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관광인, 실체교류 2065

관광인 여행....1,149.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중리, 산양.

관 광 인  여 행..........................1,149.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중리, 산양산양(山羊)    소목 소과에 속하며, 크기가 작고 염소처럼 생긴 포유동물. 동아시아 북부 지역과 한반도에 서식하는 야생 동물이다. 고산 지대의 바위가 많은 험한 산악지대에 서식하며, 절벽에 가까운 비탈에서도 이동하기 좋게 발굽이 발달했다.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이르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 제217호,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있다.양구 : 산양(山羊)     국립공원공단은 백두대간 중부권역 산양 서식지를 연결하는 중요 지역인 월악산에 서식하는 산양이 100마리로 늘어난 것과 관련, 백두대간 산양 생태 축 복원이 성공적으로 진행된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국립공원..

관광인 여행....1,148. 충청북도 제천시 포산동 241, 제천의림지.

관 광 인  여 행.......................1,148.  충청북도 제천시 포산동 241, 제천의림지. 제천의림지     충청도를 호수의 서쪽이라 하여 호서지방이라고도 부르는데, 여기서 말하는 호수가 바로 의림지를 가리킨다. 그만큼 의림지는 오래되고 유명한 저수지이다. 충청북도 기념물인 의림지는 삼한시대에 축조된 저수지로, 본래 임지라고 했다. 명승 제20호(2006년 12월 4일 지정) 제천 : 제천의림지     제천 의림지는 삼한시대에 축조된 저수지이다. 신라 때 악성 우륵이 개울물을 막아 둑을 쌓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그뒤 700년 뒤 현감 박의림이 좀더 견고하게 쌓은 것이라고 한다. 호반 둘레 1.8km, 만수면적 151,470㎡, 저수량 6,611,891㎡, 수심 8~13m의 ..

관광인 여행....1,147.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2가, 탑골공원.

관 광 인  여 행.......................1,147.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2가, 탑골공원. 탑골공원(塔骨公園)     1897년(광무 1년)에 고종 황제의 명을 받아 한성개조사업의 주체로 임명된 한성부 판윤 이채연이 영국인 고문 브라운과 함께 이곳을 대한제국 최초의 근대공원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우면서 대한민국 최초의 근대공원이 되었고, 원각사지 십층석탑이 있기 때문에 '동양의 불탑'이라는 뜻의 '파고다'라는 이름으로 지어졌고, 1992년 5월 28일 탑골공원이라 개칭되었다. 서울종로2가 : 탑골공원(塔骨公園)     한국인이 세운 최초의 근대식 공원을 꼽으라면 탑골공원이 맞다. 한동안 서울특별시 당국이 일반 공원 차원에서 관리해 왔고 현재는 종로구에서 관리하고 있다. 또한 문화재..

관광인 여행....1,146.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노상리, 도라산역.

관 광 인  여 행........................1,146.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노상리, 도라산역. 도라산역(都羅山驛)     도라산은 신라가 패망한 후 고려에 항복한 경순왕이 산마루에 올라 신라의 도읍을 그리며 눈물을 흘렸다 하여 도라(都羅)라 하였다고 한다. 도라산역은 현재는 민통선 안에 있다. 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경의선 철도역 중 하나인 도라산역의 출발은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통한 경의선 복원 사업에 의해서였다.문산 : 도라산역(都羅山驛)     2000년 남북정상회담으로 시작된 경의선 복원 사업에 의해 2002년 2월 도라산역이 개설되었고 남쪽의 임진강역까지 4km 구간을 연결하는 공사가 완료되었다. 이후 정식으로 영업을 개시한 것은 같은 해 4월 11일이다. 이곳에서 KBS..

관광인 여행.......1.145, 인천시 중구 연안부두로 70, 인천항구.

관 광 인  여 행...........................1.145,  인천시 중구 연안부두로 70,  인천항구. 인천항(仁川港)     우리나라의 수도인 서울특별시로 진입하는 관문 역할을 해오고 있으며, 국내 최대 공업지대의 하나인 경인공업지대와 수도권공업지대, 중부지방을 세력권으로 하는 서해안 제일의 무역항이다.인천항동 : 인천항구    인천항은 1883년 개항한 이후 국가 경제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왔다. 1990년 현재 주요 항만시설로는 안벽 7,895m, 잔교 10기, 물량장 1,197m와 접안능력은 10만t급 선박 1척을 비롯해 1만t급 이상 선박 25척과 1만t급 미만 선박 23척으로 총 49척이다. 외곽시설인 방파제는 2,033m에 이른다. 810척의 선박을 보유하고..

