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6

관광인 여행...1.160, 충청북도 충주시 금릉동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 택견.

관 광 인  여 행......................1.160, 충청북도 충주시 금릉동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 택견.  택견.      택견은 유연하고 율동적인 동작인 ‘품밟기’라는 우리 고유의 독창적 보법(步法)을 중심으로 상대를 발로 차거나 넘기는 기술을 사용하는 전통무예이다. 택견은 품밝기, 즉 유연하게 굼실거리는 보법(步法)을 기본으로 손과 발을 통해 상대를 차거나 던지기는 기술을 구사한다. 특징적인 것은 태권도의 직선적 발차기와 달리 부드럽고 곡선을 그리는 동작으로 힘을 내는 발차기와 씨름과 유사한 독특한 넘기기 기술을 동시에 구사한다.충주 : 택견.    특징적인 것은 태권도의 직선적 발차기와 달리 부드럽고 곡선을 그리는 동작으로 힘을 내는 발차기와 씨름과 유사한 독특한 넘기기 기술을 동..

관광인 여행..1.114,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66, 구리 동구릉.

관 광 인  여 행.......................1.114,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66, 구리 동구릉. 구리 동구릉(九里 東九陵)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시대 왕과 왕비, 후비 등을 안장한 9개의 왕릉을 지칭하는 용어. 9릉 17위의 왕과 왕비, 후비 등을 안장한 왕릉이다. 1970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1408년(태종 8) 태조의 건원릉(健元陵) 터로 쓰여지기 시작한 뒤 조선시대 일대를 통해 족분(族墳)을 이루고 있는 왕릉군(王陵群)이다. 사적 제193호로 지정되었으며, 2009년 2월 27일 유네스코의 세계 문화 유산으로 공식 등재되었다.구리 : 구리 동구릉(九里 東九陵)     현재 59만여 평을 헤아리는 광대한 숲에 태조의 건원릉을 비롯해 제5대 문종과 그 원비 현덕왕후(顯德..

관광인 여행...971.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남한산성 행궁.

관 광 인  여 행.................. 971.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남한산성 행궁. 남한산성 행궁(南漢山城 行宮)     남한산성 안에 있는 조선후기 좌전과 우실을 갖춘 행궁. 별궁. 사적으로, 2007년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나 역사·문화적 가치가 인정되어 2007년 6월 8일 사적 제480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경기광주 : 남한산성 행궁(南漢山城 行宮)     남한산성 주변에 있는 조선의 행궁(行宮). '광주행궁(廣州行宮)'으로도 불렸다. 사적 제480호로 지정받았다. 1624년(인조 2년) 조선 16대 임금 인조의 명으로 착공하여 2년 후인 1626년(인조 4년)에 완공했다. 이후 멀쩡히 잘 전해지던 걸 일제가 행궁과 관아에 방화하여 불에 타 소..

관광인 여행...870.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무성서원.

관 광 인 여 행................................. 870.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무성서원. 사적 제166호. 조선 시대의 서원. 최치원과 신잠(申潛)을 모시는 사당과 교육을 담당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래는 태산 서원(泰山書院)이라 하였으나, 숙종 22년(1696)에 사액을 받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1868년(고종 5) 홍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유지되던 47개 서원 중 하나이다. 사적 정식 명칭은 ‘정읍 무성 서원(井邑武城書院)이다. (한국어사전) 정읍칠보 : 무성 서원(武城書院) 고려시대에 태산사를 창건해 최치원의 덕행과 학문을 추모했다. 고려말에 일단 없어졌다가, 조선초인 1483년(성종 14) 정극인이 세운 향학당이 있던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

관광인 여행.... 419. 경북 경주시의 양동마을 향단

관광인 여행.... 419. 경북 경주시의 양동마을 향단(慶州良洞香壇) 양동마을은 경상북도 경주시 외곽에 있는 유서 깊은 양반 마을이다. 조선시대 양반마을의 전형으로 1984년 중요민속자료 제189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한국 최대 규모의 대표적 조선시대 동성취락으로, 수많은 조선시대의 상류주택을 포함한 양반가옥과 초가 160호가 집중되어 있다. 마을은 약 520년 전 형성되었다 하는데 현재 월성손씨 40여 가구, 여강이씨 70여 가구가 마을을 계승하고 있다. 마을의 가옥은 ㅁ자형이 기본형이며, 정자는 ㄱ자형, 서당은 一자형을 보인다. 마을에는 아직도 유교사상이 짙게 남아 있어 매년 4, 10월에 선조를 제향하는 의식을 마을 공동으로 거행한다. 마을 내에는 보물 ..

관광인 여행.... 375. 경남 함양군의 함양 남계서원 (咸陽灆溪書院)

관광인 여행.... 375. 경남 함양군의 함양 남계서원 (咸陽灆溪書院) 수동 : 함양 남계서원(咸陽灆溪書院) 함양 남계서원에는 우리나라에서 영주의 소수서원 다음으로 두 번째 지어진 서원이며, 일두 정여창선생을 주향으로 모시고, 동계 정온선생과 개암 강익선생을 배향하였다. 함양 남계서원은 1552년(명종 7)에 일두 정여창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지방민의 유학교육을 위하여 개암 강익을 중심으로 창건되어 1566년(명종 21)에 남계(灆溪)라는 이름으로 사액되었다. 2009년 5월 26일 사적 제499호에 지정되고, 2019년 7월 10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이 서원은 소수서원에 이어 두 번째로 창건되었으며, 고종 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 때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