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관광인, 실체교류

관광인 여행.... 426. 경기도 수원시의 화성 동북공심돈

공룡우표매니아 2021. 4. 29. 03:00

관광인 여행.... 426.  

 

경기도 수원시의  화성 동북공심돈(華城 東北空心墩)

 

수원연무 : 화성 동북공심돈(華城 東北空心墩)

  수원화성 동북공심돈의 돈(墩)이란 성역의 안팎에서 일어나는 일을 감시하는 높은 망루를 뜻하며, 공심돈은 돈의 가운데가 비어있는 구조이다.  내부는 층을 나누어 사다리를 통해 오르내릴 수 있으며 위 아래에 많은 구멍을 뚫어서 바깥의 동정을 살피며 화살이나 화포로 적을 공격할 수 있는 형태이다. 수원 화성에는 서북공심돈, 남공심돈, 동북공심돈 등 세 곳의 공심돈이 있는데 서북공심돈은 화서문 북치(北雉) 위에 세워져 있다. 동북공심돈은 수원화성의 2개 공심돈 중 하나로 창룡문과 동장대(연무대) 사이에 있다. 속이 비어있는 내부 구조로 돼 있고, 나선형을 띠고 있어 일명 ‘소라각’으로도 불린다.  돈의 내부가 비어 있는 공심돈의 형식은 우리나라 성곽에서 처음 있는 것으로 현존하는 성곽건축에서 수원화성에서만 볼 수 있다. 한국전쟁 과정에서 완파된뒤 1975년에 복원되었다.  서북공심돈은 축성당시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어 보물 제1710호로 지정돼있다. 

수원연무 : 화성 동북공심돈(華城 東北空心墩)

  공심돈(空心墩) 수원 성곽의 서북, 남, 동북의 3곳에 설치된 돈대. 돈대(墩臺)는, 성벽 위에 석재 또는 전(塼)으로 쌓아올려 망루와 포루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높직한 누대.돈대의 형태는 원형과 방형 2가지가 있으며, 내부에는 2~3단의 마루를 만들고 외부를 향한 벽면에 각 층마다 작은 안혈을 내어 대포, 총, 화살을 쏠 수 있도록 하였다.  돈대 설치의 기록은 조선시대 문헌에서 나타난다. 〈남한지 南漢志〉에 인조(1623~49 재위) 때 수축된 남한산성에 2기의 돈대가 설치되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1679년(숙종 5) 병조판서 김석주(金錫胄)의 건의에 따라 강화에 53개소의 돈대가 설치되었는데, 〈여지도서 輿地圖書〉에 그 명칭과 위치가 그려져 있다. 1796년 완공된 수원 성곽의 서북, 남, 동북의 3곳에 돈대가 설치되었는데 이를 공심돈이라 불렀으며 수원화성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시설물이다. 이러한 공심돈은 서양 중세 봉건제후 성의 일부인 탑과 유사한데 수원화성 성역에 참여했던 정약용이 기기도설 奇器圖說을 연구한 것으로 미루어 서양 성곽을 본뜬 것으로 짐작된다. (다음백과)   

가실 공감 살짝 눌러주고 가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