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관광인, 실체교류 1664

관광인 여행....741.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강 철새도래지.

관광인 여행...........................741.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강 철새도래지(洛東江─渡來地). 부산사하 : 낙동강 철새도래지(洛東江─渡來地) 한반도 중부지역에서는 겨울철에 주요 철새 서식지의 물이 결빙되는 반면, 낙동강 하류 삼각주 일대는 겨울철에도 얼음이 얼지 않기 때문에 11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 해마다 수많은 철새들이 도래하여 월동하는 곳이다. 재두루미 무리, 저어새, 맹금류 등의 멸종위기종은 물론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넓적부리도요 등의 보호종도 찾아온다. 봄과 가을철에는 호주와 러시아를 이동하는 도요·물떼새의 중요한 취식장소이자 휴식장소를 제공하며, 겨울철에는 오리·기러기류와 고니류는 물론 갈매기류, 가마우지류 등의 물새들에게 중요한 서식지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재두..

관광인, 실체교류 2023.03.29 (74)

관광인 여행....740.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

관광인 여행........................ 740.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國立─顯忠院) 국가와 민족을 위해 순국한 호국 영령들이 안장되어 있는 국립묘지. 「국립묘지령」은 그 첫 조항에서 ‘군인·군무원으로서 사망한 사람과 국가에 유공한 사람의 유골 또는 시체를 안장하고, 그 충의(忠義)와 위훈(偉勳)을 영구히 추앙하기 위하여 국방부 장관 소속하에 둔 묘지’라고 정의하고 있다. 국립묘지는 1955년 7월 15일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관악산 줄기로 약 44만 평(144만㎡)의 대지에 설립되었다. 서울흑석 : 국립서울현충원(Seoul National Cemetery) 2018년 현재 무명용사 11만여 위를 비롯하여 모두 17만 9천여 위의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이 잠들어 있다...

관광인, 실체교류 2023.03.27 (79)

관광인 여행....739.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 서울 암사동 유적.

관광인 여행.............................. 739.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 서울 암사동 유적(-巖寺洞遺蹟). 서울강동 : 서울 암사동 유적(ㅡ 岩寺洞 遺蹟) 서울 암사동 유적은 1979년 7월 26일에 사적 제267호로 지정되었다. 유적은 한강 아래쪽의 하안단구에 위치하며 강 건너에는 아차산성이 마주한다. 1925년의 대홍수로 유물 포함층이 드러나면서 널리 알려졌고, 이때 황산장삼랑(橫山將三郞)나 등전양책(藤田亮策) 등 일인학자들이 엄청난 양의 토기·석기를 채집하였다고 한다. 광복 후에도 여러 차례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1966년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조사단에 의해 정식 발굴되었다. 이 때에는 원형 움집 2기와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돌도끼[石斧], 그물추[漁網錘], 간돌화살촉[磨..

관광인, 실체교류 2023.03.25 (76)

관광인 여행....738.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경주불국사다보탑.

관광인 여행.......................738.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경주 불국사 다보탑(慶州佛國寺多寶塔). 불국사 : 경주 불국사 다보탑(慶州佛國寺多寶塔) 불국사 대웅전 앞뜰에 석가탑과 함께 나란히 서 있다. 1966년 석가탑 해체수리시 2층 탑신 사리공에서 『무구정광대다리니경』과 함께 발견된 두루마리 묵서지편에 탑을 중수하면서 넣은 「불국사무구정광탑중수기(佛國寺無垢淨光塔重修記)」(1024년), 「불국사서석탑중수형지기(佛國寺西石塔重修形止記)」(1038년) 등이 발견되었다. 이 문서에서 탑은 신라 혜공왕대에 건립되었으며, 고려 현종 15년(1024)과 정종 4년(1038)에 중수되었는데, 1024년 중수기를 다보탑의 중수기로 보고 있다. 이 탑은 1925년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에 의해 완..

관광인, 실체교류 2023.03.23 (82)

관광인 여행....737. 서울시 강서구 등촌동, 허준과 동의보감.

관광인 여행....................... 737. 서울시 강서구 등촌동, 허준과 동의보감(許浚 東醫寶鑑) 허준(許浚 1539 ~ 1615) 허준은 동의보감의 집례에서 말하기를 "중국의 동원은 북의라 하고 단계는 남의라 했다. 의에 남북의 이름이 있는데 우리나라는 동방에 치우쳐 있고 의약의 도가 연면하게 끊이지 않은, 즉 우리나라의 약을 일러 동의라고 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이것은 허준이 중국의학과 대별되는 우리의 전통의학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이것을 바로 세우기 위한 염원을 품고 있었음을 반증하는 말이다. 이것이 그의 주된 저술인 "동의보감" 의 이름에서 동의라는 말을 드러낸 이유이기도 하다. 허준과 동의보감(許浚 東醫寶鑑) 허준이 활약하기 전부터 우리나라는 중국의 난삽한 의학이론에 침식..

