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2021/06 30

관광인 여행.... 448. 경기도 수원시의 수원 방화수류정

관광인 여행.... 448. 경기도 수원시의 수원 방화수류정(水原訪花隨柳亭) 수원북문 : 수원 방화수류정(水原訪花隨柳亭) 방화수류정은 수원 화성의 네 개의 각루 중 동북각루의 이름이다. 이것은 1794년(정조 18) 수원 화성(華城, 사적 제3호)을 축조할 때 화성의 동북쪽에 군사지휘소부로 만들었던 각루로, 화성의 북수문인 화홍문(華虹門)의 동측 구릉 정상 즉 용연(龍淵) 남측에 불쑥 솟은 바위 언덕인 용두(龍頭) 위에 있다. 각루의 이름은 중국 송나라의 시인인 정명도(程明道)의 시 중 ‘운담풍경근오천(雲淡風輕近午天), 방화수류과전천(訪花隨柳過前川)’에서 따왔다고 하며, 현판의 글씨는 근대의 서예가 김기승(金基昇)이 썼다. 2011년 3월 3일에 보물 제1709호로 지정되었고, 수원시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관광인으로 엮는 테마여행......1. 임진왜란(壬辰倭亂)

관광인으로 엮는 테마여행......1. 임진왜란(壬辰倭亂) 여기 소개하는 우취작품은 우리나라 관광우편날짜도장(관광인) 수집분야의 최고의 권위자이신 최태윤 박사님의 작품 중 일부로 앞으로 임진왜란 외 2편을 더 소개할 예정입니다. 관심있게 보아주시고 우리나라 곳곳에 있는 관광인의 의미와 수집에 동참해 보시기 바랍니다. 처음 시작 하시는분께는 많은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임진왜란은 임진년에 처음 발생했다 하여 보통 '임진왜란'이라고 하며, '7년전쟁'이라고도 한다. 1592년 4월 일본군 선봉대가 부산포로 쳐들어와 서울을 향한 북진을 계속해 2개월도 채 못 되어 전 국토가 유린되었다. 선조와 세자는 평양으로 피난하였다. 한산도대첩 등 해전의 승리로 일본의 해상작전이 좌절되고, 전라도 곡창지대를 지킬 수..

관광인 여행.... 447. 서울특별시 중구의 서울 숭례문

관광인 여행.... 447. 서울특별시 중구의 서울 숭례문(崇禮門) 서울중앙 : 서울 숭례문(崇禮門) 숭례문은 조선 태조 5년(1396)에 최초로 축조되었고 1398년 2월 중건되었다. 이 문은 조선시대 한성 도성의 정문으로 4대문 가운데 남쪽에 위치하므로, 남대문으로도 불린다. 1448년에도 크게 고쳐지었다. 이후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에도 남대문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양측에 성벽이 연결되어 있었지만 1908년 도로를 내기 위하여 헐어 내고 성문만 섬처럼 따로 떨어져 있었으나, 2006년 복원 공사를 마치고 지금과 같은 모습을 하게 되었다. 1962년 문화재보호법에 의하여 보물에서 국보 제1호로 지정되었다. 건물의 평면은 아래.위층이 모두 5칸, 측면 2칸이며, 건물 내부의 아래층..

우표로 엮는 성경(신약) 이야기.... 18.

우표로 엮는 성경(신약) 이야기.... 18. 1. 복음서 1 - 4 예수님의 수난과 죽움 - 2. 예수의 수난과 죽음, 이 사건은 그를 따르는 자들의 믿음에 결정적인 중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복음서들의 많은 일치점에도 불구하고 수난 전승에는 상당한 모순이 있다. 따라서 수난 전승이 역사적으로 정확한 내용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대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교회의 관점과 교회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설화에서 가장 중요한 신학적인 주제는 예수의 수난과 죽음을, 천한 죽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메시아와 하느님의 아들로 선언하려는 것이며, 구약성서 예언자들과 시편의 말씀에 의거하여 하느님의 뜻을 성취하는 자로 표현한다. (다음백과) 슬퍼하는 여인들 무거운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은 예루살..

관광인 여행.... 446.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의 삼성혈

관광인 여행.... 446.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의 제주 삼성혈(濟州 三姓穴) 제주삼성 : 제주 삼성혈(濟州 三姓穴) 제주도 원주민의 발상지로 고(高)·양(良: 뒤에 梁으로 고침)·부(夫)씨의 시조인 고을나(高乙那)·양을나(良乙那)·부을나(夫乙那)의 세 신인(神人)이 솟아났다는 구멍이다. 세 신인은 수렵생활로 가죽옷을 입고 고기를 먹으며 살다가 오곡의 씨와 송아지·망아지를 가지고 온 벽랑국(碧浪國, 또는 日本國)의 세 공주를 각각 맞이하여 혼인하고 농경생활을 시작하여 삶의 터전을 개척한 인물들이다. 삼성혈은 지상에 팬 세 구멍으로 되어 있는데, 구멍은 품자(品字)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가운데 하나는 둘레가 6자이고 깊이는 바다까지 통한다고 하며, 나머지 두 구멍은 둘레가 각기 3자인데 오랜 세월이..

