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인, 실체교류

관광인 여행...1.191,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양동마을 향단.

공룡우표매니아 2025. 5. 10. 03:00

관  광  인   여  행........................1.191,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양동마을 향단.

양동마을 향단.

    경북 경주시의 양동마을 향단(慶州良洞香壇)은 경주시 외곽에 있는 유서 깊은 양반 마을이다. 조선시대 양반마을의 전형으로 1984년 중요민속자료 제189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한국 최대 규모의 대표적 조선시대 동성취락으로, 수많은 조선시대의 상류주택을 포함한 양반가옥과 초가 160호가 집중되어 있다. 마을은 약 520년 전 형성되었다 하는데 현재 월성손씨 40여 가구, 여강이씨 70여 가구가 마을을 계승하고 있다. 마을의 가옥은 ㅁ자형이 기본형이며, 정자는 ㄱ자형, 서당은 一자형을 보인다. 마을에는 아직도 유교사상이 짙게 남아 있어 매년 4, 10월에 선조를 제향하는 의식을 마을 공동으로 거행한다. 마을 내에는 보물 3점, 중요민속자료 12점, 도지정유형문화재 4점, 도지정민속자료 1점, 도지정기념물 1점과 문화재자료 1점이 있다.

경주 : 양동마을 향단(慶州良洞香壇)

    경주 양동 향단은 경주시, 양동마을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1964년 11월 14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412호로 지정되었다. 낮은 구릉 위에 자리잡고 있는 향단은 조선 중기 건물로 조선시대의 성리학자인 이언적(1491∼1553) 선생이 경상감사로 재직할 때 지은 것이다. 일반 상류주택과 다른 특이한 평면 구성을 하고 있는데, 그것은 풍수지리에 의해 몸체는 月자형으로 하고, 여기에 一자형 행랑채와 칸막이를 둠으로써 用자형으로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행랑채, 안채, 사랑채가 모두 한 몸체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마당 즉, 2개의 마당을 가진 특색 있는 구성을 하고 있다. 2개의 마당 중 하나는 안마당으로 쓰이고 다른 하나는 행랑마당으로 쓰인다. 행랑채는 앞면 9칸, 옆면 1칸으로 되어 있고 행랑채 뒷편에 있는 본채는 행랑채와 똑같은 규모의 집채를 앞, 뒤에 2채 배치해 놓았다. 

    그 중앙과 좌우 양쪽 끝을 각각 이어서 방으로 연결하였으므로, 마치 전체 건물을 日자형의 한 건물 같이 배치하였다. 이 건물은 마을 전체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띠는 위치와 모습 뿐만 아니라 상류주택의 일반적 격식에서 과감히 벗어난 형식으로, 주생활의 합리화를 도모한 우수한 공간구성을 보이고 있다. 

경주 : 양동마을 향단(慶州良洞香壇)

    양동마을 향단. 이 건물은 동방사현(東方四賢)의 한 사람인 이언적(李彦迪)이 경상감사로 재직할 때 건축한 건물로, 야산죽림(野山竹林)을 배경으로 낮은 구릉 위에 자리잡고 있으며 일반 상류주택과 다른 특이한 평면구성을 하고 있다. 이는 풍수지리에 의거, 몸채는 月자형으로 하고, 여기에 一자형 행랑채와 간막이를 둠으로써 用자형으로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행랑채·안채·사랑채가 모두 한 몸체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마당을 가져 작은 중정(中庭) 두개가 있는 특색 있는 구성을 한다. 행랑채는 정면 9칸, 측면 1칸으로 오른쪽으로부터 방·대문·마루·방·곳간·마구간 등이 들여졌다. 행랑채에 난 대문을 들어서면 안채와 사랑채의 측면으로 형성된 좁은 공간이 나타난다. 이 공간을 지나 중정에 다다르는데, 이 중정 역시 협소하다. 중정 두 개 중 하나는 안마당으로 쓰이고 다른 하나는 행랑마당으로서 노천부엌과 같은 기능을 한다.

가실  아래 ♡ 공감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