관광인, 실체교류 2023.03.21 (70)

관광인 여행....736.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청량산

관광인 여행........................ 736.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청량산(淸凉山) 봉화명호 : 청량산(淸凉山) 청량산 이 산세를 조선 시대의 이중환(李重煥)은 ≪택리지≫ 복거총론(卜居總論) 산수도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 청량산은 태백산맥이 들에 내렸다가 예안(禮安) 강가에서 우뚝하게 맺힌 것이다. 밖에서 바라보면 다만 흙묏부리 두어 송이뿐이다. 그러나 강을 건너 골 안에 들어가면 사면에 석벽이 둘러 있고 모두 만길이나 높아서 험하고 기이한 것이 형용할 수가 없다.” 이 산에는 27개의 절과 암자의 유지(遺址)가 있고, 신라 시대 이후 선현들이 수도한 유적이 다수 남아 있다. 원효(元曉)가 건립하였다고 하는 내청량사(內淸凉寺)와 외청량사(外淸凉寺), 의상(義湘)이 창건하..

관광인, 실체교류 2023.03.19 (78)

관광인 여행....735.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 1가, 청계광장

관광인 여행.......................... 735.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 1가, 청계광장(淸溪廣場). 광화문 : 청계광장(淸溪廣場) 서울특별시의 청계천에 딸린 작은 광장이자, 청계천의 발원지이다. 청계광장의 명칭은 청계천복원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던 2005년 서울특별시에서 열린 지명위원회에서 확정되었다. 총 5.84km 연장하였고, 산책로는 10.79km, 8849개의 조명, 2839000본의 식물이 있다. 하루에 40000 m^3의 물을 방류한다. 청계천은 환경부하천수 기준 II 급수 이상으로 아주 맑은 편이다. 청계광장부터 신답철교까지 총 24개의 다리와 12개의 분수, 57개의 진입로가 있다. 청계광장에는 삼색 조명이 조화를 이루는 캔들분수와 4m아래로 떨어지는 2단 폭포가 있다. ..

관광인, 실체교류 2023.03.17 (80)

관광인 여행....734.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보광사

관광인 여행............................. 734.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보광사(普光寺) 마석 : 보광사(普光寺) 대한불교조계종의 제2교구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인 보광사는 고려시대 광종 혜거 국사(899~974)에 의해 창건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많은 전란으로 소실되어 알려져있지 않다가 1851년(철종2년) 무렵부터 비로소 절의 역사를 알 수 있다. 그 당시 판부사를 지냈고 영의정 벼슬까지 올랐던 가곡 귤산 이유원(1814~1888)이 독실한 신심으로 절을 증건하고 원찰로 삼았다. 그는 대규모로 절을 다시 중창하고 자신의 정신적 스승인 당대의 고승 화담당 경화 선사와 친밀하게 지냈으며, 경화 선사가 주석할 당시에는 사세가 번창하고 대중이 구름처럼 운집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경화선사..

관광인, 실체교류 2023.03.15 (86)

관광인 여행....733.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금강계단

관광인 여행........................ 733.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금강계단(金剛戒壇) 양산통도사 : 금강계단(金剛戒壇) 보물 제 26 호인 이 계단은 인도에서부터 유래되었다. 의정(義淨)의 『대당서역구법고승전』에는 나란타사에 이 계단이 있음과 그 형태와 크기, 중앙에는 소탑(小塔)이 있고 소탑 안에는 불사리를 봉안하였음이 묘사되어 있다. 중국의 경우에는 당나라의 도선(道宣)이 정업사(淨業寺)에 이 계단을 건립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당나라에서 불사리를 얻어 귀국한 자장(慈藏)이 통도사에 최초로 이 계단을 만들었다. 이때의 통도사 계단의 형태를 알 수는 없으나, 서역·중국의 법식에 따라서 불사리는 계단의 중앙에 봉안하고 2단 정도의 단을 쌓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의 통도사 계..

관광인, 실체교류 2023.03.13 (82)

관광인 여행....732.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4가, 서울 숭례문.

관광인 여행.......................... 732.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4가, 서울 숭례문(崇禮門). 서울 숭례문(崇禮門) 1396년(태조 5) 창건되어 1448년(세종 30) 개축했다. 조선왕조가 도읍을 한양으로 정한 뒤, 정궁인 경복궁의 방향에 의해 남문인 숭례문이 정문이 되었다. 풍수지리에 의해 편액도 다른 문들과는 달리 세로로 쓰여졌다. 이는 서울 남쪽에 있는 조산인 관악산이 북쪽의 조산인 북한산보다 높고 산의 모양도 불꽃이 일렁이는 듯하여 관악산의 화기를 맞불로서 꺾기 위한 것이며, 오행에서 남쪽을 가리키는 예(禮)를 숭상한다는 의미를 담아 숭례문이라 이름했다. 1934년 일본이 '남대문'으로 문화재 지정을 했으나 1996년에 역사 바로세우기 사업의 하나로 일제가 지정한 문화재에..

관광인, 실체교류 2023.03.11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