공룡의 종류.....165. 모노클로니우스. 무타부라사우루스.

공룡의 종류.....165. 모노클로니우스(Monoclonius). 무타부라사우루스(Muttaburrasaurus). 모노클로니우스(Monoclonius). 모노클로니우스는 백악기 후기, 7500만년에서 7460만년의 연대를 가지는 미국 몬태나 주 주디스강 층과 캐나다 앨버타 주 공룡공원 층에서 발견되는 초식성 각룡류 공룡의 한 속이다. 모노클로니우스는 1876 년에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명명했다. 후에 모노클로니우스와 닮은 각룡류인 켄트로사우루스의 보존상태가 좋은 표본이 발견되면서 분류학적으로 큰 혼란이 일어났다. 지금은 전형적인 모노클로니우스 표본은 많은 경우 켄트로사우루스와 같은 다른 속의 어린 개체, 혹은 아성체라고 생각된다. 아직도 모노클로니우스라는 속명 아래 남아있는 표본들은 너무 불완전하거..

경기문화재 여행 .....47. 수원시의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경기문화재 여행 .....47. 수원시의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水原彰聖寺址眞覺國師塔碑)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水原彰聖寺址眞覺國師塔碑) 고려 우왕 12년(1386년)에 진각국사 천희(千熙, 1307년~1382년)를 추모하기 위하여 수원 광교산 창성사 경내에 건립한 탑비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4호로 지정되었다. 높이 151cm, 너비 21c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진각국사의 행적을 적어놓은 탑비이다. 진각국사는 충렬왕 33년에 출생하여 13세에 화엄종 반용사에 들어가 19세에 상풍선에 오른 고려말 화엄종사로서 왕은 “대화엄종사 선교도총섭”이라는 칭호를 주었다. 창성사가 폐사되어 1965년에 이 비를 매향동 현위치로 옮겼다. 탑비는 직사각형의 넓적한 ..

관광인 여행.... 445. 전북 익산시의 익산미륵사지석탑

관광인 여행.... 445. 전북 익산시의 익산미륵사지석탑(益山彌勒寺址石塔) 익산금마 : 익산미륵사지석탑(益山彌勒寺址石塔) 국보 제11호. 높이 14.2m. 미륵사 절터의 서쪽에 있다. 한국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석탑으로 중국에서 전래된 목탑양식을 석재로 바꾸어 표현한 것이다. 이 석탑은 에 보이는 기록이나 석탑의 양식적 특징으로 볼 때 백제 말기인 무왕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측된다. 낮고 작은 기단 위에 건립되었으며 각 층의 탑신은 각 면이 3칸으로 되어 있다. 1층 탑신은 네 귀퉁이에 배흘림이 분명한 기둥을 세우고 그 사이에 탱주를 새겼으며 각 면의 중앙에는 내부로 통하는 문이 1개씩 설치되어 있다. 내부 중앙에는 십자로 교차되는 점에 탑을 지탱하는 석조의 찰주가 세워져 있다. 각 층의 옥개는 얇고 넓..

어린이 작품......1. 아낌없이 주는 소(牛)

아낌없이 주는 소(牛) ...... 1. 1. 전설 (1-1. 견우와 직녀. 1-2. 농사의 신.) 소목 소과에 속하는 가축. 성별과 나이에 따라 송아지, 황소, 암소 등으로 부른다. 고기와 우유를 얻거나 사역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가축화된 소과 동물. 신석기 시대에 이미 가축화되었다. 초식동물로, 위가 4개 부분으로 나뉘어져 되새김질을 한다. 소가 먹은 먹이는 첫 번째 위인 혹위에 저장되어 미생물에 의해 세포벽이 분해된다. 분해된 먹이는 두 번째 위인 벌집위에서 뭉쳐진다. 쉬는 시간에 벌집위에 들어 있는 먹이를 게워내어 어금니로 되새김질을 한다. 되새김질로 잘게 부서진 먹이는 벌집위를 지나 겹주름위에서 더 잘게 분해되고 수분이 흡수되며, 주름위에서 소화액을 분비하여 최종적인 소화 흡수 단계에 이르게 된다..

관광인 여행.... 444. 경북 칠곡군의 다부동전적기념관

관광인 여행.... 444. 경상북도 칠곡군의 다부동전적기념관 칠곡가산 : 다부동전적기념관 다부동전투(多富洞戰鬪)는 국군 제1사단이 낙동강선 다부동 일대에서 북한군의 공세를 성공적으로 방어한 전투. 1981년 11월 30일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에 개관하였으며, 기념관이 들어선 곳은 1950년 6·25전쟁 때 가장 치열한 다부동전투가 벌어졌던 격전지로 알려져 있다. 전시관과 기념비, 야외전시장, 관리사무소 등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는데, 이 가운데 기념비는 구국용사를 위한 충혼비로, 1995년 6월 25일에 25m의 높이로 세워졌다.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 후 북한은 무기와 훈련이 부실한 국군을 연이어 물리치고 승리하여 3일 만인 6월 28일 서울을, 7월 5일에는 오산 전투에서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