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 광 인 여 행.....................1.195,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동궁과 월지.
동궁과 월지(東宮과 月池)
경주 동궁과 월지는 신라 왕궁의 별궁 터이다. 다른 부속건물들과 함께 왕자가 거처하는 동궁으로 사용되면서, 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나 귀한 손님을 맞을 때 이곳에서 연회를 베푼 장소이다. 신라가 멸망한 후 이곳에 기러기와 오리가 날아와 기러기 안(雁)과 오리 압(鴨)을 써서 예전엔 안압지로 불렀으나, 1980년대 이곳에서 월지-달이 비치는 연못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토기 파편이 발굴되고, 삼국을 통일한 후 문무왕 14년(674)에 큰 연못을 파고 못 가운데에 3개의 섬과 못의 북·동쪽으로 12 봉우리의 산을 만들었으며 여기에 아름다운 꽃과 나무를 심고 진귀한 새와 짐승을 길렀다고 전해지는 내용으로 보아 이곳이 신라시대 때 ‘월지’라고 불린 장소로 확인되어 2011년에 경주 동궁과 월지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경주 : 동궁과 월지(東宮과 月池)
그러나 1980년에 안압지에서 발굴된 토기 파편 등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이 호수를 월지(月池)라고 불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월지'란 명칭은 반월성(半月城: 경주 월성)과 가까이 있었기 때문이고, 임해전(臨海殿)의 이름도 원래는 월지궁이다. 이러한 사실을 반영하여 2011년 7월부터 이곳의 정식 명칭도 오랫동안 써 왔던 '안압지' 대신 '동궁과 월지'로 변경되었고 각종 안내문에서도 변경된 명칭을 따랐다. 그러나 조선시대 이래로 안압지로 알려진 기간이 워낙 길어서 아직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안압지라고 부르고 표기하기도 한다. 동궁과 월지에 비해 부르기도 더 쉬운 점도 한몫한다.
다만 신라 시기에도 '임해전'이란 명칭을 일부 쓰기도 한 듯하다. 삼국사기에는 동궁을 임해전이라고 부른 기록이 있다. '바다와 가까운 건물'이라는 뜻으로 안압지를 상징화했다고 추정한다. 해당 건물군들 주변 연못가에서 금동판불 등이 발견된 점으로 미루어보아 여기에서 종교적인 의례를 거행했을 가능성도 있다. 즉, 월지를 만든 시기가 나당전쟁 당시인 데다가 김유신이 사망한 뒤 지진, 반란이 일어나고 호랑이가 궁궐에 출몰하는 등 흉흉한 시절이다 보니 이걸 해결하기 위해서 국난 극복용으로 어떤 의례를 거행했을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문무왕(文武王)이 674년에 궁전 경주 월성의 동쪽에 호수를 만들고, 679년에 같은 위치에 동궁을 별궁으로 짓고 여러 건물의 이름을 새로 지었다. 이 시기는 나당전쟁이 당나라의 도독부 공식 철수와 공격 포기로 사실상 마무리되면서 기나긴 삼국통일전쟁이 마무리되고 평화 시대가 시작되면서 정궁인 경주 월성의 규모가 협소했던 것을 확장해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서였고, 동궁은 태자가 거처하는 곳이 되었다. 죽어서 동해의 용왕이 되었다고 믿어진 문무왕이 만든 곳이라 그런지 용왕에게 제사를 올리는 용왕전(龍王殿)이라는 건물이 있었고 용왕에 대한 제사는 출토된 신심용왕(辛審龍王) 유물로도 증명되었다.
경주 : 동궁과 월지(東宮과 月池)
월지는 경주 시내의 유일한 호수로, 원래는 발굴할 계획이 없었다. 그냥 동네 낚시터였다. 다만 1974년에 이미 폐허가 되어 탁한 물만 고여 있는 월지를 좀 더 깔끔하게 〈임해전지〉로 정리하려고 준설 작업을 하는 도중, 수많은 유물이 나오는 바람에 1975년부터 2년 동안 호수의 물을 빼고 발굴하게 되었다. 이때 5군데의 누각터를 비롯해 건물지 31곳, 선착장이 드러났고 함께 3만여 점의 유물이 나왔는데 그 전까지 고대 유물이 주로 출토되던 무덤 등의 부장품과 달리 실생활에서 사용하던 것이 많이 나왔다. 이때 발굴한 유물들은 국립경주박물관 내부의 월지관(구 안압지관) 건물에 소장되어 있다.
가실 때 아래 ♡ 공감 꾹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관광인, 실체교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광인 여행.....1.19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 우도봉. (64) | 2025.05.19 |
---|---|
관광인 여행...1.196,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신법리, 인삼. (44) | 2025.05.18 |
관광인 여행...1.194,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1동,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71) | 2025.05.15 |
관광인 여행 ....... 1,193.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쾌능리, 경주 원성왕릉. (73) | 2025.05.13 |
관광인 여행...1.192,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금척리, 금척고분. (71)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