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 광 인 여 행........................1.194,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1동,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榮州 可興洞 磨崖如來三尊像)
통일신라시대 초인 7세기 후반에 경상북도 영주시 지역에서 만들어진 마애여래삼존상 3구 및 여래좌상 1구. 총 4점. 현재 4점 모두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1동 264-2번지'에 소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221호로 지정되어 있다. 통일신라 초기인 7세기 후반 경에 경상북도 영주시의 서천이 내려다보이는 천변의 높고 커다란 바위벽의 가장 높은 곳을 신라인들이 조각하여 만든 것으로, 가운데 넓은 면에 본존불을 조각하고, 이어 좌우로 입상의 협시보살을 만들었으며, 그 좌측에 마애여래좌상을 옮겨 놓은 것이다. 이중 마애여래삼존상 3구는 일제강점기 때 학계에 처음 존재가 보고되었고, 마애여래좌상은 오랜 세월이 지나 2006년에 뒤늦게 발견되었다.
영주 :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榮州 可興洞 磨崖如來三尊像)
이 불상들의 조각 수법은 고부조(高浮彫)로 거의 원각(圓刻)에 가깝게 처리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수법은 인접한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奉化北枝里 磨崖如來坐像, 국보 제201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현재 불상의 두 눈이 파내어져서 원래 제작 당시 얼굴의 감정을 지금은 느낄 수 없지만 둥글고 풍만한 얼굴임이 틀림없다. 넓은 가슴, 어깨 위로 걸친 왼팔, 배에 댄 오른팔에서 강한 남성적 기질을 느낄 수 있으며, 특히 묵직한 천의(天衣) 묘사로 이 점이 더욱 강조된다. 눈이 부서졌지만 생기 있는 얼굴이나 초기적인 삼곡자세 등에서 새로운 사실적인 경향을 엿보게 하며, 자연암벽을 이용한 연꽃과 꽃, 불꽃무늬 등을 새긴 광배나 연꽃을 높게 돋을새김한 대좌 등은 장중한 불상 특징과 썩 잘 조화되어 더욱 듬직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이러한 삼존상은 장중한 모습의 고졸한 특징과 새로운 사실적인 싹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신라 통일 기간의 조각경향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예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1,300~1,400여년 전에 만들어진 대한민국의 석조 불상 4점으로, 신라시대 당시 경상북도 영주 지역의 석조 공예술과 불교 문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에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 보물 제221호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榮州 可興里 磨崖三尊佛像)으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8월 28일에 새로 발견된 마애여래좌상 1점이 추가되었고, 최종적으로 2010년 8월 25일에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불상은 강가 바위면에 본존불과 그 좌우에 서 있는 보살상을 각각 새긴 마애삼존불(磨崖三尊佛)이다. 본존불은 상당히 큼직한 체구로 장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큼직한 코, 다문 입, 둥글고 살찐 얼굴에서 불상의 강한 의지가 느껴진다. 가슴은 당당하고 양 어깨를 감싸고 흘러내린 옷은 장중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자연 바위를 그대로 이용하여 연꽃무늬와 불꽃무늬를 새긴 광배와 높게 돋을새김한 연꽃무늬의 대좌(臺座) 등은 장중한 불상의 특징과 잘 조화되어 더욱 듬직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영주 :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榮州 可興洞 磨崖如來三尊像)
사각형에 가까운 본존의 얼굴은 팽팽한 뺨, 큼직하고 듬직한 코, 꽉 다문 입 등으로 장중하면서도 활력이 넘친다. 머리카락을 표현하지 않은 소발(素髮)의 머리 위에는 큼직한 소발(素髮\ 가 표현되었으며, 두 눈은 모두 손상되었다. 얼굴에 나타나는 이와 같은 활력은 신체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약간 움츠린 듯한 어깨나 양감을 나타내지 않은 체구, 결가부좌한 넓고 긴장된 무릎 등에서도 건장한 힘을 느낄 수 있다. 본존의 선과 형태에서 나타나고 있는 장중한 모습은 좌우의 협시보살에게도 적용되고 있다. 오른쪽의 보살은 원형 두광을 지니고, 두 손은 가슴 앞에서 합장을 한 채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데, 약간 짧아진 듯하면서도 당당한 신체이다. 천의(天衣)는 배 부근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었다.
가실 때 아래 ♡ 공감 꾹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관광인, 실체교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광인 여행...1.196,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신법리, 인삼. (44) | 2025.05.18 |
---|---|
관광인 여행...1.195,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동궁과 월지. (75) | 2025.05.16 |
관광인 여행 ....... 1,193.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쾌능리, 경주 원성왕릉. (73) | 2025.05.13 |
관광인 여행...1.192,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금척리, 금척고분. (71) | 2025.05.12 |
관광인 여행...1.191,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양동마을 향단. (65)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