관광인 여행....1,144.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윤봉길의사와 충의사.

관 광 인  여 행...................... 1,144.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윤봉길의사와 충의사. 윤봉길의사와 충의사( 尹奉吉義士 忠義祠)      1908년 6월 21일 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에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난 윤봉길의사는 15세에 결혼해서 1녀 2남을 두고 25세에 한인 애국단에 입단하여 상하이 의거를 단행하다가 사형선고를 받고 일본 가나자와에서 총살형으로 순국하신 윤봉길의사의 독립운동 애국정신을 되새겨 본다.예산 : 윤봉길의사와 충의사( 尹奉吉義士 忠義祠)     윤 의사는 1932년 4월 29일 11시 40분 일제가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 일왕 생일과 상하이 사변 승리를 기념하는 축하 행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단상을 향해 물통 폭탄을 투척해 일본을 공포에 떨..

관광인 여행.......1.143, 울산광역시 을주군 언양읍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관 광 인  여 행.........................1.143,  울산광역시 을주군 언양읍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반구대 암각화(盤龜臺 巖刻畵)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유적은 울산 태화강 지류에 해당하는 대곡천변의 깎아지른 절벽에 너비 약 8m, 높이 약 3m 가량의 판판한 수직 암면에 그림이 집중적으로 새겨져 있다. 주변 10곳의 암면에서도 소수의 그림이 확인되고 있다. 석기시대 신석기의 고래사냥 관련 바위그림이다. 1971년에 발견되었고 1995년에 국보로 지정되었다. 울산 :  반구대 암각화(盤龜臺 巖刻畵)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에 있는 석기시대 신석기의 고래사냥 관련 바위그림이다. 1971년에 발견되었고 1995년에 국보로 지정되었다. ..

관광인 여행.......1.142,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 산 372, 팔미도 등대.

관 광 인  여 행.........................1.142,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 산 372, 팔미도 등대. 팔미도 등대(八尾島 燈臺)     인천 팔미도 등대는 인천광역시 앞바다의 팔미도에 위치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등대이다. 다만 이 등대를 계속 사용하고 있진 않고, 2003년 완공된 신등대에서 등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2002년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되었다가 2020년 사적 제557호로 승격지정되었다.)인천항동 : 팔미도 등대(八尾島 燈臺)     우리나라 최초의 등대인 팔미도 등대는 1894년 공무아문이 설치되고, 1902년 5월 소월미도, 북장자서, 백암등표와 함께 건축에 착수하여 1903년 4월에 준공되었으며, 같은 해 6월 1일 국내 최초로 점등되었다...

관광인 여행.......1.141,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 화성행궁 신풍루.

관 광 인  여 행.........................1.141,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 화성행궁 신풍루. 화성행궁 신풍루( 華城行宮 新豐樓)     신풍루는 1790년 정조 14년에 세워졌으며, 처음에는 진남루라 했는데 이후 정조의 명으로 신풍루가 되었다. '신풍'이란 이름은 일찍이 한나라 고조가 '풍 땅은 새로운 또 하나의 고향'이라고 한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정조에게 있어 화성은 고향과 같은 고장이라는 의미로 편액을 걸게 한 것이다. 국왕의 새로운 고향이란 뜻으로 정조대왕이 수원을 얼마나 각별하게 생각했는지를 알 수 있다. 수원 : 화성행궁 신풍루( 華城行宮 新豐樓)     신풍루는 화성행궁의 정문이다. 1789년(정조 13년)에 누문 6칸을 세우고 진남루(鎭南樓)라 하였다. 건물..

관광인 여행.......1.140,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호수공원.

관 광 인  여 행.........................1.140,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호수공원 호수공원(湖水公園)    일산호수공원은 대한민국에서 사실상 어려운 자연을 인공적으로 처음 시도한 호수공원이다. 이전까지는 댐 건설로 인해 상수원보호구역을 관광지로 꾸미거나, 기존에 있던 호수나 저수지 주변을 관광지화 한 정도였다. 그러나 일산호수공원은 원래 수로가 없던 곳에 인공 수로를 조성하여 거대 인공호수(300,000㎡)를 조성하고, 이 인공호수를 기반으로 대규모 생태공원을 조성하였다.고양일산 : 호수공원(湖水公園)    1996년 신설 당시에는 일산호수공원을 만든다고 하니까 전 국민 여론은 그 자리에 아파트나 더 지으라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일산호수공원이 만들어진 후 인공호수 생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