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 없는 우취 우정..................... 47.
1980년대 중반 세계 스포츠우표 수집가들은 한국의 88서울올림픽 우표 수집을 목적으로 한국의 공룡우표매니아에게 보내온 커버들을 소개합니다. 당시 미수교국(대부분 공산권)을 포함 110여개국이 넘었으나 여기에선 77개국 커버만 보여드립니다. 당시 인기리에 발행된 서울 올림픽우표는 우표값 + 부과금 = 이여서 부담이 컸던 기역만 남아 있네요 지금은......
아시아(Asia).
138. 인도(India). 139. 인도네시아(Indonesia).
140. 이스라엘(Israel). 141. 이라크(Iraq).
인도(India)
아시아의 국가. 세계 7위 면적을 가지며 인구수로는 세계 2위이며 수도는 뉴델리이다. 인더스 강의 도시 문명은 4대 문명 중 하나이고 불교와 자이나교가 발상지이기도 하다. 18세기부터는 영국의 지배를 받다가 1947년에 간디의 기여로 독립하였다. 내적으로 인종과 종교 갈등이 지속되었다. 주요농산물로는 쌀, 밀, 면화, 사탕수수, 고무 등이 있다. 제조업 분야에서 고도의 기술 산업이 발달했다. 인도는 남북간 동시수교국으로, 한국과는 1962년 3월 영사관계를 수립한 이후 1973년 12월 10일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에 합의했으며, 인도는 국제무대에서 한반도 문제에 중립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한편 경제문제 등에서 한국과의 관계 증진에 힘쓰고 있다.
인도네시아(Indonesia)
아시아 동남부에 있는 공화국. 정식 명칭은 인도네시아공화국(Republic of Indonesia)으로, 인도양과 남태평양 사이에 위치한다. 자바·수마트라·보르네오·셀레베스 등 대소 1만 3,677개의 섬들로 구성된 세계 최대의 도서국가로, 해안선의 길이는 820㎞이다. 수도는 자카르타(Jakarta)이다. 사회문화적으로는 광활한 영토에 산재한 다종족·다종교가 혼합된 가운데 이슬람교문화가 지배적인 모습을 보인다. 2015년 현재 국민총생산은 약 8726억 달러, 1인당 국민소득은 3,415달러이다. 우리나라는 1949년 12월 인도네시아를 승인하였고, 1966년 8월 영사관계를 수립하고 그해 12월 총영사관을 개설하였으며, 인도네시아는 1968년 6월서울에 총영사관을 개설하였다. 1973년 9월 17일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양국은 상주대사관을 설치하였고, 2008년 현재에도 상주공관을 두고 있다.
이스라엘(Israel)
공식 명칭은 State of Israel 이다. 지중해 동쪽 끝에 위치해 있는 중동의 국가. 남북길이가 약 400km, 동서길이가 가장 넓은 곳이 121km에 이른다. 수도는 예루살렘이며 화폐는 이스라엘 쉐캐림이다. 국민의 대부분이 유대인이며 종교는 77%의 국민이 유대교이다. 서비스업과 제조업에 바탕을 둔 혼합경제체제이며, 국민총생산(GNP)은 인구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1인당 GNP는 개발도상국과 비교해 낮은 편이다. 1962년 4월 한국과 단독으로 수교가 이뤄져, 1964년 8월 주한 상주공관이 설치됐다. 하지만 1970년대 원유수급과 건설시장 확보를 위해 한국이 중동지역에 본격 진출하면서 이스라엘과의 관계가 소원해져 1978년 2월 주한 이스라엘 대사관이 폐쇄되고 주일 이스라엘 대사가 겸임을 했다. 그 후 상주공관이 없는 상태에서 카이로 총영사관이 이스라엘 관계업무를 해오다가 1992년 1월 다시 양국의 국교가 정상화되면서 주한 이스라엘 공관이, 1993년 12월 주이스라엘 한국공관이 설치됐다.
이라크(Iraq)
아시아 서남부 지역에 있는 국가. 국민은 아랍계와 소수의 쿠르드족으로 구성되며, 대다수가 이슬람교를 믿는다. 공용어는 아랍어이고 화폐 단위는 이라크디나르(IraqDinar)이다. 세계 2위의 석유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1932년 영국의 식민지에서 독립했으며, 현대에 들어 주변 열강의 세력 다툼과 쿠웨이트를 비롯한 인접 국가들과의 갈등, 내부의 권력 투쟁으로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 한국과 이라크는 1981년 7월 바그다드에 한국의 총영사관을 설치하면서 공식적인 외교관계를 시작하게 되었다. 1989년 7월 9일에는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주 이라크 대한민국 대사관을 개설했다. 그러나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국제적인 제재조치가 내려진 가운데, 이듬해 1991년 1월 한국 정부는 이라크 내 공관을 잠정폐쇄했었다. 이후 2006년 8월부터 쿠르드 지역에 한해 단기 방문을 제한적으로 허용하게 되었고 2007년 2월 이후로는 기업 진출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여권법을 개정하고, 입국 제한을 완화했다. 2017년 이라크 반군 사태가 안정화 되면서 여행허가 발급을 개시했고, 기업들의 진출도 재개되었다.
가실 때 아래 ♡ 공감 꾹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일체형 교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경 없는 우취 우정........ 48. (56) | 2025.07.14 |
---|---|
국경 없는 우취 우정........ 46. (60) | 2025.07.03 |
국경 없는 우취 우정........ 45. 아프리카(Africa), 오세아니아(Oceania). (73) | 2025.06.26 |
국경 없는 우취 우정........ 44. 아프리카(Africa) (65) | 2025.06.20 |
국경 없는 우취 우정........ 43. 아프리카(Africa) (86) | 2025.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