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관광인, 실체교류

관광인 여행....1,232.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증산리, 보경사.

공룡우표매니아 2025. 7. 12. 03:00

관 광 인  여 행......................1,232.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증산리, 보경사.

보경사(寶鏡寺)

    내연산에 있는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1교구 본사 불국사의 말사이다. 602년(진평왕 24년) 남조의 진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대덕(大德) 지명(智明)에 의하여 창건되었다. 그 뒤 여러 번의 중건을 거쳤다. 1932년에는 대웅전과 상지전을 중수하였으며, 1975년 이후 약간의 단청불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문화재로는 보경사 고려 고종때의 원진국사비(보물 제252호), 포항 보경사 승탑(보물 제430호) 등이 있다.

포항송라 : 보경사(寶鏡寺)

    현존하는 당우로는 비로자나불과 문수보살 · 보현보살을 모신 적광전, 석가모니불을 모신 대웅전,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사자를 탄 문수와 코끼리를 탄 보현보살, 16나한 등을 배열한 영산전, 석가모니의 팔상시현(八相示顯)을 나타낸 팔상전이 중심 당우로 자리잡고 있다. 이 밖에도 명부전 · 산신각 · 원진각(圓眞閣) · 일로향각(一爐香閣) · 동로각(東爐閣) · 누각 · 수월당(水月堂) · 천왕문 · 일주문 · 원진국사비각 · 설산당비각(雪山堂碑閣) · 창고 등이 있다. 현존하는 산내 암자로는 동쪽 50m 지점의 청련암과 서쪽 100여 미터 지점의 서운암, 보경사 창건과 동시에 건립되었다는 문수암(文殊庵)과 보현암(普賢庵)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이 절의 주변에는 상태사(常泰寺) · 성도암(成道庵) · 계조암(繼祖庵) · 내원암(內院庵) · 대비암(大悲庵) 등의 유지가 있다.

     대한민국 100대 명산에 선정된 내연산, 영남의 금강산으로도 불리는 내연산 절경은 누가 보더라도 매혹적이다. 초여름 들어 더욱 짙어진 녹음과 만물상과 같은 기암괴석, 그리고 12폭포를 자랑하는 계곡이 그 바탕이며, 유서 깊은 천년고찰 보경사가 그 앞자리에서 이끌고 있다. 

    보경사 소재 중요 국가유산은 건축물부터 탱화까지 여러 점이 남아 있다. 1963년 보물로 지정된 보경사 원진국사비와 1965년 보물로 지정된 원진국사의 승탑이 있다. 원진국사(1171∼1221)는 고려시대의 승려인데 왕명으로 보경사 주지가 됐으며, 입적 후 고종은 그를 국사(國師)로 예우하고, 시호를 원진이라고 했다. 적광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평면에 다포 맞배지붕이며,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모신 전각으로 2015년 보물로 지정됐다. 

포항송라 : 보경사(寶鏡寺)

     보경사 산내 암자인 서운암의 동종은 18세기 사인비구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2000년에 보물로 지정됐다. 1708년 조성되고 1725년 중수된 괘불탱은 2009년 보물로 지정됐다. 1742년(영조 18) 뇌현(雷現), 밀기(密機), 석잠(碩岑) 등 조선 후기 경북 지역에서 활동한 세 명의 불화승이 제작한 비로자나도는 2018년 보물로 지정됐다. 그 밖에 1985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된 오층석탑, 1974년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된 탱자나무가 있다. 조선시대 숙종이 이곳의 12폭포를 유람하고 그 풍경의 아름다움에 시를 지어 남겼다는 어필의 각판이 있다. 승탑으로는 동봉(東峯) · 청심당(淸心堂) · 심진당(心眞堂) 등 11기가 있다.

 

가실때  공감 살짝 눌러주고 가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