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 광 인 여 행....................1.082,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경주 독락당 계정.
경주 독락당 계정(慶州 獨樂堂 溪亭).
‘경주 독락당 계정’은 조선 중기 성리학자인 회재 이언적이 벼슬에서 물러난 뒤,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에 자리를 잡고, 사랑채인 독락당 안쪽 깊숙한 곳에 지은 별채입니다. 독락당 계정은 계곡 쪽으로 쪽마루를 내고 계자난간을 설치해 주변의 물, 바위, 나무들과 조화롭게 어우러져 주변 경관을 즐길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언적은 독락당과 계정 주변의 자연을 정원으로 삼아 심신을 수양하면서 조정으로 복귀할 때까지 이곳에서 성리학 연구에 전념했다고 합니다.
경주안강 : 경주 독락당 계정(慶州 獨樂堂 溪亭).
독락당은 회재 이언적(1491∼1553) 선생이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와 지은 집의 사랑채이다. 조선 중종 11년(1516)에 건립된 이 독락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집으로 온돌방(1칸× 2칸)과 대청(3칸× 2칸)으로 되어 있다. 건물의 짜임새는 오량(五樑)에 두리기둥을 세우고 쇠서 하나를 둔 초익공(初翼工)의 공포(拱包)로 꾸몄다. 대청 천장은 서까래가 노출된 연등천장이고 종도리를 받친 대공(臺工)의 모양이 특이하다. 독락당 옆쪽 담장 살창을 달아 대청에서 살창을 통하여 앞 냇물을 바라보게 한 것은 특출한 공간구성이며, 독락당 뒤쪽의 계정(溪亭) 또한 자연에 융합하려는 공간성을 드러내 준다고 하겠다. 옥산정사(玉山精舍)라고도 한다. 뒤에 정해사 주지의 주선으로 띳집을 헐고 계종과 양진암, 독락당을 잇달아 지었다.
독락당은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다. 지붕은 팔자 모양으로 한 팔작지붕이다. 오른쪽 3칸은 넓은 마루, 왼쪽 1칸은 온돌방이다. 독락당 편액은 선조 때 영의정을 지낸 이산해의 글씨다. 이언적이 자연과 벗하며 책을 읽던 공간인 독락당은 마루와 사랑방으로 구성돼 있다. 사랑방 서쪽에는 한 칸의 작은 방이 붙어 있는데, 책을 쌓아두는 책방인 동시에 독락당과 안채를 연결하는 매개공간이다. 안채 건물과 토담으로 둘러싸여 외부로 향하는 시선이 차단된 독락당은 자연을 향해서는 열린 독특한 구조로 되어 있다.
경주안강 : 경주 독락당 계정(慶州 獨樂堂 溪亭).
1964년 보물로 지정된 건물인 독락당은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다. 지붕은 팔자 모양으로 한 팔작지붕이다. 오른쪽 3칸은 넓은 마루, 왼쪽 1칸은 온돌방이다. 독락당 편액은 선조 때 영의정을 지낸 이산해의 글씨다. 이언적이 자연과 벗하며 책을 읽던 공간인 독락당은 마루와 사랑방으로 구성돼 있다. 사랑방 서쪽에는 한 칸의 작은 방이 붙어 있는데, 책을 쌓아두는 책방인 동시에 독락당과 안채를 연결하는 매개공간이다. 안채 건물과 토담으로 둘러싸여 외부로 향하는 시선이 차단된 독락당은 자연을 향해서는 열린 독특한 구조로 되어 있다. 특이한 것은 독락당 옆쪽 담장에는 나무로 살을 만든 창을 달았다. 옥산천 냇물을 바라보기 위한 공간 구성이다. 이채롭운 살창 사이로 들리는 계곡 물소리로 마음의 묵은 때가 홀연히 씻기는 듯하다. 홀로 머물다 가고 싶은 곳이다. 독락당에서 뒤편 별채 앞 약쑥 밭을 지나, 독락당 별당으로 들어 가는 협문이 보인다. 문 안으로 들어가면 독락당의 별당인 계정(溪亭)이다. 동쪽의 계곡으로 면한 부분은 정자인 계정이고, 계정에서 'ㄱ'자로 꺾어 지은 2칸 방은 양진암(養眞庵)이다. 양진암은 정혜사 승려와 교류했던 이언적이 계정을 찾은 정혜사의 스님이 머물도록 배려한 공간이라고 한다. 계정에는 눈에 띄는 두 개의 편액이 있다. '계정(溪亭)'이라는 편액은 한석봉, '양진암(養眞庵)'이라는 편액은 퇴계 이황의 글씨다.
가실때 ♡ 공감 살짝 눌러주고 가세요~~ 감사합니다.
'관광인, 실체교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광인 여행....1.084,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 남문바위. (90) | 2024.11.21 |
---|---|
관광인 여행....1.083,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97) | 2024.11.19 |
관광인 여행....1.081,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성내동, 죽서루. (93) | 2024.11.16 |
관광인 여행....1.080,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여좌동, 여좌천벚꽃길. (90) | 2024.11.15 |
관광인 여행....1.079,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죽헌동, 신사임당과 오죽헌. (93) | 202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