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임진왜란 148

관광인 여행 ..... 454. 서울특별시 은평구의 파발(擺撥)

관광인 여행 ..... 454. 서울특별시 은평구의 파발(擺撥) 서울은평 : 파발(擺撥) 조선은 본래 군사 통신제도로서 봉수제를 갖추고 있었으나, 임진왜란을 치르면서 파발제의 필요성을 느끼고 1597년(선조 30)에 이를 설치하게 되었다. 파발에는 말을 타고 연락하는 기발과 사람이 속보로 걸어서 연락하는 보발이 있었다. 이중 기발은 25리마다 참을 설치하고 매참에 발장 1명, 색리 1명, 파발군 5명, 말 5필을 두었다. 보발은 30리마다 참을 두고 발장 1명과 파발군 2명을 배치했다. 파발은 서울에서 의주에 이르는 서발, 서울에서 경흥까지의 북발, 서울에서 동래에 이르는 남발 등 3대로를 중심으로 정비되었다. 참의 설치 수는 〈만기요람〉에 따르면 서발에는 직로에 38참(경기 7참, 황해도 13참, 평안..

관광인 여행.... 429.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현풍 곽씨 십이정려각

관광인 여행.... 429.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현풍 곽씨 십이정려각(玄風郭氏十二旌閭閣) 달성 : 현풍 곽씨 십이정려각(玄風郭氏十二旌閭閣) 정려각은 충신, 효자, 열녀 등을 기리고자 정문(旌門)을 세우고 표창하기 위해 건립한 상징적인 건물이다. 그 내부에 정려비나 현판처럼 만든 정려기(旌閭記)를 모신다. 현풍 곽씨 십이정려각은 유교 도덕의 기본이 되는 삼강(三綱)을 지킨 곽씨 집안 12인을 기리는 정려비이다. 정려각에는 1598년(선조 31)부터 영조 임금(재위 1724~1776) 때까지 곽씨 일문에 포상된 12인의 정려가 모셔져 있다. 정려가 내릴 때마다 정려각을 세우던 것을 1725년 이후 이들 정려를 현재의 자리에 모아 세웠다. 정려각 안에는 2개의 비석과 12개의 현판이 있다. 건물과 현판은 최근..

관광인 여행.... 397.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선릉(宣陵)

관광인 여행.... 397.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선릉(宣陵) 서울삼성 : 선릉(宣陵) 조선시대의 성종과 정현왕후 윤씨(貞顯王后尹氏)의 능으로, 사적 제199호이며, 1495년(연산군 1)에 조성되었다. 1530년(중종 25) 정현왕후 윤씨가 사망하자 그 옆에 윤씨의 능을 조성했다. 세조의 유교, 즉 "원(園)·능에는 석실이 유해무익하니 석실과 사대석을 쓰지 말라"는 유언에 따라 왕릉에는 석실을, 왕후릉에는 병풍석을 만들지 않았다. 그밖의 상설배치물은 〈국조오례의〉식의 기준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선릉 앞 문인석의 신장은 3m 내외로 봉분의 높이와 비슷하며 얼굴은 중후한 느낌을 주도록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몸체와 비교하면 비율이 맞지 않고 사각주에서 가공한 조각품이라는 느낌이 든다. 모자의 높..

관광인 여행 .......353. 경기도 김포시의 중봉 조헌과 우저서원

관광인 여행 .......353. 경기도 김포시의 중봉 조헌과 우저서원(重峰 趙憲 牛渚書院) 김포 : 중봉 조헌과 우저서원 (重峰 趙憲 牛渚書院) 조헌(1544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유학자이자 경세사상가, 의병장으로, 자는 여식(汝式), 호는 중봉(重峯), 시호는 문렬(文烈). 본관은 배천(白川). 성혼의 문인이다. 문묘에 종사된 해동 18현 중의 한 사람이다. 조선국 공조좌랑 등을 지냈다. 1604년(선조 37년)에 이조판서로 추증되고 1609년(광해군 1년)에 그의 사당에 '표충(表忠)'이라는 액이 하사되었으며, 1754년(영조 30년)에 영의정으로 추증되고, 1883년(고종 20) 문묘에 종사되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호남의 고경명, 김천일, 영남의 곽재우, 정인홍과 함께,..

관광인 여행 .......344. 서울시 종로구 숭인동의 동관왕묘

관광인 여행 .......344. 서울시 종로구 숭인동의 동관왕묘(東關王廟) 서울숭인 : 동관왕묘(東關王廟) 중국 촉나라의 장군인 관우(關羽)를 봉사하는 사당으로, 보물 제142호. 정식 명칭은 동관왕묘이며 한말에는 관제묘라고도 불렸다. 임진왜란 때 관우의 영령이 왜병을 격퇴시켰다 하여 명나라 장수들의 요구로 1602년(선조 35)에 창건되었다. 관우를 일종의 호국신으로 섬기는 사당으로서 서울에 남관왕묘와 동관왕묘가 설립되었으며, 한말에는 관우신앙의 여파로 서울의 서쪽과 북쪽에도 각각 설립되었으나 동관왕묘만이 현존하고 있다. 동묘의 건축은 남묘·북묘 등 서울에 건립된 관왕묘 가운데 가장 웅장하고 거대한 대표적인 건물로서 건축양식은 다포계의 통성을 준수한 평범한 가구의 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천장은 연등천..

관광인 여행 .......342. 충남 아산시의 현충사(顯忠祠)

관광인 여행 .......342. 충남 아산시의 현충사(顯忠祠) 아산 : 현충사(顯忠祠) 임진왜란 때 혁혁한 전공을 세우고 순국한 이순신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1706년에 창건하고, 이듬해 ‘顯忠祠’라 사액(賜額)되었다. 그 뒤 1865년(고종 2)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과 일본의 국권 침탈로 돌볼 수 없게 되어 한때 퇴락했으나, 1932년에 이충무공유적보존회(李忠武公遺蹟保存會)와 동아일보사가 성금을 모아 중건하였다. 광복 후 1967년 국가에서 현충사 성역화 사업을 마쳤다. 경역 면적은 16만 3096평이고, 주요 시설로 본전(本殿)·구본전(舊本殿)·유물관·고택(古宅)·활터·홍살문(紅―門)·정려(旌閭), 이면(李葂)의 묘소 등이 있다. 충무공의 표준영정 본전은 이순신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