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성단. 강화 고인돌 참성단. 강화 고인돌 화도 : 참성단 강화도 남쪽에 우뚝 솟은, 마니산 정상(468m)의 참성단은 단군께서 단을 쌓고 하늘에 제사를 올리던 곳이라 전해지고 있다. 참성단은 단군왕검이 백성들에게 삼신(三神)을 섬기는 예절을 가르치기 위해서 그의 아들 부루(夫婁)로 하여금 직접 쌓게 했다고.. 맥시멈. 영원엽서(그림) 2014.01.20
인삼과 화문석, 지석묘 인삼과 화문석, 지석묘 강화 : 인삼과 화문석 강화인삼은, 1920년대 개성에서 인삼의 연작이 불가능하자 인삼재배처를 찾던 중 가장 개성과 인삼생육조건이 비슷한 강화를 택하여 인삼을 경작하기 시작하여 6년근 인삼을 생산하면서 유명해진 곳이다. 화문석은 한자 표현이고, 우리말로는 ..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3.11.10
마니산 참성단 마니산 참성단 화도 : 참성단 강화도 마니산에 있는 참성단은 단군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돌로 쌓은 제단이라고 전해진다. 고려 원종 11년(1270)과 조선 인조 17년(1639), 숙종 26년(1700)에 각각 고쳐 쌓았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여러 번 고쳐서 쌓았기 때문에 본래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3.01.23
북방식 고인돌, 지석묘 북방식 고인돌, 지석묘 고창 : 북방식 고인돌 고인돌은 크게 나누어 지상에 4면을 판석으로 막아 묘실을 설치한 뒤 그 위에 상석을 올린 형식과, 지하에 묘실을 만들어 그 위에 상석을 놓고 돌을 괴는 형식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대체로 한반도 중부 이북 지방에 집중되어 있고, 후자는 중부 이남 지방에.. 맥시멈. 영원엽서(그림) 2011.07.22
지석묘 (하점) 지석묘 (하점) 하점 : 지석묘 지석묘란 청동기시대 사람들이 만든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하는데,지상에 책상처럼 세운 탁자식(북방식)과 큰 돌을 조그만 받침돌로 고이거나 판석만을 놓은 바둑판식(남방식)이 있다. 강화군 하점면 부근에는 40여 기의 고인돌이 있는데, 이 중 부근리 고인돌이라 부르..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1.07.09
강화지석묘 (하점) 강화지석묘 (하점) 하점 : 강화지석묘 지석묘란 청동기시대 사람들이 만든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하는데,지상에 책상처럼 세운 탁자식(북방식)과 큰 돌을 조그만 받침돌로 고이거나 판석만을 놓은 바둑판식(남방식)이 있다. 강화군 하점면 부근에는 40여 기의 고인돌이 있는데, 이 중 부근리 고인돌..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1.03.07
2010 충청방문의 해 65. (대전, 보문산성) 2010 충청방문의 해 65. (대전, 보문산성) "오셔유! 즐겨유! 대충청 2010’을 슬로건을 내걸고 충청권의 매력과 활력 있는 충청 관광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한 특별이벤트, 대전 : 보문산성(영문판) 시도기념물 제10호 (중구)로, 대전광역시 중구 대사동 보문산(해발 406m) 정상 부분의 산세를 이용하여 쌓은 성.. 전국 관광 주문 엽서 2010.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