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인 여행.... 408.
강원도 영월군의 김삿갓 (김병연 蘭皐 金炳淵)
대한민국 강원도 영월군 동부에 있는 면. 2009년 10월 20일 지명이 하동면에서 김삿갓면으로 변경되었다. 이 명칭은 김삿갓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조선시대의 풍류시인 난고(蘭皐) 김병연(金炳淵)의 묘가 와석리에서 발견된 것에서 유래했다. 와석리 노루목에는 김삿갓의 유적지가 있으며, 인근에는 난고김삿갓문학관이 개관되어 그의 문학세계를 감상할 수 있다. 행정구역 옥동리, 진별리, 각동리, 대야리, 예밀리, 와석리, 외룡리, 내리, 주문리 등 9개리가 있다. 면소재지는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옥동장터길이다. (다음백과)
김삿갓 (김병연 蘭皐 金炳淵) 본관은 안동. 자는 성심(性深), 별호는 난고(蘭皐), 호는 김립(金笠) 또는 김삿갓. 그의 일생은 여러 가지 기록과 증언들이 뒤섞여 정확하지는 않지만 대략 다음과 같이 전해온다. 6세 때에 선천부사(宣川府使)였던 할아버지 익순(益淳)이 평안도농민전쟁 때 홍경래에게 투항한 죄로 처형당하자, 그는 황해도 곡산에 있는 종의 집으로 피했다가 사면되어 부친에게 돌아갔다. 아버지 안근(安根)이 화병으로 죽자 어머니는 자식들이 폐족(廢族)의 자식으로 멸시받는 것이 싫어 강원도 영월로 옮겨 숨어 살았다. 이 사실을 모르는 그는〈논정가산충절사탄김익순죄통우천 論鄭嘉山忠節死嘆金益淳罪通于天〉이라는 할아버지 익순을 조롱하는 과시(科詩)로 향시(鄕詩)에서 장원하게 되었다. 그 뒤 어머니로부터 집안의 내력을 듣고 조상을 욕되게 한 죄인이라는 자책과 폐족의 자식이라는 세상의 멸시를 참지 못해 처자식을 버려두고 집을 떠났다.
자신은 푸른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면서 삿갓을 쓰고 방랑했으며, 그의 아들이 안동·평강·익산에서 3번이나 그를 만나 집으로 돌아가자고 했지만 매번 도망했다고 한다. 57세 때 전라도 동복현의 어느 땅(지금의 전남 화순군 동복면)에 쓰러져 있는 것을 어느 선비가 자기 집으로 데려가 거기에서 반년 가까이 살았고, 그 뒤 지리산을 두루 살펴본 뒤 3년 만에 쇠약한 몸으로 그 선비 집에 되돌아와 죽었다고 한다. 그의 시는 몰락양반의 정서를 대변한 것으로 당시 무너져가는 신분질서를 반영하고 있다. 풍자와 해학을 담은 한시의 희작(戱作)과, 한시의 형식에 우리말의 음과 뜻을 교묘히 구사한 언문풍월이 특징이다. 구전되어오던 그의 시를 모은 〈김립시집〉이 있다. 1978년 후손들이 광주 무등산 기슭에 그의 시비(詩碑)를 세웠고, 강원도 영월에도 전국시가비동호회에서 시비를 세웠다.
가실 때 ♡ 공감 살짝 눌러주고 가세요~~ 감사합니다.
'관광인, 실체교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광인 여행.... 410.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숙정문. (0) | 2021.03.24 |
---|---|
관광인 여행.... 409. 경상북도 경주시의 불국사다보탑. (0) | 2021.03.22 |
관광인 여행.... 407. 인천직활시 미추홀구의 훈맹정음 (0) | 2021.03.18 |
관광인 여행.... 406. 경기도 양평군의 용문사 은행나무 (0) | 2021.03.16 |
관광인 여행.... 405. 서울시 강동구의 암사동 선사주거지 (0) | 2021.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