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공룡우표매니아 엄원용

2025/01 31

관광인 여행..1.118,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섭지코지.

관 광 인  여 행........................1.118,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섭지코지. 섭지코지.     섭지코지의 ‘섭지’는 재사(才士)가 많이 배출되는 지세라는 의미와 좁은 땅을 뜻하는 협지(狹地)에서 유래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 ‘코지’는 바다 쪽으로 튀어나온 땅을 가리키는 곶(串) 또는 갑(岬)의 제주어이다. 봄에는 유채꽃으로, 가을에는 억새로 물드는 섭지코지는 성산일출봉을 배경으로 수려한 해안경관을 자랑하는 제주도의 명소이다.서귀포고성 : 섭지코지.    섭지코지는 조면현무암으로 이루어진 낮은 구릉지대이다. 본래는 성산일출봉과 같이 육지에서 떨어져 있던 섬이었으나 사주가 발달하여 제주도에 연결된 육계도이다. 그러나 사주가 길게 뻗어 연륙된 성산일출봉과..

국경 없는 우취 우정........ 23. 북미(North America).

국경 없는 우취 우정........................ 23.     1980년대 중반 세계 스포츠우표 수집가들은 한국의 88서울올림픽 우표 수집을 목적으로 한국의 공룡우표매니아에게 보내온 커버들을 소개합니다. 당시 미수교국(대부분 공산권)을 포함 110여개국이 넘었으나 여기에선 77개국 커버만 보여드립니다. 당시 인기리에 발행된 서울 올림픽우표는 우표값 + 부과금 =  이여서 부담이 컸던 기역만 남아 있네요 지금은.....북미(North America). 41. 코스타리카(Costa Rica). 42. 쿠바(Cuba).43. 도미니카(Dominica). 44. 멕시코(Mexico). 코스타리카(Costa Rica)     공식명칭은 코스타리카 공화국 (Republic of Costa Rica..

일체형 교류 2025.01.10

관광인 여행....1.117,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태권도원.

관 광 인  여 행..........................1.117,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태권도원. 태권도원(跆拳道園)     국기 태권도의 수련과 교육, 연구를 위한 태권도 전문 공간. 태권도원 조성 및 효율적 관리와 운영, 태권도 진흥사업 수행을 통한 태권도 발전과 국제위상 제고, 태권도 르네상스를 통한 가치 창조와 문화 창출의 장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무설로 1482에 위치하며 태권도진흥재단이 운영한다. 총 면적 2,314㎡에 총 사업비 2,475억원을 들여 2009년 3월에 착공, 2013년 8월에 준공하였다. 2014년 4월 1일에 본격 개장하였다. 무주설천 : 태권도원(跆拳道園)     태권도원은 2004년 12월 전라북도(현..

관광인 여행..1.116,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민월면 중군리, 지리산 바래봉.

관 광 인  여 행.......................1.116,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민월면 중군리,지리산 바래봉. 지리산 바래봉.    지리산 서부의 바래봉(1,165m)은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우리나라 최고의 철쭉 감상지로 떠오른 산이다. 여느 군락지와 달리 목장 초원에 피어난 붉은 철쭉꽃이 아름다운 풍광을 연출한다. 바래봉 철쭉은 바래봉 아래에 자리 잡은 축산기술연구소와 깊은 관계가 있다.남원운봉 : 지리산 바래봉     원래 바래봉 일대는 숲이 매우 울창했다. 그런데 1970년대 초 이곳에 한국·오스트레일리아의 시범 면양 목장을 조성하게 되면서, 식성이 좋은 면양이 잎에 독성이 있는 철쭉만 제외하고 대부분 먹어 치우면서 지금의 상태가 되었다. 당시엔 출입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

우표로 보는 공룡의 종류....248. 스피노사우루스. 스타우리코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 스티기몰로크.

우표로 보는 공룡의 종류.............. 248.  61. 스피노사우루스(Spinosaurus). 62. 스타우리코사우루스(Staurikosaurus).63. 스테고사우루스(Stegosaurus). 64. 스티기몰로크(Stygimoloch). 스피노사우루스(Spinosaurus)     스피노사우루스는 백악기(1억 1200만 년 전~9700만 년 전)에 살았으며 북아프리카의 이집트, 모로코, 니제르 지역에서 발견된 육식 공룡이다. 수각류인 스피노사우루스는 ‘가시 도마뱀’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가장 큰 특징은 등 위로 부채모양의 돛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등뼈가 길어지면서 생긴 돛은 체온 조절과 다른 공룡에게 위협적으로 느낄 수 있게 몸을 더 크게 보이는 기능과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두개골..

