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 광 인 여 행........................1.135,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 연천 전곡리 유적.
연천 전곡리 유적(漣川 全谷里 遺蹟).
연천 전곡리 유적은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에 있는, 1979년 사적 제268호로, 지정된. 대한민국에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지 중에서도 오래된 곳이다. 지정면적 778,296㎢. 1978년에 당시 동두천 주둔 미군인 보웬(Bowen, G.)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었고, 1978년에서 1983년까지 6차례, 1986년에 한 차례의 발굴 조사가 있었다. 현재까지의 발굴은 모두 제2지구에서 실시되었다.
전곡 : 연천 전곡리 유적(漣川 全谷里 遺蹟).
7차에 걸친 발굴에서 3,000점 이상의 석기가 출토되었고 이보다 많은 수가 지표에서 채집되었다. 석기는 주로 석영맥암과 규암을 이용한 것이 거의 대부분이며 가장 특징적인 석기는 아슐리안형의 주먹도끼(hand-axe)들로 양면가공된 것과 외면가공된 것이 있다. 평면이 타원형인 것과 첨두형인 것이 모두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몸통이 두텁고 큼직한 박편흔으로 덮여 있어서 아프리카의 상고안(Sangoan) 석기공작과 지형적 유사성이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전곡리에서 발견된 아슐리안형 석기들은 1970년대 말까지 이러한 석기의 존재유무로 동아시아와 아프리카·유럽으로 구석기문화를 2분하던 모비우스의 학설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증거이다. 이로써 세계 구석기학계의 고인류의 문화적인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에 새로운 면을 제시하였다. 전곡리 유적조사를 계기로 한탄강·임진강 유역에 대한 4기 지질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를 토대로 유적의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이 제고됨으로써 구석기연구의 방법론 발달에도 큰 기여를 하였다.
1978년 그렉 보웬(Greg Bowen, 1950~2009)이라는 주한미군 공군 상등병이 동두천 군부대의 가수이던 한국인 애인 이상미(1954년생, 현 아내)와 1월에 한탄강에서 데이트하던 중에 커피를 마시려고 코펠에 물을 끓이기 위해 주변에서 돌을 모았다. 그때 이상미가 주워 온 '이상한 돌'을 보고 뭔가를 알아차린 보웬은 그 돌을 챙겨와 프랑스의 고고학 권위자에게 편지를 보냈다. 프랑스 교수의 소개를 통해 김원용 서울대 고고인류학과 교수에게 유물을 보내 조사를 요청했는데 그 돌이 약 30만 년 전 것이라고 추정된 전기 구석기시대의 유물인 '전곡리 주먹도끼'로 밝혀진 것이다.
전곡 : 연천 전곡리 유적(漣川 全谷里 遺蹟).
전곡리 선사유적지에서 아슐리안식 석기가 발견됨으로써 이전까지 정설로 인정받던 모비우스 학설이 한순간에 뒤집어져 버렸다. 이 일은 세계를 놀라게 했고 미국 버클리 대학의 아프리카 구석기 권위자인 데즈먼드 클라크 같은 세계적인 학자들까지 한국에 와서 석기들을 감정하고 진품임을 인정했다.1978년 처음 발견되어 1979년부터 현재까지 여러 차례 발굴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주먹도끼, 사냥돌, 주먹찌르개, 긁개, 홍날, 찌르개 등 다양한 종류의 석기를 발견하였다. 그 중 유럽과 아프리카 지방의 아슐리안 석기 형태를 갖춘 주먹도끼와 박편도끼가 동북아시아에서 처음 발견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전곡리 선사 유적은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생활모습을 밝혀 줄 중요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한국과 동북아시아 지역의 구석기 문화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전곡리선사유적지 → 연천 전곡리 유적)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가실때 ♡ 공감 살짝 눌러주고 가세요~~ 감사합니다.
'관광인, 실체교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광인 여행.......1.135,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 연천 전곡리 유적. (51) | 2025.02.06 |
---|---|
관광인 여행...1.134,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근화동, 소양강처녀상. (72) | 2025.02.04 |
관광인 여행.......1.133,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 백도. (73) | 2025.02.03 |
관광인 여행.......1.132,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오륙도. (78) | 2025.02.01 |
관광인 여행...1.131,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 용연리, 가마골 용소. (78)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