2023.05.22 |
관광인 여행...763.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주남저수지 (100) | 2023.05.17 |
관광인 여행...762.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동래읍성 해자 (103) | 2023.05.15 |
관광인 여행.......761.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석굴암 (99) | 2023.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