관광인 여행....1.115,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마이산과 탑사.

관 광 인  여 행.........................1.115,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마이산과 탑사 마이산과 탑사(馬耳山 塔寺)     진안에 위치한 마이산은 한국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대표하는 장소 중 하나이다. 이곳 마이산은 불교의 성지로서 탑사와 산책로는 자연과의 조화로운 만남을 통해 마음에 힐링을 선사한다. 마이산 탑사에서는 세월의 흔적을 지닌 탑들과 고요한 자연이 조화를 이루어 방문객들에게 아름다운 경관 외에도 다양한 문화유산을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매력적인 곳이다.진안 : 마이산 탑사(馬耳山 塔寺)     마이산이 지금의 이름을 얻게 된 것은 조선 태종 때이다. 태종이 남행(南行)하여 이 산 아래를 지나다가 그 모양이 말의 귀와 같다 하여 마이산이란 이름을 내렸..

관광인 여행..1.114,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66, 구리 동구릉.

관 광 인  여 행.......................1.114,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66, 구리 동구릉. 구리 동구릉(九里 東九陵)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시대 왕과 왕비, 후비 등을 안장한 9개의 왕릉을 지칭하는 용어. 9릉 17위의 왕과 왕비, 후비 등을 안장한 왕릉이다. 1970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1408년(태종 8) 태조의 건원릉(健元陵) 터로 쓰여지기 시작한 뒤 조선시대 일대를 통해 족분(族墳)을 이루고 있는 왕릉군(王陵群)이다. 사적 제193호로 지정되었으며, 2009년 2월 27일 유네스코의 세계 문화 유산으로 공식 등재되었다.구리 : 구리 동구릉(九里 東九陵)     현재 59만여 평을 헤아리는 광대한 숲에 태조의 건원릉을 비롯해 제5대 문종과 그 원비 현덕왕후(顯德..

공 룡 카 드........63. 공룡시대의 공룡들 23.

공 룡 카 드......................... 63.공룡시대의 공룡들   23.공룡시대(恐龍時代)    파충강 공룡아강에 속하는 동물군.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서 백악기 말까지 살다가 전멸하였다. 이들은 골반의 구조에 의하여 조반류(鳥盤類)와 용반류(龍盤類)로 나눈다. 육식성과 초식성이 있었으나 대부분이 초식성이며, 육식성은 매우 드물다. 이족보행의 것과 사족보행의 것이 있었으며, 주로 육상에서 생활하였다.  76. 브론토사우루스(Brontosaurus). 77. 디플로도쿠스(Diplodocus).78.코리토사우루스(Corythosaurus). 79. 마멘키사우루스(Mamenchisaurus).  브론토사우루스(Brontosaurus)     중생대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던 용각류 공..

공룡 전화카드 2025.01.04

관광인 여행......1.113,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반딧불이.

관 광 인  여 행..........................1.113,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반딧불이 반딧불이(Luciola cruciata)    딱정벌레목 반딧불이과에 속하는 곤충. '반디', 또는 '개똥벌레'라고도 한다. 깨끗한 하천과 습지에 살며, 꽁무니에 발광기가 있어 화학반응을 통해 열이 없는 빛을 낸다. 최근에는 환경오염으로 대부분의 서식처가 파괴되어 멸종위기에 놓여 있다.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의 반딧불이와 다슬기 서식지가 천연기념물 제322호로 지정되어 있다.무주설천 : 반딧불이(Luciola cruciata)     딱정벌레목 반딧불이과에 속하는 곤충. 깨끗한 하천과 습지에 살며, 발광기가 있어 빛을 낸다. 한국과 일본에 두루 분포했으나 최근에는 환경오염으로 대부..

관광인 여행..1.112,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 대곡리, 논개영정과 생가.

관  광 인  여 행.......................1.112,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 대곡리, 논개영정과 생가. 논개영정과 사당.     장수는 임진왜란 때 경남 진주 촉석루에서 왜장을 껴안고 남강에 몸을 던진 논개의 고향이기도 하다. 장수읍에는 논개의 영정을 모신 사당(의암사)이 자리하고 있다. 논개 사당인 의암사 바로 아래가 의암호인데,  의암호 건너편에 논개 영정을 모신 '논개 사당'이 있다. 일명 '의암사'라고도 불린다. 논개사당의 공식 명칭은 그가 왜장을 끌어안고 몸을 던진 바위에서 이름을 딴 의암사(義巖祠)다. 장수 : 논개의 영정과 생가.    논개생향비( 介生鄕碑), 1846년 당시 장수현감 정주석이 논개가 장수 태생임을 기리기 위해 비문을 짓고, 그의 아들이 글을 쓴 비석..