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2024/10 31

관광인 여행.......1.071,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관악산 연주대.

관 광 인  여 행...................1.071,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관악산 연주대. 관악산 연주대 코스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 3번 출구로 나와 서울대 입구로 향하는 버스를 탄다. 버스에서 내린 후 서울대 쪽(왼편)이 아닌 오른편으로 걸으면 녹색 펜스가 보이고, 펜스가 끝나는 부분에 등산로로 진입하는 길이 보인다. 편도 2시간 5분(왕복 4시간 10분 관악산 관문 → 호수공원 → 연주 약수터 → 연주암 → 연주대. 약 7.2km)과천 : 관악산 연주대    관악산 관문에서 제4야영장까지는 큰 오르막길이 없어 걷기에 좋다. 제4야영장에서 연주대까지는 오르막이라 부를 법한 길이 계속 이어진다. 특히 깔딱고개 구간은 제법 가파른 편이다. 연주암에서 정상까지는 끝이 보이지 않는 계단..

우표로 보는 공룡의 종류....241. 크리토사우루스. 람베오사우루스. 레소토사우루스. 레소토사우루스.

우표로 보는 공룡의 종류............. 241.  33. 크리토사우루스(Kritosaurus). 34. 람베오사우루스(Lambeosaurus).35레소토사우루스(Lesothosaurus).36루펜고사우루스(Lufengosaurus).   크리토사우루스(Kritosaurus)     후기 백악기(1억 만 년 전~6600년 전)에 살았으며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육식 공룡이다. 크리토사우루스 이름은 ‘분리된 도마뱀’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로마인처럼 코가 높아서 얻은 이름이다. 로마인의 코와 비슷하다 하여 귀족도마뱀으로 불리기도 했다. 평상시에는 사족보행을 하다가 높은 나무의 잎을 먹을 때에는 이족보행을 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다양한 형태의 오리주둥이 공룡이 번성한 것은 이 공룡이 얼마나 성공적인..

관광인 여행....1.070, 강원특별자치도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의상대.

관 광 인  여 행.....................1.070, 강원특별자치도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의상대. 의상대(義湘臺)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낙산사를 지은 의상대사를 기념하기 위해 1925년에 만든 정자로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에 소재.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8호(1974.09.09 지정)양양 : 의상대(義湘臺)     의상(義湘)의 좌선(坐禪) 수행처였으며 위치는 낙산사(洛山寺)에서 홍련암(紅蓮庵)의 관음굴(觀音窟)로 가는 해안 언덕에 있다. 멀리 동해를 바라보는 전망 좋은 곳에 위치한 이곳은 의상이 낙산사를 창건할 때 머무르면서 좌선하였던 곳으로, 원래는 암자가 있었다고 한다. 1925년 이곳에 한 정자를 짓고 의상대라 하였다. 6각으로 만들어진 이 아담한 정자는 주위 풍경이..

관광인 여행...1.069,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중동리, 충익사.

관 광 인   여행.....................1.069,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중동리, 충익사. 충익사.     의령읍 남산 밑에 위치한 충익사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나라를 지킨 의병장 곽재우 장군과 그 휘하 장병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충익사의 규모는 면적 23,600m2이며, 건물 9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충익사에서는 매년 음력 4월 22일 추모 제향을 드리고 있다. 곽재우 장군의 탄신일인 음력 8월 28일에는 다례를 올린다. 의령 : 충익사    곽재우(郭再祐)는 1552년 8월 28일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에서 감사 곽월(郭越)의 아들로 출생했으며, 문무(文武)에 뛰어났다. 그는 1592년 4월 13일 부산에 상륙한 일본군이 별다른 저항없이 서울로 진격해가자 나라를 지키는 일..

공 룡 카 드......56. 공룡시대의 공룡들 16.

공 룡 카 드..................... 56.  공룡시대의 공룡들  16. 공룡시대(恐龍時代)     파충강 공룡아강에 속하는 동물군.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서 백악기 말까지 살다가 전멸하였다. 이들은 골반의 구조에 의하여 조반류(鳥盤類)와 용반류(龍盤類)로 나눈다. 육식성과 초식성이 있었으나 대부분이 초식성이며, 육식성은 매우 드물다. 이족보행의 것과 사족보행의 것이 있었으며, 주로 육상에서 생활하였다.  48. 파라사우롤로푸스(Parasaurolophus). 49. 코리토사우루스(Corythosaurus).50. 프테라노돈(Pteranodon). 51. 브라키오사우루스(Brachiosaurus).   파라사우롤로푸스(Parasaurolophus)     파라사우롤로푸스는 후기 백악기(765..

공룡 전화카드 2024.10.27

관광인 여행...1.068,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먼 사운리, 산막이옛길.

