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 광 인 여 행................................... 823.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석불입상
파주용미리석불입상(坡州龍尾里石佛立像). 고려시대 에 조성된 2구의 마애불은 보물 제 93호이다. 두 구의 불상이 나란히 서 있는 마애불로 천연암벽을 적절히 활용하면서 선각(線刻)을 더해 불신(佛身)을 표현하였고, 불두(佛頭)는 따로 만들어 얹었다. 천연암벽의 자연미를 불상 조각에 적절히 활용해 미적 수준을 높인 작품이다. 마치 일부러 조각한 것이 아니라, 원래 바위 속에 있었던 부처의 모습을 발견하고는 그것을 더욱 잘 보이게 하려고 표시를 해놓은 듯 모든 것이 자연스럽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파주 : 용미리 석불입상(龍尾里石佛立像)
전면에 있는 향좌측의 마애불은 향우측 불상에 비해 키가 더 크고 둥근 갓을 썼다. 왼손을 어깨높이로, 오른손은 가슴 높이로 들어 연꽃 줄기를 붙잡고 있다. 여래로서 연꽃 줄기를 들고 있는 경우는 석가모니, 혹은 미륵불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은데, 해당 불상의 명문에 미륵불을 언급하고 있어 미륵으로 추정된다. 불상은 넓은 어깨를 당당하게 벌리고 있어 웅장한 느낌을 준다. 통견(通肩)의 착의를 하고 있다. 연꽃 줄기 아래의 가슴 부분에는 속의 가사를 입을 때 묶은 리본 모양의 띠 매듭이 보인다. 그 아래로 왼쪽 어깨로 쏠려 올라가는 듯한 ‘U’자형 옷 주름이 반복적으로 표현되며 흘러내리고 있는데 바위 맨 아래까지 흐릿하게 이어지고 있다. 좌우로는 양팔에서 흘러내린 소맷자락이 은행잎 모양의 옷 주름을 만들며 허리 아래에까지 늘어져 있다.
향우측의 불상은 향좌측의 마애불보다 키가 조금 작지만, 얼굴이 더 크며 네모난 갓을 쓰고 합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바위의 자연적 상태 때문에 몸은 약간 옆으로 튼 모습이지만, 얼굴은 둥근 갓을 쓴 마애불과 마찬가지로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마치 두 불상이 어깨를 맞대고 있는 듯한 인상이 흥미롭다. 착의법이나 옷자락의 흐름은 옆의 마애불과 같지만 바위 면의 폭이 좁기 때문에 바위 측면에도 옷자락을 새겼다. 전하는 바로는 연꽃을 든 상은 남성, 합장한 상은 여성을 표현한 것이라고도 한다.
한편, 이 마애불에는 고려 때의 조성 연기가 전하는데 다음과 같다. 고려 선종(재위 1083~1094)이 자식이 없어 원신궁주(元信宮主)를 맞이했는데, 역시 후사가 없었다. 그러던 중 궁주의 꿈에 두 도승(道僧)이 나타나 말하기를, ‘우리는 장지산(長芝山) 남쪽 기슭에 있는 바위틈에 사는데 지금 매우 시장하다’하였다. 다음날 사람을 보내 알아보니 장지산 아래에 두 개의 큰 바위가 나란히 서 있다고 하였다. 이상하게 여긴 왕은 이 바위에 꿈속의 두 도승을 새기게 하고는 절을 지었는데, 마침 그 해에 왕자 한산후(漢山候)가 탄생하였다는 것이다. 기존에는 이 설화를 고려해 이들 마애불의 제작 시기를 고려 전기인 11세기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암벽 면에서 ‘성화(成化) 7년’의 명문이 발견됨에 따라 조선 초기의 작품일 가능성이 새롭게 제시되었다.
파주 : 용미리 석불입상(龍尾里石佛立像)
즉 ‘성화 7년’은 1471년(성종 2)에 해당하는데, 이전에는 이 명문을 마애불을 제작할 때 새겨 넣은 것이 아니라 후대인 조선 초기에 기록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명문에 등장하는 추모 대상인 세조 및 그와 연관된 인물들의 능묘가 파주에 많이 분포하고 있어서 마애불을 새롭게 조성할만한 의미가 충분하다는 점이 지적되었고, 아울러 연꽃을 든 마애불이 쓴 둥근 갓은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관모로 사용된 것이기에 이들 마애불은 조선 초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견해가 제기되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가실때 여기 공감 ♡ 살짝눌러주고가세요~~감사합니다.
'관광인, 실체교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광인 여행...825.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교와 한빛탑 (126) | 2023.09.17 |
---|---|
관광인 여행...824.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제암리 3. 1운동순국기념관 (131) | 2023.09.15 |
관광인 여행...822.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땅끝탑 (141) | 2023.09.11 |
관광인 여행...821.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보경사 (124) | 2023.09.09 |
관광인 여행...820.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진해수욕장 (116) | 2023.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