관 광 인  여 행....................1.068,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먼 사운리, 산막이옛길. 산막이옛길.     산막이옛길은 충북 괴산군 칠성면 외사리 사오랑 마을에서 산골 마을인 산막이 마을까지 연결됐던 총길이 10리의 옛길로서 흔적처럼 남아있는 옛길에 덧그림을 그리듯 그대로 복원된 산책로이다. 옛길 구간 대부분을 데크로 만들었고 환경훼손을 최소화하여 살아있는 자연미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막이옛길을 따라 펼쳐지는 산과 물, 숲이 어우러지는 아름다움은 괴산의 백미로 꼽을 수 있는 곳이다.칠성 : 산막이옛길    고향 마을 산모롱이길 산막이옛길은 충북 괴산군 칠성면 외사리 사오랑 마을에서 산골마을인 산막이 마을까지 연결됐던 총 길이 10리 의 옛길로서 흔적처럼 남아있는 옛..

관광인 여행...1.067, 울산광역시 남구 매암동, 장생포 고래박물관.

관 광 인  여 행....................1.067, 울산광역시 남구 매암동, 장생포 고래박물관.  장생포 고래박물관.     상어'가 두려움의 대상이라면 '고래'는 아이들에게 친근한 동물이다. 전자는 영화 〈죠스〉의, 후자는 '돌고래쇼'의 영향일지도 모르겠다. 커다란 포물선을 그리며 수면 위로 뛰어올라 훌라후프를 통과하고, 수조를 한 바퀴 삥 돌며 박수를 유도하는 영리한 돌고래는 미워할래야 미워할 수 없는 존재다. 울산 장생포에 가면 고래의 모든 것을 만날 수 있다.울산장생포 : 장생포 고래박물관.    옛날 고래잡이의 전진기지였던 장생포에 위치한 장생포 고래박물관은 국내 유일의 고래 전문박물관이다. 우리나라에서 고래잡이는 1986년 금지됐다. 박물관은 사라져가고 있는 고래 관련 유물과 자..

국경 없는 우취 우정 15. 아시아(Asia)

국경 없는 우취 우정............. 15.     1980년대 중반 세계 스포츠우표 수집가들은 한국의 88서울올림픽 우표 수집을 목적으로 한국의 공룡우표매니아에게 보내온 커버들을 소개합니다. 당시 미수교국(대부분 공산권)을 포함 110여개국이 넘었으나 여기에선 77개국 커버만 보여드립니다. 당시 인기리에 발행된 서울 올림픽우표는 우표값 + 부과금 =  이여서 부담이 컸던 기역만 남아 있네요 지금은.....  9. 오만(Oman). 10. 싱가포르(Singapore).11. 튀르키예(Türkiye). 터키(Turkey). 12. 일본(Japan).   아시아(Asia)     세계에서 가장 다양성이 많은 대륙. 규모도 가장 커서 세계 육지면적의 30%를 차지한다. 다른 대륙보다 거대한 산맥이 많고..

일체형 교류 2024.10.24

관광인 여행...1.066, 충남 홍성군 결성면 만해로, 만해 한용운선사 생가.

관 광 인  여 행...................1.066,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만해로, 만해 한용운선사 생가. 만해 한용운선사 생가.     한용운(韓龍雲). 한국의 시인, 승려, 독립유공자, 불교사회주의자. 속명은 정옥(貞玉), 법명은 용운(龍雲), 호는 만해(萬海).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선언서에 선언하고 자진 체포되었다. 3년을 복역한 뒤 출소해 민족 의식 계몽에 대한 준비를 한 후 1926년 시집 《님의 침묵》을 출판하여 저항 문학에 앞장서고 불교계 항일 단체 ‘만당‘에 당수로 추대되는 등 각종 민족 운동 및 독립운동에 앞장섰던 인물.결성 : 만해 한용운선사 생가     1879년 8월 29일, 충청도 결성현 현내면 박철리(현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

관광인 여행...1.065,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강화 전등사 대웅전.

관 광 인  여 행...................1.065,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강화 전등사 대웅전. 강화 전등사 대웅전(江華傳燈寺大雄殿)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불전. 석가여래 삼존불을 모신 곳으로, 앞면 3칸ㆍ옆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조선 광해군 13년(1621)에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포 상부의 용머리 조각, 추녀 하부의 사람 모양의 조각상이 특이점이다. 이 건물은 건축사와 미술사적인 가치가 높은 국가유산으로 평가받고 있어, 조선 중기 이후의 건축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보물 제178호.강화길상 : 강화 전등사 대웅전(江華傳燈寺大雄殿)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전등사는 강화도의 남쪽 끝 정족산의 한 가운데에 자리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